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거짓말하는 행동
유아는 재미 삼아, 상상을 해서, 타인의 관심을 끌기 위해, 상황을 모면하기 위해, 다른 사람을 돕기 위해 등과 같은 여러 가지 이유로 거짓말을 한다. 상상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해 거짓말을 하거나, 잠시 재미를 위해 거짓말을 하는 경우, 또는 곤란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한순간 거짓말을 하는 것은 발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체벌을 받을까 봐 두려워서, 사랑을 잃을까 봐 두려워서 거짓말을 하는 경우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무엇보다 교사는 유아가 거짓말을 하는 상황을 만들지 말아야 한다. 너무 엄격하거나 실수에 대해 너그럽지 못하면 유아는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순간적으로 거짓말을 하게 된다. 유아의 실수에 너그럽게 반응하고 유아가 잘못을 인정했을 때 칭찬을 해 준다면 유아는 솔직해질 수 있다. 또한 유아에게 실수는 허용이 되도 의도적인 거짓말은 허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알려 주어야 한다. 이때 교사는 유아가 나쁜 것이 아니라 거짓말하는 행동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임을 설명하고 대안 행동을 알려 줌으로써 유아가 수치심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한다. 유아가 관심을 끌기 위해 또는 장난으로 거짓말을 하는 경우에는 무시함으로써 의도적인 거짓말은 허용되지 않고 관심도 끌 수 없다는 것을 알려 주어야 한다.
6) 욕하는 행동
유아는 욕설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 채 단순히 TV나 또래, 주변 어른들로부터 들었던 것을 기억해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말들을 사용했을 때 주위 사람들이 웃거나 놀라는 등의 반응을 보이면 유아는 자신의 말이 관심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이를 반복하게 된다. 이처럼 아무 뜻 없이 습관적으로 욕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화가 난 경우에도 욕을 하게 된다. 이럴 경우 교사는 욕이 바람직한 언어가 아니라는 것을 알려 주고, 허용된 방식으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욕을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시함으로써 욕하는 행동이 관심을 받을 수 없다는 것을 알려 준다. 또한 욕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상을 제공하고, 욕을 사용한 경우에는 권리를 박탈함으로써 욕하는 행동을 수정할 수도 있다.
7) 산만한 행동
산만한 행동이란 자신이 참여하는 활동에 대한 주의집중시간이 같은 발달수준에 있는 다른 유아들보다 짧은 것을 말한다(유효순, 지성애, 2008). 이러한 행동은 기질, 질병, 엄격한 양육행동, 유아의 발달수준에 맞지 않는 교육과정, 무질서한 물리적 환경 등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대체로 2세의 유아는 한 가지에 집중하는 시간이 2~3분 정도이고, 5세의 유아는 15~20분 정도이다. 그러나 산만한 행동을 보이는 유아는 가만히 있지 못하고 자신이 하는 활동에 집중할 수 없어 활동에 참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활동으로부터 어떠한 학습도 성취할 수 없다. 또한 이들은 수업을 방해하는 행동을 보이기 때문에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
산만한 행동을 지도할 때는 유아의 연령과 발달상태를 고려해야 한다. 어린 연령의 유아가 활동에 오랜 시간 집중을 하지 못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따라서 교사는 연령과 발달수준에 적합하고 흥미로운 활동을 제공해 유아가 흥미를 유지하며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물리적 환경이 유아의 집중을 방해하지 않도록 잘 정돈되고 차분한 교실환경을 조성한다. 유아가 집중하는 모습을 보일 때는 격려와 칭찬을 해 주고, 체계적인 관찰을 통해 유아가 오래 집중하는 활동을 파악하여 이를 기반으로 집중시간을 점차 늘려 갈 수 있도록 지도한다. 그리고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는 동적 활동을 미리 제공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8) 손가락 빠는 행동
