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들에게 필요한 언어 환경은 물리적 환경, 지적 환경, 사회·정서적 환경으로 구성된다. 물리적 환경은 눈으로 보이는 교실 내의 환경을 의미하며, 지적 환경은 유아들로 하여금 언어활동을 하고 싶게 만들고, 도전하게 만들어 주는 환경이다. 사회·정서적 환경은 유아들이 언어를 통해 사회화를 해 나갈 수 있도록 격려해 주고 지지해 주는 환경이다. 이러한 환경들이 잘 구성되어 있는 교실에서 유아들은 의미 있는 언어활동을 할 수 있게 된다(이차숙, 2004).
1. 물리적 환경
물리적 환경은 유아들이 언제 어느 곳에서나 쉽게 언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이다. 유아들이 있는 교실의 물리적 환경은 유아들이 언제나 언어를 읽고, 쓸 수 있고, 말하고 들을 수 있는 공간과 자료들이 있어야 한다. 교실의 영역이 글로 안내되어 있고, 각 영역의 규칙을 안내해 주는 글, 날씨와 날짜, 유아들의 작품을 설명해 주는 안내글 등이 교실 곳곳에 있고, 책을 보고 싶을 때는 편안히 책을 읽을 수 있도록 좋은 그림책과 편안한 장소가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무엇인가를 쓰고 싶을 때는 쓸 수 있도록 다양한 쓰기 도구와 종이가 준비되어 있고, 자신의 목소리를 녹음해 듣거나 원하는 동시, 동화를 들을 수 있는 장치가 마련된 공간이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유아들이 있는 교실은 언어의 통합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언어로 가득한 환경으로 구성된다.
2. 지적 환경
지적 환경이란 물리적인 환경을 제공하여 지적인 도전을 하도록 만드는 환경이다. 잘 구성된 무릴적 환경 속에서 단순히 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들이 하고 싶어하는 열망을 갖도록 하는 환경을 의미한다. 유아들의 지적 도전을 유발하는 환경은 ‘기대’, ‘모델링’, ‘흥미와 동기 유발’의 세 가지 요인이 고려되어야 한다(Duffy & Roehler, 1989).
첫째, 기대(expectation)는 유아들에 대한 교사의 기대를 의미한다. 유아에 대한 교사의 기대는 유아들의 언어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교사가 정확함과 유창함을 강조하는 교실에서의 유아는 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어려워할 것이다. 교사가 허용적이고 할 수 있다고 격려해 주고, 틀려도 괜찮다는 관대한 태도를 갖고 있다면 유아들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 없이 즐거운 마음으로 적극적으로 활동에 참여할 것이다.
둘째, 모델링(modeling)은 학습의 강력한 도구이다. 유아들은 다른 사람들이 하는 것을 보고 그대로 따라 한다. 교사의 언어를 따라 할 수도 있고, 친구의 언어를 따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모델링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지적 환경의 구성이다.
셋째, 흥미와 동기 유발은 아주 중요한 지적 환경의 요소이다. 하고 싶도록 준비되어 있는 환경 속에서 유아들은 ‘써 보고 싶다’, ‘읽어 보고 싶다.’ ‘말하고 싶다.’ ‘듣고 싶다’라는 마음을 갖게 된다. 쓰기 도구만을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예쁜 우표와 편지지가 준비되어 있다면 ‘이게 무지? 나도 해 봐야지’라는 흥미가 생겨나게 된다. 우체통과 우표를 준비해 주고 친구에게 편지를 쓰는 상황을 제안하면 유아들은 편지를 ‘쓰고 싶은’ 마음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흥미와 동기 유발은 유아들이 언어활동에 적극적으로 도전하는 마음을 불러일으킨다.
3. 사회·정서적 환경
유아의 언어능력은 사회·정서적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생각과 감정을 주고 받는 언어활동은 사회적 활동이고, 이러한 사회적 활동이 활발해지면 의사소통이 더욱 증진되고 원활해진다. 따라서 유아교사는 언어 환경의 구성에 있어서 사회·정서적 환경의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사회·정서적 환경은 크게 사회적 상호작용과 협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사회적 상호작용(social interaction)은 언어 환경에 있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언어는 혼자서 표현하고, 혼자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화자와 청자와의 관계, 필자와 독자와의 관계를 갖게 된다. 함께 어울려서 이야기가 오고 가는 환경 속에서 유아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과 더불어 다른 친구들의 생각과 느낌을 함께 수용하게 되고, 언어활동에 대한 이해가 증진된다. 책을 읽는 상황에서도 역시 유아가 갖고 있는 생각과 책에서 주는 메시지를 함께 수용하게 되는 상호작용이 일어난다. 따라서 유아를 위한 언어 환경은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많이 일어나도록 격려되어야 한다.
둘째, 협동(collaborative sharing)은 언어활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형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유아들은 함께 협력하여 역할을 분담하는 활동을 하게 될 때 서로 이야기를 나누고, 생각을 조정하고, 갈등을 해결하는 의사소통의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교사는 유아들이 함께 협력적으로 일을 해 나가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 유아언어교육, 박선희 · 박찬옥, KNOUPRESS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