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문식성에 대한 연구 결과는 1950년대부터 읽기 준비도에 깊이 뿌리내린 실제에 도전하게 되었다. 틸(Teale, 1982)은 부분에서 전체로 진행되는 기술의 체계를 가진 전형적인 문식성 교육과정은 유아들이 읽기를 배우는 방식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주장하였다. 블록 영역, 극화놀이 영역이 많은 학급에서 사라졌고, 사회교육과 과학에서 간학문적인 영역이 글자를 학습하는 것과 같은 기술 훈련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았다. 학급은 더 이상 유아 중심이지도 않고 학습지를 순서대로 하는 데 시간을 보낼 뿐이었다.
1. 구어발달 연구
1960년대와 1970년대 사이에 이루어진 유아들이 구어를 어떻게 배우는가에 대한 연구에 의해 그 이전인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뿌리내렸던 문식성에 대한 태도가 도전을 받게 되었다. 언어 습득이 발달적 성숙에 기초하지만 다수의 연구는 유아들이 언어를 구성함으로써 언어를 습득하는 데 활발한 역할을 한다고 밝혔다. 유아들은 어른들의 언어를 흉내 내고 자신의 생각을 소통할 필요가 있지만 적절한 약정적 언어를 모를 때는 말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첫 단어는 보통 기능적 단어이고, 그것들이 긍정적으로 강화될 때 말을 만들어 내는 것을 지속하기도 한다. 언어적 환경이 풍부하고 사회적 맥락에서 어른과 언어를 많이 사용하는 유아들은 이러한 기회가 부족한 유아들보다 구어 기능이 더 발달하게 된다(Bruner, 1975; Cazden, 1992; Chomsky, 1992; Chomsky, 1965; Halliday, 1975). 또한 모국어에 대한 튼튼한 기초가 외국어에 대한 습득을 돕는다(Cummins, 1981).
2. 가정에서 문식발달에 대한 연구
다수의 연구들은 취학 전 직접 교수를 받지 않고도 가정에서 읽기를 습득하는 유아들에 대해 조사하였다(Durkin, 1966; Heath, 1980; Holdaway, 1979; Morrow, 1983; Taylor, 1983; Teale, 1984). 그런 가정은 책과 다른 읽을 자료를 포함한 풍부한 독서 환경을 제공하고, 가족 구성원이 문식활동을 함께한 경우이다. 가령 책이나 인쇄물에 대한 유아들의 질문에 답하고, 자주 책을 읽어 주고 문식활동에 참여한 것에 보상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읽기는 자연스럽게 배운다.”라는 말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즉, 유아들에게 전혀 가르치지 않아도 갑자기 책을 읽을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실제로 가정에서는 형식적인 지도 없이도 읽기와 관련된 많은 일들이 일어난다. 가령 함께 책을 읽을 동안 책과 인쇄물에 대해 이미 알고 있는 것에 대한 정보를 상호작용을 통해 전달한다. 가정에서의 문식성에 대한 연구는 학급에서의 교수법의 변화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3. 읽기발달에 관한 연구
굿맨(Goodman, 1984)은 읽기에 요구되는 많은 것들을 유아들이알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유아들은 이미 책에서 글자와 그림의 차이를 알았고, 어떻게 책을 다루고 책장을 넘기는지 알았으며, 책은 인쇄된 글자를 통해 의미를 전달한다는 것도 알았다. 굿맨의 연구는 친숙한 상황에서 주변의 인쇄물에 대한 유아들의 인식에 관심을 가졌고, 문식성이 풍부한 환경은 언어 습득만큼 자연스럽게 읽기를 배우게 한다고 제안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유아들이 직접 교수를 받지 않고도 집에서 읽기를 배울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고, 언어발달을 증진시키는 활동과 문제 해결, 이야기 듣기, 이야기 쓰기 등의 경험을 많이 하도록 격려하였다.
4. 쓰기발달에 관한 연구
영아가 종이에 뭔가를 표시하는 첫 시도에 대한 연구들은 영아들이 어려서부터 쓰기를 통해 의사소통하려는 의지가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클레이(Clay, 1975)는 유아들의 글쓰기의 첫 시도에 관한 샘플 분석을 통해 유아들은 쓰는 것에 흥미를 느끼고 어른들의 쓰는 행위를 본받지도 하며, 끼적거리고, 그림을 그리고, 아무렇게나 쓰는 글자들이나 스스로 고안해 낸 철자들이 초기 쓰기의 유형들이라고 밝혔다. 읽기와 쓰기 발달은 하나의 과정으로 보는 경향이 많다. 과거에는 쓰기는 읽는 능력 후에 발달하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유아교육과정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러나 유아의 쓰기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태도를 변화시켰고, 악급에서 일어나는 교육 실제에도 변화를 일으켰다. 유아원과 유치원에서 쓰기를 격려하고 쓰는 행위의 첫 시도를 칭찬하는 것은 유아교육기관의 학급에서 일어나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성숙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특정한 능력 수준에 도달해야 한다. 구어와 읽기, 쓰기의 기술에 도달하기 위해 유아들은 모방할 모델이 필요하고 자신의 읽기, 쓰기, 말하기의 형식을 창안해 낼 자유가 필요하다. 따라서 유아의 문식성 발달이 지속될 수 있도록 긍정적으로 강화되고 안내되어야 한다. 문식성 발달은 유아들이 학교에 들어갈 때 형식적인 교수를 통해 시작되는 것이 아니다. 이미 취학 시에 유아들은 문식성에 대한 많은 개념과 구어, 읽기, 쓰기에 필요한 어떤 능력을 갖고 있다. 유아들은 그리기와 쓰기 사이의 차이를 알고 창안적인 방식으로 쓰는 것을 흉내 낼 수 있다. 많은 유아들은 도로 표지판, 음식물 포장, 가게 간판과 같은 주변 환경 속의 인쇄물로부터 어휘 읽기를 배우고, 텔레비전과 컴퓨터 프로그램이 조기 문식적 지식의 근원이 된다.
연구 결과는 유아들은 의미 있고 기능적인 상황에서 가장 잘 배운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유아들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성인과 다른 유아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식성을 개발한다.
< 유아언어교육, 박선희 · 박찬옥, KNOUPRESS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