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75

교육과정의 심리학적·사회적 기초 – 현상학과 인본주의 ▶ 게슈탈트 이론 현상학적 아이디어는 초기의 장(fidle, 場)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장이론은 ‘장’이라는 외부 환경과 그 환경에 대한 개인의 인식 및 의미와 관련하여 유기체를 총체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학습은 반드시 문제의 총체적 견지에서 설명되어야만 한다. 인간은 따로따로 떨어진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극의 조직체나 유형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이다. 장이론은 1930년대와 1940년대의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도출되었다. ‘gestalt’는 모양, 형태, 형상을 의미한다. 어떤 문제에 대한 해결은 개별적인 자극과 전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인식에 달려 있다. 개인이 이 관계를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따라 행동이 결정된다. 단지 지각만이 학습에서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더 결정적.. 2024. 2. 20.
교육과정의 심리학적·사회적 기초 – 인지심리학(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비고츠키(Vygotsky)는 인지발달과정에 대해 피아제와는 다르게 접근하였다. 비고츠키의 주요 이론은 사회적 근원과 개인 발달의 문화적 기반에 관한 것이다. 아동의 심리적 과정의 발달은 바로 사회의 관습과 체제로 입문하게 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피아제가 아동이 특정 인지적 과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특정 발달단계로 들어가야 한다고 본 반면, 비고츠키는 이와 다소 반대되는 견해로 아동이 어떤 특정 발달단계에 도달하기 전에도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특정 인지적 행동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본지적으로 비고츠키의 심리학 이론은 역사적·사회적 맥락 속에 위치 지어진 인간의 고유성에 대하여 논의한다. 인간의 심리적 지능은 동물의 심리적 과정과 다르다. 양자가 다른 중요한 이유는 .. 2024. 2. 15.
교육과정의 심리학적·사회적 기초 - 인지심리학(피아제 이론) ▶ 피아제의 이론 1) 피아제의 인지발달 4단계 2) 피아제 : 동화·조절·평형 피아제에 의하면 ‘동화(assimilation)’는 새로운 경험이 기존의 경험으로 통합되는 것을 의미한다. 동화는 아동의 경험을 기존 인지환경에 맞추어서 받아들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동화만으로 새로운 상황과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지 못한다. 그러므로 아동은 기존의 인지구조와 관련하여 새로운 인지구조를 조직하고 변화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것이 ‘조절(accommodation)’이다. 조절은 아동의 기존 인지구조가 환경에 대한 반응으로 변형되고 적응되는 것을 의미한다. ‘평형(equilibration)’은 사물에 대하여 이미 획득된 이해와 앞으로 이루어져야 할 이해 사이의 균형을 습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평.. 2024. 2. 14.
교육과정의 심리학적·사회적 기초 - 인지심리학 ■ 인지심리학 대부분의 심리학자는 인간의 성장과 발달을 인지적·사회적·심리적·신체적 발달로 분류한다. 인간은 이러한 모든 측면의 발달에 따라 성장하지만, 대부분의 심리학자는 학교에서의 학습은 본질상 인지적인 성격을 가진다고 본다. 발달심리학자는 인간학습의 발달적 측면에 더 관심을 가지며, 인지심리학자는 학습내용을 구조화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춘다. 또한 인지과학자들은 궁극적으로는 지식을 창출해 내기위해 형성하는 다양한 인지구조를 밝히는 데 관심을 가진다. 상당수의 교육자가 학교교육의 결과는 학습성취도 이상의 것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주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논란은 앞으로 더욱 심화될 것이다. 이 논란은 교육과 교수이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교육과정 전문가들은 이 논란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 ▶ 인지적 관.. 2024. 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