1. 흥미 영역
자유놀이 시간을 위한 흥미 영역의 구성은 교사의 철학, 유아를 도와줄 수 있는 성인의 수, 기관의 경제적 사정, 자료의 양과 종류, 공간의 크기, 교사나 유아가 고안한 창의적 아이디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교실배치, 자료의 조직, 사용할 영역의 수, 영역에서 보낼 시간, 유아에게 소개하는 과정 등을 고려하여 준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교사가 교실 내에 어떤 영역을 포함시킬 것인지 결정할 때는 어떤 영역이 대다수의 유아들에게 최선의 발달적 가능성을 제공해 줄 수 있는지 고려해야 한다.
교실은 보통 다양한 크기의 역할놀이 영역, 적목 영역, 조형 영역, 대근육 영역 등의 흥미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다. 놀이공간 분할의 주된 이유는 전반적으로 놀이의 질을 향상시키고 융통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이다. 흥미 영역이란 교구장이나 칸막이 등을 활용하여 놀이의 내용에 따라 놀이 영역의 경계를 알려 주는 교실 내의 영역을 의미한다.
교사는 각 놀이 영역에 활발한 놀이가 일어날 수 있도록 영역환경을 구성하고 각 영역에 필요한 교구를 준비하여야 한다. 흥미 영역으로 구분하는 이유는 시간과 자료를 넘어 조직과 구성의 정도를 유지하도록 교사를 돕기 위한 것이다. 교실 내의 자료와 놀잇감을 조직적으로 정리하므로 교사는 효율적으로 자유선택활동을 준비할 수 있다.
유아의 흥미에 따라 폭넓은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자유선택활동은 많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교실의 흥미 영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자유선택활동의 의의
첫째, 유아 자신이 선택하여 흥미 영역에 참여하는 과정은 자율성과 의사결정 능력을 배양한다.
둘째, 자유선택활동의 흥미 영역은 주제 및 단원과 연계하여 구체적 조작활동을 통하여 참여함으로써 감각운동 능력을 기를 수 있다.
셋째, 흥미 영역의 부분적 경계나 칸막이의 물리적, 시각적 경계는 다른 유아로부터 방해받지 않고 주의력을 집중하여 활동에 몰두할 수 있게 한다. 유아들은 이러한 경계를 자기 구역으로 생각하고 좋아하며 또래들과 편안하게 활동을 한다.
넷째, 교사와 유아, 유아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활발한 개별 활동 또는 소그룹 학습이 가능하다.
다섯째, 유아의 자유와 흥미가 존중되며 기쁘고 즐거운 시간이 진행될 수 있다.
여섯째, 유아가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활동한 경험이 통합 차원에서 발달과 연계되어 전인교육이 이루어지는 효과적인 시간이 된다.
1) 쌓기놀이 영역
털이 길지 않은 탄탄한 카펫을 준비한다. 유아들이 크기와 모양에 따라 블록을 정리할 수 있도록, 블록 보관 선반에는 블록 모양의 그림이나 윤과ᅟᅡᆨ으로 된 라벨을 붙여 준다. 블록 쌓기를 확장하기 위해 교통수단 놀잇감,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된 사람과 동물 등의 소품을 준비한다.
2) 역할놀이 영역
다양한 역할놀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극놀이용 스토브와 싱크대, 접시를 넣는 캐비닛, 냄비, 테이블과 의자, 인형과 인형침대, 전화기, 옷가지와 모자, 플라스틱 유리로 된 거울 같은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유아에게 친숙한 소품을 제공한다.
3) 수 조작놀이 영역
개별적인 활동이 많이 나타나는 영역으로 소음이 적고 유아들의 왕래가 적은 곳에 배치한다. 수 개념, 모양, 크기 등의 개념을 학습할 수 있는 교구와 퍼즐 등을 제공한다.
4) 조형 영역
조형 영역은 물을 사용하기 편리한 곳에 배치한다. 다양한 조형작업을 위한 미술재료를 준비하며 유아가 손쉽게 자료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진열한다. 조형활동 중 유아의 옷을 보호하기 위한 앞치마나 작업복을 비치한다.
5) 언어 영역
언어 영역은 소음이 적고 유아의 왕래가 적은 조용한 장소에 배치한다. 영유아의 연령에 적합한 다양한 그림책을 준비하여 교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주제에 알맞은 책을 전시한다. 영유아들의 책에 대한 호기심을 견딜 만큼 튼튼한 책들을 선정하며 파손된 부분이 없는지 점검하여야 한다. 또한 책을 편하게 읽을 수 있도록 부드러운 베개, 소파 등을 비치하고, 봉제인형, 양탄자 등의 소품을 사용하여 아늑하고 즐거운 언어 영역을 제공한다.
