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생적 문식성의 개념
문식성 발달에서 읽기 준비도 관점은 1980년대에 사회언어학, 인지심리학, 상호작용론의 영향으로 발생적 문식성(emergent literacy) 관점으로 전환되었다. 발생적 문식성이라는 개념은 클레이(Clay, 1966)가 처음으로 사용했고, 읽기 준비도를 갖추기 이전이나 형식적 교육을 받기 전에 읽거나 쓰기를 하고, 유아가 글자를 창안해 내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면서(Chomsky, 1979; Read, 1975), 읽기와 쓰기에 대한 발생적 관점이 더욱 지지를 받게 되었다. 발생적 문식성은 유아가 취학 전에 읽고 쓰기에 대한 형식적 지도를 받기 전에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읽기와 쓰기를 배우게 한다. 성인 수준의 읽기와 쓰기는 아니지만 시각적 상징을 활용하여 의미를 이해하고 전달하는 수준의 읽기와 쓰기 능력을 발생적 문식성이라고 한다. 아직 관습적으로 사용하는 수준의 읽기와 쓰기는 아니지만 그런 방향으로 발달하는 기초를 형성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문식성의 뿌리’라고도 한다.
발생적 문식성의 관점에서 읽기와 쓰기에 대한 기본 가정
① 읽기와 쓰기는 어려서부터 시작되어 계속 진행된다.
② 읽고, 쓰고, 말하고, 듣는 의사소통 기술은 서로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면서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역동적인 관계이다. 음성언어와 문식성은 분리되어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영향을 주면서 동시에 발달한다.
③ 발달은 일상의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문식의 사용을 요구하는 의미 있고 기능적인 경험을 통해 집, 지역사회, 학교의 일상의 상황에서 일어난다.
④ 문식성의 습득이 일어나는 상황은 사회적이다. 문식활동은 성인과 유아들의 협동과 또래 교수를 통해 상호작용한다.
⑤ 문식활동은 의미 있는 통합적인 특성을 갖는다. 가령 미술, 음악, 놀이, 사회, 과학과 같은 내용 영역 내에 의도적으로 내포되어 있다.
⑥ 읽기와 쓰기를 학습하는 것은 발달적 과정이다. 유아들은 아직 완전히 발달되거나 성숙한 읽기와 쓰기처럼 표준적인 기술은 아니지만 늘 문식적 기술을 익혀 간다(Teale, 1986). 발생적 문식성은 한 단어도 분간하지 못하더라도 유아가 끼적거린 표시를 기초적인 쓰기로 인정한다. 그런 끼적거리기와 그리기의 차이를 아는 유아는 글과 그림의 차이를 안다.
⑦ 유아가 그림과 글을 보면서 친숙한 그림책을 읽고 감상을 표현할 때 이러한 행동은 아직 표준적 수준의 읽기가 아니더라도 당연히 문식성으로 인정한다.
⑧ 유아들은 그들의 전통과 유산에 초점을 두고 주제를 통해 문식기술을 배우기 때문에 문화적 다양성에도 민감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문식성 발달은 어떤 문식적 수준에서 기능하건, 개인의 요구에 기초한 교수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든 수용한다. 발생적 문식성 관점은 기술을 직접적으로 교수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 해결을 강조하는 아동 중심의 접근이다.
2. 문식성 발달의 일반적 양상
문식성 발달의 일반적 양상은 유아들은 문식성의 기능에 먼저 관심이 있고, 그 다음으로 형태, 표준성에 관심을 갖는다는 것이다.
첫째, 유아들은 먼저 문자가 기능성을 갖는다는 것을 배운다(Goodman, 1984; Mason, 1980; Smith, 1971). 유아가 말하고, 읽고 쓰는 첫 단어는 삶에서 의미, 목적, 기능을 가진 것들이다. 가령 가족 이름, 도로 표지판, 맥도날드나 버거킹과 같은 식당 이름 등이다.
둘째, 유아는 글의 형태에 관심을 갖는다. 그리고 이름, 소리, 글자와 단어의 표준성 등 세부 사항에 대해 배우게 된다.
셋째, 글의 표준성(conventions of print)을 배운다. 읽고 쓸 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진행한다는 것, 구두점이 읽고 쓰는 데 목적이 있다는 것, 띄어쓰기가 단어와 글자를 구분하는 것 등임을 알게 된다.
이와 같은 문식성 발달 양상은 문식성이 풍부한 환경을 제공하여 가능한 한 기능성의 이해, 글의 형태, 표준성 등을 배울 기회를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이와 같은 문식성 발달 양상은 문식성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IRA(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와 NAEYC(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에서 공동으로 제안한 문식성 교육에 대한 입장(1998)은 다음과 같다.
① 문식성 학습은 영아기에 시작된다.
② 부모는 문식성이 풍부한 환경을 제공하여 유아들이 가정에서 읽기 기술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되게 한다. 부모는 유아들이 학교에 들어갈 때 자녀의 문식성 학습에 활발하게 참여할 필요가 있다.
③ 교사는 유아들이 문식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갖고 유아교육기관에 온다는 것과 이러한 지식에 개인차가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④ 유아들은 기존의 지식을 바탕으로 학교에서의 경험을 통해 문식적 기술을 계속 개발할 필요가 있다.
⑤ 문식성은 자신에 대해 긍정적 느낌을 형성할 수 있는 지지적 환경과 문식성 활동을 통해 학습된다.
⑥ 문식성은 접근할 수 있는 자료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하는 풍부한 문식 환경을 통해 학습된다.
⑦ 성인은 학습될 전략을 시범 보이고 책과 인쇄물에 관심을 보임으로써 문식적 행동에 모범을 보여야 한다.
⑧ 문식적 경험을 하는 동안 유아들은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사회적 맥락 내에서 상호작용하고 서로 학습하도록 동기를 부여한다.
⑨ 유아기의 문식적 경험은 문제해결 경험과 기술에 대한 명확한 직접 교수에 활발하게 참여하도록 의미가 있어야 하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⑩ 문식발달 프로그램은 구어발달을 포함하여 듣기, 읽기, 쓰기, 철자법, 보기를 포함하는 기능적이고 명확한 교수 경험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⑪ 조기 문식발달에서 문화적, 언어 배경적 다양성은 인정되어야 한다.
⑫ 문식성 발달은 유아 개개인에게 다르게 나타나고 개인적 요구가 충족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글을 읽으려고 애쓰는 유아들에게는 조기 개입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한다.
⑬ 성취 평가는 자주 이루어져야 하고, 교수 전략과 조화를 이루고 학생의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어야 한다.
⑭ 조기 문식성의 학년 기준에 대한 표준은 교수와 평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고, 4학년까지 모든 아동들이 유창하게 읽을 수 있는 수준에 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표준은 단지 기준일 뿐이고, 특정 시점에 모든 유아들에 의해 성취되지 않을 수 있다.
⑮ 프로그램은 수행 성취에 대한 높은 기대치를 갖고 발달에 적합한 실제의 개념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 유아언어교육, 박선희 · 박찬옥, KNOUPRESS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