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아동작교육과 창의성 발달 : 창의성 이론의 관점(합류적 관점)

by ⍣Humpback whale⍣ 2022. 12. 2.
반응형

최근 창의성 이론 중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합류적 관점에서는 창의성을 인지적 기능이나 성격과 같은 단일차원의 특성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지능, 지식, 사고유형, 성격, 동기, 환경 등의 요소가 서로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여 발현하는 특성으로 본다(Srernberg & Lubart, 1999). 창의성에 대한 합류적 관점의 설명은 창의성을 단일적 측면으로 볼 경우 전체의 일부를 전체로 보게 되는 오류를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강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다. 창의성의 합류적 관점에서 관련된 변인으로 제시한 지식, 동기, 환경 등이 창의적 사고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은 창의적 사고력이 발현되는 데 중요한 기반이 된다(Lubart, 1994). 즉 지식이 없다면 문제를 인식하기 어렵거나 문제의 본질을 이해하기 어렵고, 지식은 현재의 사고가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려 주고, 현재 가지고 있는 사고의 아이디어로부터 벗어나 새로움을 받아들이도록 돕는다. 또 지식은 질 높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해 주며, 아이디어를 효과적으로 산출하도록 도울 뿐 아니라 인지적 자원들을 새로운 아이디어의 과정에 집중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이와 같이 창의적 사고에서 지식의 중요성이 강조됨과 더불어 또 하나의 논의는 그 지식이 일반영역인지, 특정영역의 지식인지에 대한 문제이다. 창의성은 실제로 미술, 음악, 과학, 경영, 수학, 문학 이외의 일상적인 생활 등 모든 부문에서 나타나지만 한 영역에서 창의성이 두드러진 사람이 다른 영역에서도 창의적인지는 입증되지 않았다. 오히려 많은 연구에서 창의성은 영역 간 상관이 0~0.60으로 다양하며, 전형적인 상관관계는 .20~.30으로 미약하다고 한다(Lubart, 1994). Amabile(1989)은 창의성이란 영역 관련 기술, 창의성 관련 기술, 과제동기의 결과라고 주장하면서 특정 관련영역 기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즉 우리가 창의적이기 위해서는 먼저 한 영역에서의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개인의 내적 동기는 창의적 사고를 유발하는 중요한 전제가 된다. Amabile(1989)은 창의적인 유아를 만들기 위해서 재능을 개발시키거나 기술을 훈련시키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내적 동기가 함께 조성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내적 동기유발에 중요한 첫 번째 요소로 ‘흥미’를 들었는데, 유아들이 그들 스스로 완성하는 느낌을 얻을 수 있다면 활동을 더 즐기며 오랫동안 지속하고 탐구할 것이라고 하였다. 그는 두 번째 요소로 ‘자아 결정’ 또는 ‘다른 사람이 아닌 자기자신의 선택으로 활동에 참여하는 감정’ 등이 좀 더 창의적인 유아로 만든다고 하였다.

 

Barron(1988)이나 Feldman(1988)은 과제에 대한 도전이나 호기심을 충족시키려는 내재적 동기가 창의적 활동을 유발한다고 설명한다.

 

Deci와 Ryan(1980)은 동기화 과정에 미치는 외부자극의 영향은 그 객관적 특성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그 자극을 개인이 어떻게 해석하느냐가 중요하다고 하며, 사람들이 내재적으로 동기화될 때 자신에게 흥미가 있고 자신의 창의성과 재치를 요하는 상황을 추구할 것이라고 하였다.

 

Lepper와 그의 동료들(1973)의 연구에서는 그리기 활동에 높은 수준의 내재적 흥미를 보인 유아들이 ‘Good Player Award’를 위해 일할 때 과제에 대한 흥미가 감소되었으며, 보상을 기대하는 유아들의 그림의 질이 보상을 기대하지 않는 유아들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또 Kruglanski와 Friedman, 그리고 Zeevi(1971)는 보상이 창의적 과제해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했는데, 보상을 받지 않은 집단이 과제에 더 흥미를 보이며 자발적으로 참여했다. 즉 과제에 대한 내적 동기가 창의적 사고력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Hennessey & Amabile, 1987).

 

셋째, 창의적이 되려는 노력을 지지하는 분위기와 환경이 제공될 때 창의적 사고력은 좀 더 발달하게 된다(Fisher, 1990). 특히 학교와 같은 교육환경은 유아들의 창의적 사고력에 매우 중요한데, 교실 분위기와 같은 심리적인 환경과 교실이나 교육자료 등과 같은 물리적인 환경 모두가 유아의 창의적 사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Rogers(1954)는 유아들이 창의적으로 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심리적인 안전감과 자유를 언급하였다. 즉 심리적인 안전감은 신뢰감과 개인의 가치를 존중할 때, 외부적인 평가보다 자기 스스로 하는 평가를 중시할 때, 유아들의 관점에서 생각하며 유아들에게 공감대를 형성해 줄 때 생기며, 심리적 자유는 개인의 생각과 느낌의 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을 때 생긴다. 따라서 교사는 유아들이 자유롭게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유아들의 느낌과 생각을 수용하는 분위기를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Hennessey & Amabile, 1987).

 

교실환경과 유아의 창의적 사고력을 관련지어 실시한 연구들은 학습과정에서 유아들의 자발성이 좀 더 부여되는 개방적인 교실과 전통적인 교실에서 수업을한 유아들의 능력을 비교하였는데, McCormick, Sheehy, 그리고 Mitchell(1978)등의 연구에서는 개방적인 교실의 유아들이 개방적인 질문의 과제에서 창의성 점수가 좀 더 높았다.

 

인적 환경인 교사의 역할과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대하여 Torrance(1965)는 창의적인 교사와 함께 생활한 유아가 창의적이지 못한 교사와 함께 생활한 유아보다 좀 더 창의적이라고 하였으며, 교사들이 유아의 창의성을 인식하고 그에 적절한 태도를 보일 때 유아의 창의성이 증진된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창의성의 합류적 접근에 동조하는 Csikszentmihalyi(1988)와 Gardner(1993)는 창의성에 대한 이해를 다양한 체계에 기초하여 개인, 분야, 영역 등의 차원으로 설명하였다. 개인은 정보를 한 영역으로 이끌고, 인지적 과정과 성격적 특징, 동기를 통하여 정보를 변형시키거나 확장하며, 분야는 한 영역에 영향을 주거나 통제하는 사람들로 구성되어 개인이 산출한 아이디어를 평가하고 유용한 자료를 선택하도록 한다. 또 영역은 문화적 상징체계로서 창의적인 산물을 보존하고 다음세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며, 창의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개인, 분야, 영역 등 세 체계의 능동적 상호작용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Feldman(1999)은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인지적 과정, 사회·문화적 맥락, 역사적 관점과 동향 등을 제시하면서 이러한 요소들이 통합적으로 작용하여 창의성을 발달시킨다고 강조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창의성의 합류적 관점에서는 창의성을 단일특성만으로 보기보다는 개인의 인지적·성향적 특성 이외에 지식과 내적 동기 유발, 환경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특성이라고 본다. 특히 유아의 교육환경을 이루고 있는 학교의 자유로운 분위기, 개방적인 교육방법, 인적 환경인 교육자의 태도 및 역할이 창의적 사고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창의성을 개발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에서는 이와 같은 요인을 반영해야 할 것이다.

 

< 유아동작교육, 전인옥·이영 / KNOUPRESS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