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발음중심 언어 지도법의 개념
발음중심 언어 지도법(phonics language instruction)은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읽기를 지도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으로서 기초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게 하여 정확한 발음을 듣고, 읽고 쓰는 원리를 터득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교수법이다. 여기에서 기초적 지식과 기술이라는 것은 자·모 체계, 자소·음소(글자와 말소리)의 대응 관계, 철자법, 읽기과정에서 자·모 체계에 대한 지식의 적용방법 등이다(Harris & Hodges, 1995). 이 지도법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유아들이 머뭇거리지 않고 자동적으로 단어를 재인하여 효율적인 독자가 되게 하고, 모르는 글자를 접했을 때라도 쉽게 읽을 수 있고 쓸 수 있도록 하자는 데 있다. 한편, 스탈(Stahl, 1999)도 발음중심 교수법의 목표를 유아들이 읽은 것에서부터 의미를 구성해 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단어를 빨리 그리고 자동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해 바르고 정확한 단어의 인식은 효과적인 읽기와 문장의 이해를 위해 필요하므로 어려서부터 명확하게 글을 읽을 수 있는 기술을 체계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1920년대에는 게젤(Gesell)의 성숙주의를 받아들인 영향으로 유아가 읽기와 쓰기를 시작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는 ‘읽기 준비도’ 개념이 언어지도에 적용되어 왔으나 1960년대 행동주의 추종자들은 문식성 발달에 환경적 요인의 우세함을 설명하면서 가능한 한 읽기를 위한 기초 기능들을 가르쳐서 유아가 읽을 수 있도록 준비시켜야 한다는 ‘준비도의 가속화’ 개념을 도입하였다(Teale & Sulzby, 1986).
발음중심 언어 지도법을 유아에게 적용하는 데 비판적 시각이 있었던 것은 유아에게 무의미한 철자 연습을 지루하게 시킨다는 점, 교사가 부과한 연습지로 인해 또래의 상호작용 기회가 줄어들고 유아의 발달에 부적합하다는 점이었다. 그러나 이에 대해 발음중심 접근 옹호자들은 단순한 철자의 반복 연습이 아니라 동기 유발과 피드백의 조절로 재미있게 지도할 수 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또한 읽고 쓰는 것을 성공적으로 배우기 위해서는 소리-기호 관계나 발음중심 지도법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Adams, 1990; Juel, 1994). 어떤 유아들은 다른 유아들보다 음소인식과 발음중심 교수법을 교수과정에서 더 많이 요구한다.
발음중심 언어 지도법의 특징
첫째, 행동주의 접근에 기초하여 발음 지도법에서 글자와 말소리의 관계를 미리 정해진 순서대로 체계적이며 직접적이고 명시적인 방법으로 가르치는 것을 강조한다.
둘째, 모르는 글자의 학습에는 모방과 반복 연습을 최선의 방법으로 여기고 자극과 강화를 통해 지도한다.
셋째, 음소인식 교수를 강조한다. 유아들은 처음에 읽기와 쓰기를 실험하기 시작할 때 단어를 만드는 소리에 초점을 둘 필요를 느낀다. 단어가 낱낱의 소리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아는 것과 단어에서 이러한 소리들을 나누는 능력과 그들을 합치는 능력을 음소인식(phonemic awareness)이라 한다(Juel, 1994). 연구에 의하면 유아원, 유치원, 1학년에서 음소인식 교수는 읽기 성취를 강화하고, 발음중신 교수법의 선구가 된다(Byrne & Fielding-Barnsley, 1993, 1995; Stanovich, 1986). 음소인식으로 유아들은 ① 철자 이해(단어가 어떤 글자들로 구성되었는지를 아는 것), ② 암호 해독의 의도, 소리-상징 관계(문자와 말소리 간의 관계를 아는 것)를 포함한 발음중심 교수법을 배울 수 있다. 또한 발음중심 지도는 자모음의 낱자로부터 시작하여 단어, 문장, 이야기의 순서로 나아가는 상향식 접근(bottom-up approach)이다. 그런 과정에서 읽기 학습의 최종 목표인 해독)decoding)과 부호화(encoding)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다(주영희, 2001).
넷째, 언어교육에서 말하기와 듣기는 가르치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지만 읽기와 쓰기는 형식적인 교수법을 통해 지도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2. 발음중심 언어 지도의 방법
발음중심 언어 지도법의 중요한 쟁점은 발음중심 읽기 지도의 시작시기 문제와, 얼마나 직접적인 방법으로 글자와 말소리의 관계를 가르쳐야 하는가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고려하여 어떻게 자료를 준비하고 방법을 적용하는가에 따라 발음중심 읽기 지도의 성격이 달라질 수 있다. 발음중심 언어 지도에서 고려할 사항과 몇 가지 방법을 살펴본다.
첫째, 음소인식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를 위해 시작점에서 교육 내용과 자료의 수준을 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ㄱ, ㄴ, ㄷ’ 순서로 가르치는가. ‘가, 나, 다’ 순서인가, ‘가자, 나가자’ 등의 자음의 철자부터인지, 모음부터 가르칠 것인지 등을 정한다. 또한 낱자 중심인가 음절 중심인가를 정해서 자모체계를 가르칠 때에도 단순히 그 규칙만 적용할 것인지, 유아에게 초점을 맞추어 관심 있는 사람, 사물 등의 이름이나 명칭부터 시작할 것인지도 정한다.
둘째, 글자를 제시하고 그것을 말소리로 바꾸는 발음뿐만 아니라 철자법도 병행하여 지도할 수 있다.
셋째, 하나의 글자와 말소리의 관계를 가르치기 위해 어느 정도 반복 연습을 시킬 것인지, 그림과 연결 짓기나 다른 글자와 연결하여 어느 정도의 일반화를 의도하는지 결정한다.
넷째, 탈맥락적인 상황에서 기초적인 읽기 교재나 연습지를 사용하여 교사의 지시에 따라 대집단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다섯째, 자모체계의 이름과 글자와 말소리의 관계를 이해하고 낱말 속의 낱자의 소리를 식별하고 그 소리들을 조합하고, 분절하고, 삽입하고, 빼고, 대체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여섯째, 언어 사용에서 유아가 표현하는 의미와 동기는 중요하게 여기지 않고 주어진 과제의 결과물이 명시된 목표에 도달했는가에 따라 획일적으로 평가한다.
일곱째, 유아는 주어진 과제를 수동적으로 수행하고, 교사는 유아의 언어 사용에 대한 강화자, 언어 모델 제공자의 역할을 한다.
< 유아언어교육, 박선희 · 박찬옥, KNOUPRESS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