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동발달
1) 주요한 운동발달
세발자전거 타기는 영아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세발자전거를 타고 집에서 조금씩 멀어짐에 따라 영아는 가족으로부터 독립을 경험하고 또래들과 동일시를 증가시킨다. 2세 영아의 50%, 그리고 3세 영아의 90%가 세발자전거를 탈 수 있다(장휘숙, 2001).
■ 인지발달
1) 주요한 인지발달(범주화)
범주는 개념이라는 용어와 흔히 유사한 의미를 가지고 함께 쓰이고 있다. 환경 속에서 접하게 되는 수많은 사물과 사건은 성질에 따라 몇가지 범주로 나뉠 수 있다. 자연범주에는 포유류와 새와 같은 생물, 금이나 돌과 같은 무생물이 포함된다. 의자나 자동차는 인공범주라고 하며, 세모와 네모 등 기하학적 도형은 인위적 범주라고 한다. 자연범주에는 가구, 도구 등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사물이 포함되어 자연언어범주라고 하기도 한다.
♣ 범주화
사물이나 개념들이 지닌 공통적인 속성, 용도, 관계 등을 이용하여 사물이나 개념들을 조직하는 전략을 뜻한다. 범주화 전략은 개념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인간이 사상을 손쉽게 변별하고, 이해하고, 기억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준다. 범주화는 위계적으로 이루어지는데 다음 그림은 이러한 위계적 범주화의 예를 보여 준다.
인간은 일반적으로 나이가 듦에 따라 범주화 전략을 사용하여 기억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나이든 아동들은 어린 아동들보다 개개 대상을 범주별로 한데 모아서 동일 범주의 항목을 함께 학습하는 전략을 선택하는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사과, 배, 장미, 송아지, 강아지, 귤, 호박, 국화의 그림을 보여 주고 외워보라고 하면, 어린 아동들은 그냥 외우려는 전략을 사용하고, 나이든 아동들은 ‘과일’, ‘꽃’, ‘가축’으로 범주화하고 외우는 전략을 사용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범주화 [範疇化, classification, categorization] (교육심리학용어사전, 2000. 1. 10., 한국교육심리학회)
19개월 된 영아와 24개월 된 영아는 개와 말, 개와 토끼를 구별하지 못하고, 31개월이 되어야 구별할 수 있다. 반면에 이 세 연령층의 아이들은 상위수준인 동물범주와 교통수단범주에 대해 다르게 반응한다(Mandler, Bauer, & McDonough, 1991). 이 결과에 대해 Mandler는 영아가 반응하는 것은 상위수준 범주에 대한 것이 아니라 포괄적 범주(globat category)에 대한 것이라고 하였다. 즉, 영아는 동물범주와 교통수단범주를 구별할 수 있지만, 각 범주에 속하는 기본수준 범주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영아에게 동물범주와 교통수단범주 등은 포괄적 범주로서 이해될 뿐이며, 포괄적 범주에는 지각적 유사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결국 영아들은 기본수준 범주를 구성원으로 포함하는 상위수준 범주로서의 동물과 교통수단을 이해하지는 못한다(성현란, 2001).
♣ 기본 수준 범주
개념의 위계 구조상에서 인지 경제성과 정보성이 절충되는 중간 수준의 범주로, 이에 속하는 사례들은 상당수의 공통 속성을 공유하며, 그 사례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이 유사하고, 지각적 유사성이 매우 높다. 또한 심상을 그릴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준이며, 사물들을 범주화할 때 가장 먼저 사용하는 수준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기본 수준 범주 [basic level category] (실험심리학용어사전, 2008., 곽호완, 박창호, 이태연, 김문수, 진영선)
사물을 분류할 때 어떤 차원에 기초하는지를 밝힌 연구들에 의하면 크게 지각적 분류, 주제적 분류, 그리고 개념적 또는 범주적 분류로 나눌 수 있다. 이들 분류방식 중에서 가장 어릴 때 나타나는 분류방식은 사물의 색이나 형태 등의 공통성에 기초해서 분류하는 지각적 분류이고, 그 다음 단계에서 사물들간의 상호작용적 관계 또는 시공간적 관계에 기초하는 주제적 분류가 나타난다. 그 후에 가장 발달된 분류방식으로 간주되는 개념적 또는 범주적 분류방식이 나타나는데, 이는 개개의 사물들을 특정 범주개념에 기초해서 분류하는 방식이다. 연구에 의하면, 과제의 구성방식이나 실험절차에 따라 아동의 개념적 분류행동이 촉진되거나 저해된다(성현란, 1990).