6) 과학 영역
과학 영역에서는 동식물을 키우는 활동이 활발히 일어나므로 햇볕이 잘 들고 조용한 곳에 배치한다. 유아가 관찰하고 탐색하기 용이하도록 관찰대나 낮은 탁자를 배치하고 유아가 관찰한 내용을 기록할 수 있는 관찰지를 준비한다. 게시판이나 벽을 이용하여 진행되고 있는 과학 개념과 관련된 화보를 부착하여 유아의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도록 한다.
7) 음률 영역
음률 영역은 음악 감상하기, 노래 부르기, 악기 다루기, 동작으로 표현하기를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동적인 공간이기 때문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음률 영역에서는 다양한 소리와 움직임이 발생하므로 다른 영역의 놀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정적 영역과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하고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카펫이나 가리개를 활용한다.
8) 물놀이 영역
교실에 물놀이 영역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물놀이대를 준비하고 물놀이에 필요한 다양한 소품과 유아의 옷이 젖지 않도록 앞치마를 준비한다.
교사는 유아가 즐겁고 재미있는 물놀이를 할 수 있게 하고 유아의 흥미와 간심에 따라 놀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즐거운 물놀이 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사전 지도가 요구된다. 교사는 유아들과 의논하여 안전하며 즐거운 물놀이가 이루어지기 위해 지켜야 할 규칙 등을 생각해 본다.
9) 모래놀이 영역
교실 내 모래놀이 영역은 물놀이를 하기 힘든 겨울철에 물놀이대에 물 대신 모래를 넣어 활용한다. 실내에 모래놀이 영역을 배치할 경우에는, 유아의 이동이 많지 않은 곳에 위치해야 한다. 교실 안에 모래를 흘리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하며 유아가 흘린 모래를 쉽게 치울 수 있도록 유아와 함께 모래놀이 사용방법에 대한 규칙을 정한다.
10) 목공놀이 영역
목공놀이에 필요한 도구를 대·소근육을 이용하여 사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확보해 주고, 소음이 발생하므로 정적인 영역과는 분리하여 배치한다. 안전관리를 위해 주의를 기울인다. 목공놀이에서 활용하는 다양한 도구의 사용방법에 대해 충분히 알려 주어야 하며, 목공 영역에서 지켜야 할 규칙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어야 한다.
2. 놀이와 관찰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은 다양한 유형의 놀이에 참여한다. 여러 흥미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유아의 놀이는 사회적 놀이수준과 인지적 놀이수준을 관찰할 수 있으므로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인지발달의 정도를 알 수 있다.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많은 놀이 중 역할놀이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놀이와 쌓기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놀이를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역할놀이
유아는 자유놀이 시간에 역할놀이 영역에서 또래와 함께 여러 가지 역할을 맡아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엄마 아빠 놀이나 병원놀이, 상상력을 동원한 우주놀이, 모험을 동반한 놀이 등 다양한 놀이를 한다.
역할놀이는 자유놀이 시간에 역할놀이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놀이로, 유아들에게 신체, 언어, 인지, 사회·정서 등 각 발달 영역이 고르게 성장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는 중요한 놀이이다. 역할놀이는 유아의 발달과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역할놀이에 참여함으로써 유아는 물리적·사회적 환경과 상호작용할 기회를 갖게 되며,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필요한 기술을 배우고, 주변 환경을 이해하게 된다. 유아들은 역할놀이 과정중 일어나는 의미 있는 대화, 사물에 대한 표상 경험을 또래와 함께 공유하면서 사회·정서·인지 발달을 이루게 된다.
