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아사회교육의 내용 : 유아사회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지리, 사회학, 세계시민교육)

by ⍣Humpback whale⍣ 2022. 11. 18.
반응형

1. 지리

지리는 우리를 둘러싼 주변 세계의 사물이 존재하는 이유와 방법 등에 대한 질문에 해답을 제공하는 것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일반적인 특성에서부터 개인적인 장소에 이르기까지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공간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서태열, 2008). 유아는 태어나면서 자신이 어디에 있으며 어떻게 그곳에 있게 되었는지를 인식하면서 지리에 대한 기초적인 개념을 발달시킨다. 유아의 지리 개념의 발달을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이영자 외, 2004; Seefeldt, Castle, & Falconer, 2014).

 

유아는 자신이 속해 있는 주변부터 시작해 범위를 넓혀 가면서 지리적 개념과 탐구 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 유아기에 학습할 수 있는 지리교육의 주제는 지구, 방향과 위치, 공간 내 관계, 공간과의 상호작용, 지역 등이다(NCSS, 1998; Geography Education Standards Project, 1994).

 

유아의 지리 개념의 발달

시기 지리 개념의 발달
0~2세 ⁕ 자기 자신, 지구, 하늘, 공간 내 움직임 등 사물의 특성에 관심을 보인다.
⁕ 12~18개월의 영아는 자신이 공간 속에 위치하고 있음을 인식하고 다른 물체와 관련해 물체의 위치 변화를 학습하게 된다.
2~6세 ⁕ 만 3세경에는 가까이 있는 것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것의 차이를 알게 된다.
⁕ 주어진 공간(예: 교실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안다.
⁕ 구성이나 그림으로 세상을 표상한다.
⁕ 간단한 지도 그리기, 단순한 지도를 사용해 보물찾기를 할 수 있다.
⁕ 거리를 고려해 위치를 파악하기 시작한다.
6~10세 ⁕ 8세 이상 아동도 왼쪽과 오른쪽의 구분을 다소 힘들어 한다.
⁕ 방향과 관련하여 약간의 혼동이 있다.
⁕ 12세 이상 아동은 동서남북의 방위 방향을 완전히 이해한다.

출처: 권연희(역)(2014). p. 225 재구성.

 

1) 지구

지구에 대한 이해는 지형, 기후, 토양, 식물과 동물의 생활 등을 알아보고, 이를 보존하기 위한 방법을 알고 실천하며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기르는 것이다. 교사는 환경, 땅과 물, 태양계에서의 지구 등에 대해 교육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은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경험을 통해 더 잘 이루어질 수 있다.

  • 생물과 무생물에 대해 알아보고 구분해 보는 활동을 한다.
  • 실내·외에서 물, 모래, 흙 등을 탐색하고 실험할 수 있게 한다.
  • 땅(산, 계속, 사막 등)과 물(바다, 강, 호수, 폭포 등)을 구분해 본다.
  • 부드럽고 딱딱하고 거친 다양한 표면을 탐색해 본다.
  • 낮과 밤의 차이를 알아본다.
  • 그림자놀이를 한다.
  • 기후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활동을 마련해 준다.
  • 지구 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알아보고 실천해 본다.

 

2) 방향과 위치

방향과 위치는 지리교육의 가장 기초 개념으로 공간 내 자신의 위치를 아는 것이다. 유아는 자신의 신체를 움직여 보면서 방향과 위치에 대한 감각을 기른다. 유아는 방향과 위치에 대한 개념을 어려워하므로 유아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경험을 제공해 이해하도록 해야 한다. 자신의 신체를 움직이며 자신이 할 수 있는것과 신체와의 관계, 움직임과 물리적 환경과의 관계, 방향 등과 같은 요소를 이해하게 된다. 또한 어떤 물건이 자신을 중심으로 위, 아래, 앞, 뒤 등의 방향에 있다는 것을 이해하면서 방향에 대한 용어와 감각을 기를 수 있다. 그림이나 어떤 상징을 이용해 물건의 위치를 표시하여 지도에 대한 개념도 기를 수 있따. 유아의 방향과 위치 개념의 형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박찬옥 외, 2015ㅣ Seefeldt et al., 2014).

  • 자신의 동작 탐색하기
  • 방향과 관련된 용어를 사용해 자신의 움직임 묘사하기
  • 기준이 되는 한 공간을 중심으로 자신의 위치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 임의의 측정도구를 사용해 거리를 측정해 보기
  • 장소 찾기와 표시하기

 

3) 공간 내 관계

공간의 물리적 특성은 기후, 토양, 동식물의 분포 등에 의해 결정되고, 인위적 특성은 언어, 건축양식, 의상 등에 의해 결정된다(Hardwick 7 Holtgrieve, 1992). 인간은 물리적 환경에 적응해 살아가지만 문화적 가치에 따라 자연환경을 인위적으로 변화시키기도 한다. 유아는 인간이 주변 환경을 통제할 수 있지만 주변 환경에 의해 통제를 받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교사는 유아의 공간 내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교육내용을 제공할 수 있다(박찬옥 외, 2015).

