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아언어교육 평가방법-관찰법(평정척도, 사건표집법, 시간 표집법, 상호작용 관찰기록)

by ⍣Humpback whale⍣ 2023. 1. 19.
반응형

■ 관찰법

3. 평정척도

평정을 한다는 것은 대상에 값어치를 할당하는 것이다. 행동목록법이 관찰내용이 나타나는지 나타나지 않는지를 체크하는 것이라면 평정척도는 이러한 관찰내용의 목록에 수량화된 점수나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황해익, 송연숙, 정혜영, 2007). 행동목록법과 달리 평정척도를 보면 질적인 특성 파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질문을 하고 다른 사람의 질문에 대답한다’라는 관찰내용이 있을 때 행동목록에서는 ‘대답할 수 있다’라는 것만 확인할 수 있지만, 평정척도에서는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대답할 수 있는지까지가 확인된다. 평정척도는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많은 발달 영역을 한꺼번에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며, 질적인 부분이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행동의 변화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나 관찰자의 편견이 개입될 여지가 많고 관찰하고자 하는 항목을 명황하게 개발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으며 행동의 맥락을 파악하기가 곤란하다.

 

▲ 평정척도법 지침

※ 관찰 대상이 되는 특성들이 분명하고 명확하게 진술된 것을 선택한다.

※ 개인의 편견이 개입될 수 있으므로 객관적인 시각을 갖도록 노력해야 한다.

- 중심화의 오류: ‘잘 모르겠으니까 그냥 보통에다가 체크해야겠다.’

- 인상의 오류: ‘민지 어머니가 똑똑하니까 민짇 똑똑할 거야.’

- 논리의 오류: ‘수민이는 어휘력이 풍부해. 그러니까 문장력도 뛰어나겠지.’

- 기준의 오류: ‘이 정도면 잘하는 편 아닌가?’

- 근접의 오류: ‘1전에서 5번까지 좀 비슷하네. 아마 다 잘할 거야.’

- 대비의 오류: ‘나는 발음이 안 좋은데 지수는 어린데도 발음이 좋아. 대단해.’

 

4. 사건 표집법

사건 표집법(event sampling)은 언어발달상의 문제로 보이는 행동이나 사건이 나타나기를 기다렸다가 그 행동이나 사건이 나타날 때마다 일정한 형식에 따라 기록하는 방법이다. 단순히 어떤 행동의 유·무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특정 행동이나 사건이 발생하면 일정한 형식에 따라 행동의 순서를 자세하게 기술하는 것이다. 사건 표집법은 특정 godhed의 전·후의 사건을 서술하여 행동의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을 주는 ABC 서술식 사건 표집법과 얼마나 특정 행동이 자주 일어나는지를 알 수 있는 빈도 사건 표집법이 있다.

 

5. 시간 표집법

시간 표집법(time sampling)은 관찰자가 관찰하고자 하는 행동을 미리 선정한 후 정해진 시간 내에 일정한 간격에 맞추어 여러 번 반복 관찰하는 방법으로 빈도 표집이라고도 한다(정남미, 2006). 예를 들어 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을 관찰하고자 할 때 다른 유아와 대화하는거라는 항목에서 1분 관찰 후 30초 기록하는 방식으로 15분 동안 10회의 관찰을 하여 15분 동안 다른 유아에게 먼저 말을 건내는 빈도를 알아내는 것이다. 이러한 시간 표집법은 고나찰하고자 하는 대상 행동과 시간이 명확하기 때문에 신뢰도와 객관성이 높고, 한꺼번에 많은 유아를 관찰할 수 있어서 효율적이고 수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특수한 행동만을 관찰하기 때문에 맥락을 알 수 없고, 자주 발생하지 않는 행동이라면 측정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

 

▲ 시간 표집법 지침

- 관찰하려는 행동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내려서 관찰자와 이를 읽는 사람들이 정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자주 발생하는 행동을 선정해야 한다.

- 관찰하려는 행동의 발생 빈도와 특성에 따라 관찰 시간 및 간격, 관찰 횟수, 총 시간을 적절히 결정한다.

 

6. 상호작용 관찰기록

유아와 유아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교사와 유아 간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내용을 맥락 중심으로 기술하고 이를 해석하는 관찰기록의 방법이다. 실제 일어난 상호작용을 요약하거나 정리하는 것이 아니라 번호를 매겨서 순서대로 써 넣는다. 유아와 교사의 태도나 행동을 ( ) 안에 넣어 대화의 흐름이 더 생동감 있게 드러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대화의 흐름을 정확히 이해할 수 있고, 유아의 언어에서의 문제와 성취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 유아언어교육, 박선희 · 박찬옥, KNOUPRESS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