역할놀이 영역은 소음이 많이 일어나므로 조용한 영역에서 멀리 떨어져서 위치해야 하며 쌓기놀이 영역과 나란히 배치하는 것이 좋다. 대부분의 교실에는 역할놀이 영역에 일상생활에서 볼 수 있는 냉장고, 싱크대, 침대, 식탁과 의자, 인형과 인형집 등 살림과 관련된 기구 등이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교구 이외에도 다양한 주제의 역할놀이를 하기 위해서 교사는 수시로 역할놀이 영역의 환경을 다양한 소품을 제공하여 변화시키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역할놀이 영역에 소품상자를 준비하면 역할놀이를 확장할 수 있다. 교실에서는 역할놀이 주제와 관련된 소품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주제별로 소품을 정리하여 소품상자에 보관하거나 이를 필요에 따라 유아에게 제공하면 역할놀이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유아의 역할놀이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사회극놀이 척도(sociodramatic play inventory)가 유용하다. 스밀란스키(Smilansky, 1968)는 두 명 이상의 유아가 극놀이에 참여하는 것을 사회극놀이(sociodramatic play)라고 정의하고 있다. 사회 극놀이는 유아의 인지, 언어, 사회정서 발달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많은 연극놀이는 유아의 인지, 언어, 사회정서 발달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많은 연구에서 사회극놀이에 참여하는 유아는 다양한 사회적 기술과 상징적 표상, 조망수용 능력 등을 사용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스밀란스키의 척도(sociodramatic play inventory: SPI)는 집단으로 역할놀이에 참여하는 유아의 놀이행동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SPI 척도는 역할놀이, 가작화, 의사소통, 지속성의 4개 범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의 정의와 관찰지에 대해 아래와 같이 밝히고 있다.
2) 쌓기놀이
쌓기놀이 영역에서 유아는 블록을 높이 쌓기나 바닥에 블록을 줄지어 늘어놓는 놀이를 한다. 이때 유아가 쌓아 올린 것은 주로 탑을 나타내고, 줄지어 늘어놓는 것은 길을 나타낸다. 연령이 높아지면서 유아는 좀 더 복잡한 구조물을 만든다.
존슨(Johnson, 1983)은 유아의 쌓기놀이 발달단계를 7단계로 설명하였다.
첫 번째 단계는 블록을 이리저리 옮기는 단계이다. 어린 유아에게 블록을 주면 블록을 이리저리 옮기지만 하고 무엇을 만드는 놀이는 거의 하지 않는다. 이 단계에서는 주로 블록을 탐색하는 활동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때때로 블록을 가지고 불규칙적이고 불안정한 형태로 쌓기를 하는 경우도 있다.
두 번째는 구조물을 만들기 시작하는 단계로 유아가 블록의 용도를 깨닫게 되면 적목을 수평으로 늘어놓아서 줄을 만들거나 수직으로 쌓아서 탑을 만든다. 줄 만들기와 탑 쌓기는 이 단계에서 흔히 나타나는 구조물인데 가끔 줄과 탑을 합친 구조물을 만들기도 한다. 이와 같은 단순한 형태의 블록 구조물을 반복하여 만드는 가운데 각 블록의 특성을 이해하게 되고 쌓기에 필요한 기술을 익히게 된다.
세 번째는 다리(bridge)를 만드는 단계로 쌓기놀이 경험이 축적되면서 유아는 좀 더 복잡한 구조물을 만들 수 있게 된다. 그 좋은 예가 다리 만들기로 두 개의 블록을 서로 간격을 두고 세운 후 다른 블록을 위에 얹어서 다리를 만드는 것이다. 다리를 만드는 동안 유아는 균형, 안정, 블록의 길이 등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게 되며 블록 쌓는 기술도 습득하게 된다.
네 번째 단계는 폐쇄공간을 만드는 단계로 유아는 블록을 가지고 폐쇄공간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즉, 블록 네 개를 놓아 사각형 모양의 폐쇄된 공간을 만들며 때로는 하나의 폐쇄공간을 덧붙여 만듦으로써 반복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아직 자신이 만든 구조물이나 형태에 어떤 이름이나 명칭을 붙이지는 않는다.
다섯 번째는 장식적 패턴이 나타나는 단계로 블록을 다루는 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유아는 폐쇄공간을 더욱 정교하게 구성하며, 균형을 맞추고 장식적인 패턴을 덧붙이게 된다. 드디어 블록의 용도를 유감없이 발휘한 훌륭한 디자인의 구조물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여섯 번째는 유아가 만든 구조물에 이름을 붙이는 단계로 유아는 자신이 블록으로 만든 구조물에 이름을 붙여 소꿉놀이에 사용한다. 어떤 구조물은 자동차가 되기도 하고 집이 되기도 하지만 구조물의 형태나 기능이 유아가 붙인 명칭과 밀접하게 연관되지는 않는다.
마지막으로는 블록에 의한 표상이 활발한 단계로 취학 전 유아들은 블록을 이용하여 실제와 좀 더 비슷한 구조물을 표상화할 수 있게 된다. 이 단계의 유아들이 제작한 구조물에는 아직도 반복적인 요소가 많으나 풍부한 디자인 요소와 상징적 요소가 개입되기도 하고, 때로는 비율의 개념이 적용된 흔적을 보이기도 한다.
<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홍순정·최석란 / KNOUPRESS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