  • 주변 환경과 사람·사물의 관계 관찰하기
  • 근처의 산 견학하기
  • 공원들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발견하기
  • 산에 피는 나무와 곤충 관찰하기
  • 강, 하천 주변 관찰하기
  • 산의 돌, 공원의 돌, 하천의 돌 관찰하기

 

4) 공간과의 상호작용

우리는 멀리 떨어진 사람들과도 소통할 수 있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 세계 여러 나라의 소식을 접하고 전할 수 있고, 운송수단을 이용해 서로 물품을 주고받을 수 있다. 교사는 유아의 공간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개념 형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활동을 제공할 수 있다(박찬옥 외, 2015).

  • 음식이 유아교육기관 또는 가정으로 배달되는 과정을 알아보고, 그림으로 표현해 본다.
  • 신문이 만들어져서 우리 집에 배달되기까지의 과정을 알아본다.
  • 동물들이 땅이나 바다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알아본다.
  • 같은 장소를 다양한 교통수단으로 이동해 본 후 차이점을 비교해 보고 이동경로를 그림으로 나타낸다.

 

5) 지역

지역은 물리적 또는 문화적인 것을 기준으로 구분된다. 물리적 지역은 기후, 지형 등으로 정의되며 문화적 지역은 문화 및 역사적 연속성으로 구분된다(Seefeldt et al., 2014). 교사는 유아에게 지역 개념을 알려 주기 위해 현장학습 등을 통해 알게 된 것을 기록하고, 다양한 문화권의 춤과 노래, 동화 등을 소개할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유아는 같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의상, 언어, 명절, 생활습관 등이 비슷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지역에 대한 개념 형성을 돕는 활동은 다음과 같다(Seefeldt et al., 2014).

  • 지역사회의 공원, 쇼핑센터 등으로 현장학습을 다녀온 후 관찰한 사실을 기록한다.
  • 지역에 사는 사람들을 만나 인터뷰한다.
  • 다른 문화를 경험하기 위해 박물관으로 현장학습을 간다.
  • 다른 나라의 옛날이야기, 명절, 춤, 의상, 음식 등을 알아보고 비교해 본다.

 

2. 사회학

사회학에서는 주로 사람들이 자신이 속한 집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반대로 집단은 구성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집단들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어떻게 집단이 형성되는지를 다룬다. 또한 사회학에서는 집단, 기관, 사회, 규준, 개인 역할, 사회화 등의 개념도 다룬다. 유아는 태어나자마자 가정이라는 집단에 속해 관계를 맺게 되고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면서 집단 구성원들의 역할, 관계, 규칙 등을 이해하게 된다. 유아가 사회학의 개념에 대해 이애할 수 있도록 교사는 다음과 같은 교육내용을 제시할 수 있다(박찬옥 외, 2015).

  • 가족의 소중함 알기
  • 가족 구성원 알아보기
  • 나와 이웃의 관계에 관심 갖기
  • 지역사회의 여러 기관에 관심 갖기
  • 법과 규칙의 중요성 알기
  • 법과 규칙 존중하기

 

3. 세계시민교육

세계시민교육은 세계가 공동체라는 인식을 바탕으로 모두가 함께 잘 살기 위해 사람들과 협력하는 지식, 기술, 태도를 갖도록 하는 교육이다. 다시 말해 유아가 국민과 세계시민으로서 소속감을 갖고 공동체적 책임의식, 문화적 다양헝 존중, 평화적 갈등 해결과 환경보호, 인권존중 등의 지식과 태도를 형성하며 이를 실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교육과학기술부, 2008).

 

오늘날에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지역의 한계를 극복하고 세계 여러 나라와 교류할 수 있으며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또한 환경, 기아, 전쟁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면서 함께 협력해 이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교사는 유아가 함께 어울려 살아가고 능동적으로 사회변화에 대처할 수 있으며 폭넓은 시각을 가질 수 있는 소양과 자질을 기르기 위한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교육과학기술부(2008)는 이를 위한 교육의 구체적인 목표를 제시하였다.

  • 인간은누구나 소중하며 존중하는 태도를 가진다.
  • 나는 세계의 한 구성원임을 알고 세계의 번영을 위해 노력한다.
  •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가진다.
  •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평화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다.
  • 세계시민으로서 지구환경을 가꾸기 위해 노력한다.

 

세계시민교육의 주요 개념으로는 소중한 인권, 세계는 하나, 다양한 문화, 평화로운 세계 등을 제시하였다.

  • 소중한 인권: 나에 대한 소중함을 바탕으로 인권의 의미를 이해하고 편견의식을 갖지 않으며 자유와 평등, 권리 의식을 함양함으로써 더불어 살아가는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아는 인간 존중의 태도를 기르고,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는 것을 이해하며, 함께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일들을 알고 실천해 볼 수 있다.
  • 세계는 하나: 우리의 삶은 세계 모든 나라와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교류하고 협력해야 함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유아는 세계가 서로 교류하고 협력하며 살아가고 있음을 경험하고, 세계시민으로서의 자신을 이해하며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에 관심을 갖도록 한다.
  • 다양한 문화: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다른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아에게 다양한 문화와 관련된 활동의 경험을 제공해 우리 문화를 사랑하고 다른 문화에 대한 수용적인 태도를 갖도록 돕는다.
  • 평화로운 세계: 평화에 대한 지식을 알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평화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과 태도를 갖게 한다.
  • 함께 가꾸는 지구 환경: 우리 생활과 환경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하고, 자연을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며, 환경을 위해 실천할 수 있는 일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지구 환경에 대한 책임감을 갖도록 한다.

 

< 유아사회교육, 김희태·김경희 / KNOUPRESS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