Waxman, Chambers, yntema 및 Gelman(1989)은 3세 유아에게 실험자가 미리 각 범주에 해당되는 몇 가지 사물들을 제시해 주고, 이 각각의 사물이 제시된 범주에 속하는지를 결정하게 하였다. 그들은 여러 범주를 동시에 대조시켜 배열해 놓고 분류하게 하는 대조적 조건과 범주를 하나씩 제시하여 각 사물을 분류하게 한 후 다음 범주를 차례로 제시해가는 보완적 조건에 따라 개념적 분류의 정반응 양상을 살펴보았는데, 이 두 조건간에 나타나는 정반응의 양상이 서로 달랐다. 즉, 3세 유아의 경우 대조적 조건에서는 정반응률이 정상 분포하는 것이 아니라 아주 낮거나 혹은 높은 정반응을 하는 유아들로 양분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즉, 3세 유아 중에서 범주개념을 어느 정도 이해하기 시작하는 유아는 여러 범주가 동시에 대조적으로 제시되면, 사물을 개념적으로 분류하는데 도움을 받아 정반응률이 높아졌다. 그러나 범주개념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유아는 동시에 여러 범주가 제시되면 인지적 처리 부담만 커지게 되어 오히려 정반응률이 낮아졌다.
성현란(1995)은 3,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범주배열(대조적 조건과 보완적 조건) 효과뿐 아니라 범주의 전형성의 효과도 함께 검토하였다. 결과는 자극이 비전형적인 경우보다 전형적인 경우 개념적 분류의 정반응률이 더 높았다. 연령, 자극배열 조건, 자극의 전형성간에 유의미한 상호작용효과도 나타났다. 즉, 3세 유아에게 분류자극을 전형적인 것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대조적 조건과 보완적 조건에서 수행차이가 없었지만, 비전형적인 것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대조적 조건보다 보완적 조건에서 정반응률이 높았다. 그러나 4, 5세 유아는 오히려 대조적 조건에서 정반응률이 높았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범주의 전형성은 유아가 개념적 분류를 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 중의 하나며, 자극배열은 범주전형성과 밀접하게 상호작용하고 있다. 자연언어범주의 발달에 관한 이들 선행연구들에 기초하면, 분류자극을 전형적인 것으로 구성하고 보완적 절차를 이용하면 3세 이전의 영아에서도 개념적 분류행동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 사회성 발달
1) 주요한 사회성 발달
(1) 성 개념과 범주적 자기
▶ 성 정체감
30개월경이 되면 성별 명칭을 구별할 수 있다. 즉, 소년이나, 소녀와 같은 성별과 관련된 범주적 명칭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시작한다(Huston, 1983). 특히 성 명칭은 아이보다 어른에 대해서 더욱 빨리 획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2.5~3세까지 거의 모든 영아들이 아직 '성 항상성'(생물학적 성이 변할 수 없다는 보존개념의 인식)을 발달시키지는 못한다 해도 적어도 자신이 남자인지 여자인지를 정확하게 명명할 수는 있다. 겉모습만 바꾸면(즉, 머리모양이나 의복을 바꿈으로써) 성이 변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도 한다(Marcus & Overton, 1978; Slaby & Frey, 1975). 영아의 성 항상성 인식의 특징은 타인보다는 자신의 성 향상성을 먼저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Gouze & Nadelman, 1980). 즉, 영아들은 우선은 자기에게, 다음으로 동성에게, 마지막으로 이성에게 성 항상성을 인식한다(Eaton & Von Bargen, 1981). 3세경의 영아들은 아직 성 항상성(gender consistency)이 형성되지 않아 원하기만 하면 성을 바꿀 수 있다고 믿고 있지만, 이미 자신이 여자이거나 아니면 남자라는 것을 잘 알고 있다(Kohlberg, 1969).
▶ 성 고정관념
Jacklin과 Mccoby(1978)에 의하면 33개월경 남아는 여아보다 남아에게 사회적 반응을 더 많이 했으며, 여아는 남아보다는 여아에게 더욱 사교적이었다. 또한 동성 짝들간의 상호작용은 근본적으로 활기차고 긍정적이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이성 짝과의 상호작용에서 여아들은 남아들에게 잘 접근하지 않았으며, 남아들은 혼자서 놀이를 계속하고 있었다. 간혹 남아들은 여아들을 깜짝 놀라게 함으로써 겁을 주었다. 물론 이런 결과에 대해서 남아와 여아들은 서로 다른 종류의 장난감에 대해 흥미를 갖게 되었으므로 그런 장난감을 갖고 같이 놀 수 있는 동성 놀이짝을 더 좋아한다고 설명하기도 한다(Shaffer, 1992).