아주 어린 영아가 손가락을 빠는 것은 자연스러운 행동이지만 유치원 연령기까지 손가락을 빨면 자연스럽지 못하다. 손가락 빨기는 습관화되면 멈추기 어렵다. 대체로 유아는 심리적 안정감을 얻기 위해 손가락을 빤다. 또는 감각활동에 대한 욕구불만, 또래의 행동 모방, 지루함 등으로 손가락을 빨기도 한다. 손가락을 빠는 유아는 주위 사람들로부터 주의를 듣거나 또래로부터 아기라고 놀림을 받아 자아개념에 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행동은 치아발달에 영향을 주어 부정교합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유효순, 지성애, 2008). 따라서 젖먹이 영아가 아닌 이상 손가락을 빠는 행동은 적절하지 않으므로 유아의 자존감이 손상되지 않는 방법으로 멈출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손가락 빠는 행동은 대체로 심리적 안정감을 얻기 위한 행동이므로 행동 자체를 나무라거나 못하게 제지해서는 안 된다. 유아에게 이러한 행동이 관찰되면 주변의 환경이 강압적이거나 지루하지 않은지 점검해야 한다. 교사는 유아를 안아 주고 쓰다듬어 주며 사랑받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 주어 심리적 긴장감을 해소시키고, 교육과정이 유아에게 너무 어렵거나 지루하지 않은지 점검해야 한다. 또한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시해 유아가 즐겁게 참여하며 감각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유아가 손가락을 빠는 행동이 줄어들면 그 노력에 대해 격려하고 지지해 주는 것도 필요하다.
9) 수줍음을 많이 타는 행동
수줍음이 많은 유아는 주변 환경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기를 회피하며 사람들과 어울리는 것을 어려워한다. 이들은 낯선 환경과 낯선 사람들에 대해 두려움을 나타내고 자신감이 부족하며 실패를 두려워한다.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비판받고 거절되는 것과 사회적 상황에서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는 것을 두려워한다. 따라서 이러한 두려움을 피하기 위해 사람들과 어울리기보다 혼자 있는 것을 선택하게 된다. 유아기는 사회·정서발달의 결정적 시기로 또래들과 함께 어울리면서 다양한 사회적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수줍음이 많은 유아는 또래와 어울리지 못해 사회적 능력을 발달시킬 기회를 갖지 못하므로 교사의 적절한 개입이 필요하다.
수줍음이 많은 유아에게 발표를 시키거나 강제로 인사를 시키면 더 움츠러들게 하므로 효과적이지 못하다. 교사는 이러한 유아에게 개별적인 관심을 보이며 사랑받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해 주고, 성공할 수 있는 학급의 작은 일을 맡겨 자아존중감을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수줍은 유아가 교사와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대인관계에 대한 두려움을 완화시키고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대집단 활동보다는 소집단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고 잘하는 것을 찾아내어 칭찬하고 격려해 준다. 또래와 놀이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함께 노는 것이 즐겁다는 것을 느끼도록 하고, 또래와 상호작용을 할 때 필요한 사회적 기술들을 연습시켜야 한다.
10) 무서워하는 행동
유아는 연령과 기질에 따라 어느 정도의 공포심을 갖고 있으나 지나치게 표출되는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다. 무서워하는 행동은 도깨비 이야기와 같이 상상과 결부되엉 나타나기도 하고, 자신이 과거에 겪었던 무서웠던 경험에 의해 나타나기도 하며, 부모나 또래가 무서워하는 것을 모방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부모가 지나치게 엄격한 경우에도 위축되고 지나친 공포심을 보이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유아의 공포심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조금씩 사라지게 되지만 지나치게 나타날 경우에는 적절한 지도가 필요하다.
교사는 유아가 무서워하는 것을 인정하고 수용해 주어야 한다. 유아가 무엇을 무서워하는지 관찰해 대상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 주고, 체계적 둔감법 등을 통해 조금씩 익숙해지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예를 들어 호랑이를 무서워하는 경우 만화 캐릭터처럼 귀엽게 그려진 호랑이 사진이나 인형을 보여 주어 조금씩 익숙해지도록 한다. 또한 유아의 옆에 항상 자신을 사랑하는 부모나 교사가 있음을 알게 하여 주변에 자신을 도울 수 있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인식시킨다.
< 유아사회교육, 김희태·김경희 / KNOUPRESS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