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아동 중심 교육

by ⍣Humpback whale⍣ 2023. 5. 13.
반응형

듀이(Dewey)는 유아를 대상으로 교육할 때 ‘유아가 무엇을 알아야 하는가’보다 ‘어떻게 배워야 하는가’에 초점을 두어 교육해야 한다고 하면서 교육의 발상 전환을 강조하였다. 듀이가 말하는 교육의 발상 전환이란 교사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전통적인 교수-학습에서 유아가 내면에 가지고 있는 흥미나 호기심을 반영하는 교수-학습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듀이 이전에 이루어지던 교육은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교육으로 학습자로서의 유아는 교실에서 수동적인 존재였다. 즉, 유아는 사회를 유지하고 존속시키는 존재이므로 그러한 역할에 필요한 다양한 지식이나 정보 등을 배워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교사가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것을 선정하여 학습자인 유아에게 전달하는 형태의 교육이었으므로 이를 교사 중심의 교육이라고 한다. 따라서 아동 중심이라는 말은 교육적 내용과 방법에서 교사 중심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아동 중심 교육은 아동관을 수동적인 입장에서 바라보는 관점에 근거해서 이루어지는 교육이 아니다. 아동 중심에서 의미하는 유아는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존재로서 호기심과 흥미를 바탕으로 스스로 발달할 수 있다. 여기에는 유아가 필요로 하는 것을 교사가 알고 이를 제공해 주는 역할을 전제로 한다. 유아의 필요는 기본적으로 의견이나 요구를 반영하는 것으로, 이는 곧 아동 존중의 사상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아동 중심은 기본적으로 아동이 주체가 되는 것이다. 즉, 교육에서 유아가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으로 유아가 선택하고 주도하는 것을 지향한다. 이는 영아의 ‘child-centered’로 아동이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아동 중심은 버먼(Burman, 1994)에 의하면 준비도(度), 자유로운 선택, 유아의 필요, 놀이, 스스로에 의한 발견으로 정리된다.

 

첫째, 준비도는 유아 내면의 동기, 흥미, 호기심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준비되었다는 것이다. 자연발생적 흥미와 호기심이 나타나서 유아가 스스로 준비되어 어떤일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며, 기능과 기술, 이해, 활용 등이 효율적으로 발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것은 유아의 내적 체계가 아직 준비되지 않았다는 것이며, 내적 동기나 흥미 등이 아직 발현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둘째, 자유로운 선택은 스스로의 의지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기회 가운데 하나를 고른다는 것이다. 자유의지를 바탕으로 선택하는 것이므로 자유선택은 의사결정과 주도성, 흥미와 호기심의 표현 등을 내포한다. 그러나 자유선택은 주어진 환경과 타인에게 방해가 되지 않는 것을 통해 자신의 기회를 추구하는 것이므로 환경적 제약과 타인의 존중이라는 제한점이 있다.

 

자유로운 선택은 유아의 내적 흥미를 반영하는 것으로 유아교육과정의 운영에서 자유선택활동과 관계가 있다. 자유선택활동을 운영하는 것은 아동 중심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는 것으로 유아가 가진 내적 흥미와 호기심이 효과적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유아를 배려하는 것이다.

 

셋째, 유아의 필요이다. 필요는 당위성과 정당성을 내포하면서 기준에의 부합 정도나 부족함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인간 발달에서 필요란 어떤 규준을 당연히 채우는 정도와 내용을 말하는 것으로 외적 필요와 내적 필요로 구분할 수 있다. 외적 필요는 겉으로 드러나는 현상에 대한 부족을 보충하기 위한 것이고, 내적 필요는 내부의 발달이나 흥미와 관련된다.

 

아동 중심에서의 필요는 궁극적으로 내적 필요를 지향한다. 내적 필요는 내부의 발달이 어떻게 전개되는가에 따라 그 내용과 정도 및 속성을 달리한다. 그러므로 필요는 유아가 가지고 있는 독특성을 반영하는 거싱며 발달이나 교육의 실질적인 기준을 유아에게 맞춘다는 것이다. 그런데 교육의 측면에서 필요는 성인에 의해 조장되고 이끌어지는 부분들이 많다. 유아의 필요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유아 내면의 욕구를 표현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교육해야 함을 의미한다.

 

넷째, 놀이다. 놀이는 모든 인간이 즐길 수 있는 활동이지만 유아들의 내적 흥미, 자연성을 가장 잘 표현해 준다. 아리즈(Aries, 1962)에 의하면 과거의 놀이는 사교적인 행위였지만 현대에는 다양한 입장이 존재한다. 특히 놀이에 대한 피아제의 입장은 인지적 동화작용히며, 비고츠키에 의하면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하는 인간발달(변화)의 통로이다.

 

유아는 놀이를 통해 세상의 가치를 실험하고 규칙을 습득하며 정보를 이해하고 즐길 수 있다. 즉, 놀이는 유아의 전부이자 학습의 통로이며 세상의 지혜를 경험하는 장(場)이다. 그러므로 놀이를 유아의 일로 간주하는 것은 부적절한 표현이며, 유아기에 이루어지는 자연발생적인 현상을 놀이라고 해야 한다. 유아들의 입장에서는 놀이를 단지 놀이로 바라보는 것이 필요하며, 놀이 속에 들어 있는 유아문화를 이해하면서 그것을 조장해야 한다.

 

다섯째, 스스로에 의한 발견이다. 발견이란 새로움을 창조하는 밑거름이다. 발견을 통해 유아는 스스로의 지식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성인은 유아의 발견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발견이 이루어지는 맥락으로는 차이가 있는 곳, 다양함이 존재하는 곳, 변화를 추구하는 곳이다. 차이를 느끼는 개인은 스스로 탐색하고 발견할 수 있으며, 빈약한 환경보다 다양한 환경에서 더 잘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발견은 변화를 추구하여 새로움을 가질 수 있는 목표 지향적인 환경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 유아교육철학 및 교육사, 김희태·정석환, KNOUPRESS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