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쪽
■ 시간표집법의 활용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는 사용하기 쉬운 시간표집법을 활용하여 영유아의 행동적 특성과 발달을 관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기 초 기관에 등원하여 우는 행동을 나타내는 영아를 자주 볼 수 있다. 이때 교사가 우는 행동이 얼마나 자주 빈번하게 나타나는지를 알고 싶은 경우 시간표집법을 활용하여 우는 행동의 빈도에 대해 조사할 수 있다. 시간표집법을 활용하여 관찰을 하는 경우 유아가 교실 내에서 자주 나타내는 특정 행동을 선정하여야 한다.
시간표집은 미리 관찰하려고 선정한 행동을 일정한 시간 간격에 따라 행동의 출현 유무를 관찰하는 방법으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관찰법이다. 시간표집법은 짧은 시간에 나타나는 행동을 기록하므로 빈번히 발생하는 행동이어야 관찰의 대상행동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관찰 대상행동은 적어도 20~30분에 한 번 정도는 발생하여야 시간표집법을 통해 관찰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아가 교실에서 자주 참여하는 놀이유형, 유아가 선호하는 영역, 혹은 함께 노는 또래 등은 짧은 시간 안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기에 이를 기록하기에는 시간표집법이 적절하다. 그러나 유아의 울음이나 슬픔에 대한 관찰을 하고 싶은 경우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이 자주 발생하지 않기에 시간표집법을 사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시간표집법의 특성은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의 출현 유무를 기록하기 위해 미리 표집의 시간단위를 정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시간표집법을 이용하여 유아가 자유놀이시간에 선호하는 놀이유형을 조사한다고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① 1회 관찰에 필요한 시간의 단위를 정한다. 1회 관찰시간(10초, 15초, 20초, 30초 혹은 1분 등)을 관찰자가 특정 행동의 출현시간을 고려하여 정하여야 한다.
② 관찰시간과 기록시간을 분리할 수 있다. 유아를 20초 관찰 후 10초간 기록한다.
③ 관찰 행동을 몇 회에 걸쳐 관찰할지를 결정하여야 한다. 각 유아의 특정 행동을 몇 회에 걸쳐 몇 초의 표집 시간으로 관찰할지를 정하면 총 관찰시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표집법으로 교실 내의 유아 5명의 사회적 놀이수준을 관찰하고자 할 때, 관찰자가 1회의 관찰 시 한 유아당 20초 관찰을 하고 10초를 관찰내용의 기록을 위해 사용하면, 한 유아를 1회 관찰하는 데는 30초가 필요하며 교실 내의 유아 5명을 1회 관찰하는 데는 150초가 소요된다.
만약 각 유아의 사회적 놀이수준을 20회씩 관찰하려고 한다면 관찰대상 유아 5명을 전부 20회씩 관찰하는 데는 150초 X 20회로 3,000초가 필요하다.
또한 관찰을 시작하기 전에 관찰자는 관찰시간을 정하는 것 이외에도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의 범주에 대해 이해하고, 각 범주의 조작적 정의를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관찰자가 여러 명의 경우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범주의 조작적 정의를 숙지한 후 관찰을 시작하여야 관찰자 간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1. 시간표집법의 장점과 단점
일정한 시간간격에 따라 특정행동의 빈도를 관찰하는 시간표집법은 정해진 시간에 특정 행동의 발생유무를 기록하므로, 쉽게 빈도를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수량화하여 통계적 분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짧은 시간에 많은 유아를 관찰할 수 있기에 자료 수집이 용이하고, 자주 발생하는 개인 혹은 집단의 행동적 특성에 대한 자료를 객관적으로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표집법은 다른 관찰법에 비해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노력과 경비의 부담이 크지 않다는 장점이 있다.
시간표집법의 단점은 특정 행동의 발생유무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 때문에 특정행동이 발생한 상황에 대한 자료 수집이 어렵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철수는 우는 행동에 대한 횟수를 알 수는 있으나 철수가 우는 이유, 우는 과정에서의 행동, 우는 상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기가 힘이 든다. 그리고 시간표집법은 자주 발생하는 사건에 한해서만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실에서 자주 발생하는 사건에 한해서만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실에서 자주 발생하지 않는 행동은 시간표집법을 활용하기 힘들기에 적어도 15~30분 이내에 한 번은 발생하는 행동을 대상으로 해야 한다. 따라서 예비 관찰을 통해 발생 시간에 대한 조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시간표집법은 눈으로 관찰가능한 행동(외현행동)에만 활용가능하다. 눈으로 관찰하기 힘든 행동 즉 감정 혹은 생각 등은 시간표집법을 활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 시간표집법 적용의 예
1. 사회적 놀이 수준
시간표집법을 활용한 연구는 우리에게 많이 소개되어져 왔으며 그 중에서도 우리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유아의 놀이와 관련된 연구를 중심으로 시간표집법의 활용을 살펴보자.
