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영유아를 위한 언어교육과정

by ⍣Humpback whale⍣ 2022. 12. 25.
반응형

영유아를 위한 언어교육과정을 이해하기 위하여는 먼저 NAEYC(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7)의 발달적 적합성에 대하여 알아야 한다.

 

발달적 적합성은 영유아 개인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지, 영유아의 보편적 연령이 나타내는 발달 수준에 적합한지, 그리고 영유아가 생활하는 사회문화적 환경에 적합한지 등 세 가지 조건을 가리킨다. 따라서 영유아를 위한 언어교육과정은 영유아가 현존하는 시대와 사회문화에서 자신의 연령에 맞게 타인과 의사소통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언어 능력과 발달을 돕는 교육이 계획되고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형식적인 학교교육에서의 교육과정이 시대와 사회문화의 변천에 따라 새롭게 개발되고 수정·보완되어 왔듯이, 영유아를 위한 언어교육과정도 1960년대 헤드 스타트(Head Start) 운동을 기점으로 오늘날까지 다양한 모형으로 개발되어 왔다. 예를 들어, 1965년 미국에서 전개된 헤드 스타트 운동은 다양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발전시켰는데 그중 대부분이 언어지도를 중시하여 언어보상교육의 차원에서 DISTAR 프로그램, 블랭크(Blank)의 개별지도법, PLDK(Peabody Language Development Kits) 등의 유아언어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빈곤계층 유아들의 학업성취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언어지도를 강화했던 것으로 본다. 그러나 1970년대 이후 부각된 구성주의 이론에 근거하여 언어와 사고와의 관계, 사회적 상호작용과 언어발달 등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영유아언어교육 프로그램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중점을 두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결국 인간이 사회적 존재로서 살아가는 데 언어가 해야 할 기능은 의사소통에 있다고 본 것이다. 비고츠키(Vygotsky, 1986)와 브루너(Bruner, 1983)도 언어의 사회적 기능과 언어발달에 대한 사회적 맥락을 중시하면서 부모나 교사를 비롯한 성인과의 사회언어적 상호작용 및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주영희, 2001).

 

언어발달 및 언어능력을 의사소통 차원에 중점을 두고 교육하고자 하는 접근은 다문화시대로 특징짓는 현대에서 더욱 요구되는 경향이다. 그러는 한편, 1990년대 후반, 발생적 문식성이 출현하면서 유아들의 문해에 대한 요구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어서 2000년대 초반에는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들이 국민의 낮은 읽기 성취도 수준에 위기를 느끼면서 음소인식, 문법 중심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박성희, 2012). 이에 따라 유아언어교육과정은 풍부한 문자 환경과 의미 있는 문해 경험을 제공할 것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1. DISTAR 프로그램

DISTAR(Directed Instructional System Teaching Arithmetic and Reading) 프로그램은 1966년 베라이터와 엥겔만(Bereiter & Engelman)에 의해 개발된 유아언어교육 프로그램이다. 헤드 스타트 운동의 일환으로, 저소득층 유아들의 지체된 언어능력을 보완함으로써 초등학교 학습 수행이 가능하도록 하자는 취지를 갖고 있는 이 프로그램은 행동주의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외부 자극에 의해 얼마든지 학습이 촉진될 수 있다는 사실을 중시한다. 따라서 교육환경이 좋지 않은 저소득층 유아라도 잘 계획된 언어 프로그램으로 집중 교육을 한다면 단기간에 초등학교 수업에 사용되는 언어를 이해하고 일반 유아들과 마찬가지로 학교 수업을 잘 수행할 수 있다고 믿는다.

 

① 교육목적

학문의 기초 영역인 언어·셈·읽기의 능력을 기르며, 특히 언어능력을 충분히 활용하여 문법에 맞는 문장을 말하고 문장의 논리적 구조를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DISTAR 프로그램의 교육목표

언어 ∎ 질문에 대해 단언적으로 말할 수 있다.
∎ 지시에 대해 반응할 수 있다.
∎ 반대 개념(크다/작다, 위/아래 등)을 알 수 있다.
∎ 사물 놓은 방향을 지시하는 말을 알아들을 수 있다.
∎ 질문에 대해 ‘예’, ‘아니요’로 말할 수 있다.
∎ ‘만일 ~라면’을 사용한 문장을 말할 수 있다.
∎ 추론을 나타내는 문장에서 부정법을 사용할 수 있다.
∎ 간단한 추론에서 ‘또는’을 사용할 수 있다.
∎ 기본색과 흰색, 검은색, 갈색의 이름을 말할 수 있다.
∎ 타인 도움 없이 20까지 셀 수 있고, 10단위로 100까지 셀 수 있다.
∎ 사물을 10까지 바르게 셀 수 있다.
읽기 ∎ 모음과 자음 15개 이름을 알고 기업할 수 있다.
∎ 그림 속에 인쇄된 글자를 식별할 수 있다.
∎ 단어에 운율을 붙여 말할 수 있다.
∎ 한 종류의 유목에서 네 가지 사물을 말할 수 있다(예-탈것 종류 네 가지).

② 교육내용

교육내용은 언어·셈·읽기의 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③ 교육방법

교사 중심의 직접적 교수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복습활동을 한다.

∎ 문장의 유형을 반복 훈련한다.

∎ 한 가지 주제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지 않는다.

∎ 소집단(5명 정도의 집단 크기)을 대상으로 한다.

∎ 교재내용을 충실히 수행한다.

∎ 큰소리로 다 같이 읽는다.

∎ 피드백을 통해 유아 행동을 수정한다.

∎ 학습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한다.

∎ 정답에 대해 즉각적으로 보상한다.

∎ 팀 티칭(분담 교수법)을 사용한다.

 

< 유아언어교육, 박선희 · 박찬옥, KNOUPRESS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