곽윤숙(1986)은 유아원을 중심으로 놀이를 관찰한 결과, 아이들은 동성끼리 놀이를 즐기며, 성별에 따라 놀이의 구분도 달리 나타나고 있었다. 남아들은 전쟁놀이, 태권도 시합, 씨름, 뜀틀 넘기, 적목놀이 등의 동적인 활동을 하는 반면, 여아들은 소꿉놀이, 엄마놀이, 그림 그리기 등의 정적인 활동을 하였다. 남아와 여아가 어울려서 함께 노는 경우는 드물었으며, 같이 놀 때에는 남아와 여아의 역할이 구분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소꿉놀이를 같이 할 때 여아는 집에서 밥하고 아기를 돌보는 역할을 하고 남아는 밖에 나가서 일하는 역할을 맡고 있었으며, '병원놀이'를 할 때에도 남아는 의사의 역할을 하고 여아는 간호사의 역할을 맡고 있었다. 이와 같이 영아의 성 역할 고정관념은 직업, 성격특성, 행동특성, 놀이 등의 다양한 영역에 걸쳐 매우 일찍부터 강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30~32개월 무렵의 아이들은 장난감에 대한 고정관념을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인형은 여자용 장난감으로, 트럭이나 로봇은 남자용 장난감으로 구분하여 인식하였다(Smith & Daglish, 1977). 3세 무렵의 남아는 자신의 놀이 짝으로 동성의 남아를 선택하였다(Charlesworth & Hartup, 1967).
(2) 정서조절
3세경부터 다른 사람 앞에서 부정적 정서 표현을 자제하는 능력이 나타난다(Cole, 1986). Cole(1986)는 영아들에게 장난감의 순위를 정하게 하여 영아가 가장 싫어한 것을 줌으로써 좌절시켰다. 한 상황에서는 실험자가 있었고(display rule을 활성화함). 다른 상황에서는 실험자가 없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여아들은 실험자가 있을 때보다 없을 때 더 많은 실망을 보였다. 따라서 실험자가 있는 상황에서 그들의 내적 감정을 감추고 있는 것이다.
또 다른 연구에 의하면(Lewis, Stanger, & Sullivan, 1989), 실험자가 방에서 나간 사이 장난감을 엿보지 말라는 지시를 받은 3세 유아들에게 나중에 물어보면 대부분 장난감을 엿보았다는 것을 부인하거나 대답하지 않았다. 그러나 남아들은 여아들에 비해 시인하는 경향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매우 어린아이들도 정서 표현을 어떻게 감추어야 할지 알고 있는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 언어발달
1) 주요한 언어발달(여러 단어들의 조합)
(1) 문법발달
2세가 지나고 3세경에 이른 영아들은 기본적인 문법구조를 지닌 문장들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문장 내 단어순서나 정확한 뜻보다는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문장을 이해한다. 예를 들어, 이 시기의 영아는 '아빠가 차를 밀어요'라는 문장은 잘 이해하지만 반대로 '차가 아빠에 의해 밀려요'라는 문장은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한다. 이는 영아들이 움직이는 생물체는 주어로, 사물은 목적어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문장 사용에 있어서도 주어-목적어-동사가 나타나는 문장을 사용하기 시작하며, 3~5단어 정도로 구성된 말을 할 수도 있다. 또 가족의 이름을 알고 꾸며주는 말 등 관계어를 알 수 있고 일상 사물의 기능을 설명하거나 그림을 보고 상황을 설명할 수도 있다. 우리나라 영아의 경우, 3세가 되면 우리말의 기본 구문구조를 산출하기 시작하며, 일부 격조사나 문장 어미 등의 형태소도 적절하게 산출하기 시작한다.
(2) 발성과 표현
이 시기 영아는 발성에 있어서도 모음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고 TV프로그램이나 비디오를 보고 대강의 줄거리를 이해할 수도 있다.
(3) 의사소통능력의 발달
이 시기 영아의 대화를 들어보면 공통의 주제 없이 각자 말만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한 아이가 어제 동물원에 갔다 왔다'라고 이야기하는데, 말을 듣던 아이는 '그런데 아빠가 나한테 인형 사줬어'라는 식의 대화가 그것이다. 그러나 3.5세경이 되면 대다수의 영아들이 일정한 주제에 대해 대화할 수 있다. 또한 전화를 받을 수도 있고 간단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의문이 나면 질문을 하기도 하는 등 의사소통 발달에 있어서 많은 발전된 모습을 보인다.
(4) 쓰기 발달
이 시기의 영아는 쓰라고 요청받으면 쓰기는 하지만 아직 끄적거리기를 할 때가 많다. 그러나 자기가 쓴 것을 성인에게 열심히 보여주며 성인에게 어떤 글자를 써달라고 요청하기도 한다.
(5) 읽기발달
이 시기 영아는 책을 볼 때 그림이 아닌라 글자를 읽는 것임을 알게 된다. 읽기의 목적을 물으면 책을 읽으려고 혹은 공부 잘하려고 등의 목적으로 대답하기도 한다.
< 한국영아발달연구, 곽금주·성현란·장유경·심희옥·이지연·김수정·배기조 / 학지사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