1930년대에 이르러 아동연구운동(child study movement)이 일어나면서 유아의 놀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파튼(Parten, 1932)은 대학의 시범유치원에 다니는 유아를 대상으로 자유놀이시간에 일어나는 놀이에 대해 연구했다. 그녀는 놀이를 혼자놀이, 병행놀이, 연합놀이, 협동놀이 그리고 비참여행동과 방관행동으로 구분하고 이를 사회적 놀이수준이라고 했다.
파튼이 구분한 놀이범주인 사회적 놀이수준은 오늘날에도 많이 활용되고 있다. 혼자놀이는 가장 낮은 놀이수준이며 협동놀이는 가장 높은 수준의 사회적 놀이다. 연령이 낮은 2~3세 유아는 혼자놀이에 많이 참여하는 반면, 5~6세 유아는 연합놀이와 협동놀이를 많이 한다. 사회적 놀이수준은 유아의 연령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연령이 높을 수록 높은 사회적 놀이 수준을 나타낸다. 높은 사회적 놀이 수준인 연합놀이와 협동놀이는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파튼의 놀이유형 중 연합놀이와 협동놀이를 구분하기 쉽지 않아 최근에는 이를 집단놀이로 분류하여 사용한다(Rubin et al., 1978; Rubin, Fein & Vandenberg, 1983).
남아와 여아의 사회적 놀이수준에는 커다란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즉, 성별에 따른 차이를 관찰하기는 어렵고, 연령에 따라 다른 수준의 사회적 놀이에 참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사회적 놀이수준의 구체적 범주와 조작적 정의는 아래 표와 같다.
사회적 놀이수준
사회적 놀이수준 범주 | 조작적 정의 |
혼자놀이(solitary play) | 또래와 떨어져 친구가 사용하는 놀잇감과는 다른 놀잇감으로 혼자서 놀이함 |
병행놀이(parallel play) | 주변의 다른 유아들 근처에서 같이 놀이를 하지만 다른 유아들과는 어떤 상호작용이 없이 놀이함 |
연합놀이(associative play) | 친구와 비슷한 활동에 참여하지만 특정한 목적이나 생산물에 대한 의도는 없음 |
협동놀이(cooperative play) | 생산물을 만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그룹을 지어 활동함. 역할놀이나 규칙을 가지고 있는 형식적 게임도 포함됨 |
비참여행동(unoccupied) | 비놀이행동으로 또래를 바라보거나 자신의 몸을 만지작거리는 행동을 반복함 |
방관행동(onlooker) | 다른 유아의 놀이를 지켜보지만 놀이에 참영하지 않음 |
사회적 놀이수준을 활용한 많은 놀이 연구는 시간표집법을 활용하고 있다.
2. 인지적 놀이수준
피아제(Piaget, 1962)는 유아의 인지발달을 감각운동기, 전조작기, 구체적조작기, 형식적 조작기의 네 단계로 구분하고, 유아의 놀이도 연습놀이, 역할놀이, 그리고 게임의 형태로 유아의 인지발달 단계에 따라 변화한다고 주장하였다. 피아제가 제시한 인지발달 단계에 따른 유아의 놀이유형을 토대로 스밀란스키(Smilausky, 1968)는 놀이의 유형을 기능놀이(functional play: F), 구성놀이(constructional play: C), 역할놀이(dramatic play: D), 규칙이 있는 게임(games with rules: G)의 네 가지 형태로 분류하였고 이를 인지적 놀이수준이라 하였다.
인지적 놀이수준의 범주와 조작적 정의는 아래의 표과 같다.
인지적 놀이수준의 특성은 유아의 연령과 깊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2~3세의 유아는 주로 기능놀이를 많이 하며, 4~5세의 유아는 구성놀이나 역할놀이, 그리고 6세 이상의 유아는 규칙이 있는 게임에 많이 참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지적 놀이수준은 유아의 성별과도 깊은 상관관계가 있어 남아는 여아보다 기능놀이를, 여아는 남아보다 구성놀이를 많이 한다. 시간표집법을 사용하여 관찰할 수 있는 관찰지는 관찰자가 임의로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 수 있다.
인지적 놀이수준
범주 | 조작적 정의 |
기능놀이 (functional play) |
기능적인 즐거움을 위해 반복적으로 되풀이하는 단순한 놀이 |
구성놀이 (constructional play) |
놀잇감을 이용하여 무엇을 만들고 창조하는 놀이 |
역할놀이 (dramatic play) |
눈앞에 없는 무엇인가를 상징하기 위해 사물이나 사람을 이용해 시간, 공간, 사물, 역할을 표상하여 행하는 놀이 |
규칙이 있는 게임 (games with rules) |
미리 정해진 규칙에 따라 행하는 놀이 |
3. 교실에서의 유아의 놀이영역 선택
유아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자유놀이시간에 영유아들은 교실 내의 다양한 놀이영역을 선택하여 또래와 함께 놀이를 한다. 교사는 다음의 놀이영역 선택 관찰지를 활용하여 유아의 놀이영역 선호를 관찰할 수 있다. 교사가 유아가 선택한 놀이영역에서 함께 놀이하는 또래를 알고 싶은 경우 특정 영역을 표시한 이후 또래의 이름을 기록한다.
<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홍순정·최석란 / KNOUPRESS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