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들은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 경험들을 타인에게 이야기하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이러한 이야기를 통해 구어가 발달하고 구어의 발달은 문어의 발달을 촉진하게 된다. 인간이 타인과 의사소통하는 양식 중의 하나인 내러티브는 하나 이상의 사건이나 경험이 시간적으로 배열되어 있고, 내용이 있으며 인과적인 관계에 따라 의미 있는 에피소드로 조직되는 인지적 과정이다(박혜경, 정대련, 박소연, 이현주, 2004). 유아들의 내러티브는 크게 유아들이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사건을 나열하여 설명하는 일상적 내러티브와 실제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 상상의 사건을 꾸며 낸 이야기를 하는 가상적 내러티브로 나타난다.
내러티브 기술이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이영자, 이지현, 2009).
첫째, 내러티브 기술은 유아의 구어발달의 도구가 된다(Morrow, 1985). 유아는 자신의 경험을 표현하고 자기가 누구인지 자신의 존재를 이해하며 다른 사람에게 자신을 알리면서 상호작용하게 된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구어가 발달한다. 자신의 경험을 그 자리에 없었던 사람에게 전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어휘와 분명한 대명사를 사용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위 수준의 언어발달의 기회를 얻는다.
둘째, 내러티브는 개념발달과 연결된다. 유아는 아주 초보적인 형태일지라도 내러티브를 활용하여 개인적 경험과 일반적 사건에 대한 지식을 재구성한다.
셋째, 내러티브는 문해발달과 연결되며 학업 성취도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내러티브 기술의 발달은 유아에게 중요하다. 다음에서 일상적 내러티브와 가상적 내러티브를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을 소개한다.
1. 일상적 내러티브 증진 활동
일상적 내러티브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유아 개인의 이야기를 많이 하는 경험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 유아들은 자신에게 의미 있고, 인상 깊은 경험을 이야기하는 것을 매우 좋아한다. 교실에서 일어나는 일상적 내러티브 활동은 대·소 집단으로 일어나는 구조적 형태와 교사와 유아 간, 유아와 유아 간에 일어나는 비구조적 형태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구조적 형태로 나타나는 일상적 내러티브 활동은 주말이나 방학을 지내고 온 다음 경험한 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거나 현장 견학이나 소풍을 다녀 온 다음 나누는 이야기, 주제와 관련된 경험에 대한 이야기 나누기가 있다.
▴ 구조적 형태의 내러티브 활동에서의 유의점
- 교사의 개인적 내러티브를 먼저 유아에게 들려주어 모델링을 한다.
- 많은 유아의 이야기를 듣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몇 명의 유아의 이야기를 충분히 듣도록 한다.
- 유아가 단편적으로 하는 이야기에 적절한 질문을 하여 이야기를 연결할 수 있게 한다.
- 유아의 이야기를 전체적으로 정리하여 다시 들려준다.
- 고개를 끄덕이거나 미소를 지어 이야기를 하는 유아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 비구조적 형태의 내러티브 활동에서의 유의점
- 유아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느낌을 주는 비언어적인 표현을 한다.
“아, 그랬구나.”
- 유아에게 질문을 하여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래서 또, 무슨 일이 있었어?”
- 유아에게 일어난 일을 꼬치꼬치 캐는 것이 아니라 이야기하고 싶도록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을 염두에 둔다.
- 개별적으로 이야기하기를 어려워하는 유아에게는 먼저 교사의 이야기를 들려주어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선생님은 어제 마트에 갔었어.”
- 이야기 나누기 시간에 이야기를 더 하고 싶어 했던 유아들의 이야기를 들어준다.
“아까 하려던 이야기를 지금 해 줄래?”
2. 상상적 내러티브 증진 활동
듣고 말하는 것 모두를 포함한 내러티브의 경험은 유아들이 “언어의 상징적인 가능성: 말을 통해 가능하고 상상적인 세상을 창조하는 힘”을 깊이 느낄 수 있도록 돕는다(Wells, 1986; cf. Bruner, 1986). 자발적인 이야기 구성과 그룹 극화활동은 페일리(Vivian Paley, 1986; 1990; 2004)에 의해 시작되었고 이 활동은 유아들 자신이 주도적으로 이야기를 구성하고 말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언어적 능력을 증진시킨다. 다음에서 상상적 내러티브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이야기 만들기와 이야기 연극 활동을 소개한다.
< 유아언어교육, 박선희 · 박찬옥, KNOUPRESS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