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인지-사칙연산사고”를 의미하는 McFOT(Metacognitive Four Operations Thinking)는 창의적 사고력을 발달시키기 위하여 사고의 흐름에 따른 시간적 사고와 아이디어의 산출에 중점을 둔 공간적 사고가 결합된 사고방법이다. 박영태(2002)는 창의적 사고를 크게 문제해결과정에 중점을 두는 사고와 새로운 아이디어 산출에 중점을 두는 사고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1. 문제해결과정으로서의 창의적 사고
문제해결과정으로서 사고의 흐름은 질문생성단계, 정보생성단계, 정보연상단계, 정보정교화단계, 정보수용단계의 5단계로 나뉜다. 정보생성, 정보연산, 정보정교화, 정보수용은 항상 상호이동하면서 생각을 반복할 수 있다.
1) 질문생성단계(question)
주어진 대상과의 관계에서 무엇이 문제인지를 확인하여 질문을 만드는 단계이다. 정서상태는 문제와 연결되므로 이 단계에서는 정서를 중심으로 유아의 문제가 무엇인지 발견해 간다.
2) 정보생성단계(elicitation)
확인된 문제의 성격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식을 도출하는 단계이다. 이른바 문제와 관련된 다양한 지식을 두뇌 내부는 물론 두뇌 외부에서 탐색하여 수집한다.
3) 정보연상단계(production)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 사고를 활성화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인성적 특성에 자극을 주고, 창의적 사고기법을 제시하며, 무의식적 사고를 자극한다.
4) 정보정교화단계(elaboration)
창의적 사고의 결과 나타난 생각을 보다 다듬어 정교화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사고를 구체화한다.
5) 정보수용단계(reinforcement)
정교화된 생각을 행동을 옮기는 단계로, 실제 행동으로 표현함으로써 그 대상과의 새로운 관계를 정립하는 단계이다. 나아가 자신의 변화된 행동을 스스로 점검하면서 자기강화를 하는 단계이다.
2. 아이디어 산출로서의 창의적 사고
아이디어 산출의 핵심은 정보연상에 있다. 연상은 기존정보들을 연결하는 행위이다. 이러한 연상을 통하여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나타날 수 있다. Spearman은 연상에 의한 새로운 아이디어의 발생을 다음 세 가지 원리에 의해 설명하고있다(Brown, 1989).
첫째, 경험의 원리로, 사람이 자신의 감각, 느낌, 노력함을 알고자 하는 것을 말한다.
둘째, 관련의 원리로, 둘 또는 그 이상의 항목이 주어질 때 사람은 그것들을 다양한 방법으로 관련지어 지각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셋째, 상관원리로, 어떤 항목과 그에 관련된 것이 마음에 나타날 때 마음이 저절로 다른 관련항목을 생성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때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생성될 수 있다.
3. 유아동작활동과 사칙연산적 사고
사칙연산적 사고란 컴퓨터의 연산과 같이 더하기, 빼기, 나누기, 곱하기의 네가지 유형의 사고를 말한다. 유아동작교육에서는 이 사칙연산적 사고를 응용하여 창의적 동작활동을 이끌어 낼 수 있는데, 네 가지 유형의 사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자(박영태·하수연, 2004)
1) 더하기 사고
주어진 생각에 다른 생각을 추가하는 것으로, 확산적 사고를 말한다. 예를 들어 브레인스토밍은 더하기 사고의 좋은 예이다. 더하기 사고의 방법으로는 수직적 사고, 수평적 사고, 일반적 사고, 역방향 사고가 있다.
① 수직적 사고는 주제에 관하여 꼬리를 물고 생각하는 것으로, 주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생각을 하는 것이다(예 - “겨울잠 자는 동물은 어떤 동물들이 있을까?”, “겨울잠 자는 동물들의 특징은 무엇일까?”).
② 수평적 사고는 주제에서 벗어나 다른 방향으로 생각하는 것이다(예 - “그러면 겨울잠을 자지 않는 동물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③ 일반적 사고는 흔히 상식에 의해 떠오르는 모든 사고를 말한다.
④ 역방향 사고란 반대적 사고를 말한다(예 - 양손을 머리 위로 높이 들어올린 후에 “이것과 반대동작을 해 보세요”).
더하기 사고를 유도하는 질문
- “또 다른 아이디어는 없니?”
- “~하면 생각나는 것들을 모두 말해 보겠니?”
- “다른 측면으로 생각해 보았니?”
- “반대로 생각해 보았니?”
2) 빼기 사고
생각해 낸 사고 중에서 필요없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빼기사고에서는 초인지적 사고가 크게 활용되는데, 중요한 것을 고르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제거하는 사고는 어떠한 목적에 어느 정도 부합되는지를 결정하여야 하므로 초인지적 사고가 크게 적용된다.
빼기 사고를 유도하는 질문
- “주제와 관련이 없다고 생각되는 것이 있니?”
- “무엇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니?”
- “없어서는 안 될 것은 무엇일까?”
3) 나누기 사고
생각해 낸 사실들을 몇 가지 요소로 분해하는 것이다. 이 사고는 주어진 많은 생각을 범주화시켜서 정리하는 것, 즉 범주화 사고이다. 나누기 사고의 핵심은 ‘공통속성’의 발견이다. 공통속성을 찾기 위해서는 생각해 낸 사고의 세부적 속성을 알아내야 한다.
나누기 사고를 유도하는 질문
- “이것들의 비슷한 점은 무엇일까?”
- “이것들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 “이것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4) 곱하기 사고
주어진 생각들을 결합하여 하나의 생각으로 만드는 것으로, 결합화 사고이다. 더하기 사고가 단순히 여러 생각을 나열한다면, 곱하기 사고는 생각해 낸 사고를 바탕으로 둘 또는 그 이상을 결합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이 사고는 특히 시각적사고를 통하여 잘 이루어진다.
곱하기 사고를 유도하는 질문
- “이것들을 하나의 그림으로 그려 볼까?”
- “이것들을 서로 연결하면 무엇이 만들어질까?”
< 유아동작교육, 전인옥·이영 / KNOUPRESS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