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아의 음성언어 발달 : 두 단어 문장, 어휘의 증가

by ⍣Humpback whale⍣ 2022. 12. 15.
반응형

1. 두 단어 문장

생후 18개월경에 기억력과 어휘 수가 증가하여 두 단어를 결합하여 한 문장으로 표현하는 두 단어 문장(two-word sentences)을 말하게 되는데, 이것은 매우 중요한 발달이다. 단어의 연속은 유아가 문법을 사용하기 시작하는 신호이다. 두 단어로 문장을 만드는 방식은 직접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니고, 어려서부터 주위 사람들의 말을 들으면서 자연스럽게 습득한다.

 

또한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할 뿐만 아니라 타인의 말을 들음으로써 말의 의미를 명확하게 하고, 순서 규칙을 발견하고 내면화하게 된다. 말이 점점 길어질수록 단어의 배열은 더 복잡해지고 점점 더 순서대로 정렬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초기의 두 단어 문장에도 일종의 규칙이 있는데 맥닐(McNeill, 1966)은 이를 주축문법(pivot grammar)으로 설명하였다. 즉, 영아가 주축이 되는 단어를 먼저 선택하고 새로운 단어를 포함하여 문장으로 표현하는데, 이 시기의 유아가 표현하는 두 단어는 주축어(pivot word)와 개방어(open word)로 구성된다. 우리나라 영아의 두 단어 조합을 분석한 조명한(1982)의 연구에서는 주축어로는 ‘엄마’, ‘아빠’, ‘아’(감탄사) 등이 사용되었고, 개방어로는 ‘쉬’, ‘우유’, ‘이거’, ‘이뻐’ 등의 어휘가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주축문법의 구성 사례

주축어 개방어
엄마
아빠
애기야
언니야



이리와
얘야
우유
이거
아찌
이뻐
추워
무거
여기

 

이와 같이 두 단어 문장이 핵심적인 단어로 구성되어 의미를 전달하는 것을 전보식 문장(telegraphic sentence)이라 일컫는다. 전보식 문장은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등의 핵심적인 내용을 표현하는 단어가 포함되고, 조사, 전치사, 접속사, 관사, 조동사 등의 기능어는 생략된다. 이러한 형식적인 특성을 가진 두 단어 문장을 분석하면 반드시 의미가 있는 것들로 짝지어지고 그들 간의 의미적 관계를 발견할 수 있다. 가령 ‘아빠 책’이라는 말이 ‘아빠 책 주세요’인지 ‘아빠의 책’인지 표현이 이루어진 맥락에 의해 정확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2. 어휘의 증가

유아가 습득하는 어휘의 수는 3~4세에 급격하게 증가 현상이 일어나 이 시기를 어휘 폭발기라고도 한다. 초등학교에 입학할 연령에 유아들은 음성언어가 숙달되고, 데일(Dale, 1976)은 6세경에 평균 2,500단어를 구사할 수 있다고 한다.

 

사용 어휘 수가 증가하면서 문장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수도 증가하여 3, 4세 유아는 3~4개의 단어로 문장을 구성하고, 4, 5세는 4~5개의 단어, 5, 6세에는 6~7개의 단어로 이루어진 문장을 구사한다(조복희, 정옥분, 유가효, 1997). 유아들은 듣는 것을 모방만 하는 것이 아니라 발명함으로써 언어를 배운다. 즉, 들어본 적도 없는 말을 만들어 낸다.

 

어휘 사용의 핵십은 의미 전달이다. 단어의 의미는 수평적 발달과 수직적 발달 과정을 거친다. 수평적 발달은 유아가 자신이 알고 있는 단어의 의미에 새로운 속성을 추가해 그 단어의 의미를 더 풍부하게 해 준다. 가령 집에서 기르는 ‘강아지’만 알다가 몸집의 크기와 털, 생김새가 다른 특성을 추가하면서 그 의미를 넓혀간다. 단어 의미화의 수직적 발달은 단어의 한 의미에서 다른 의미로 수직 이동하는 것으로 일반성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다.

 

가령 탁자, 의자, 장롱, 소파, 선반 등의 단어는 큰 어려움이 없이 학습하지만 ‘가구’란 용어는 사물의 속성에 따른 범주를 이해하여 그에 따라 구분하는 추상적 개념화의 발달이 요구된다. 또 다른 예로서 셔츠, 모자, 외투 등의 명칭과 속성을 알게 되면 ‘의복’의 범주를 이루게 된다. 일단 하나의 범주가 인지구조에 구성되고 나면 이 범주에 새로운 단어를 쉽게 분류하여 포함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유아가 ‘의복’이라는 집합을 이해하게 되면 새로 접하는 ‘바지’를 그 범주에 쉽게 추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정 속성을 가진 사물의 한 범주에 새 단어를 종속시키는 일반화된 개념의 출현은 수직적 발달이 요구되고 최초의 의미 있는 단어만큼이나 발달에서 중요한 징조이다.

 

연령별 구사 단어 수

연령(세) 단어 수(개)
1 3
2 272
3 896
4 1,540
5 2,072
6 2,562

출처: Dale, 1976

 

< 유아언어교육, 박선희 · 박찬옥, KNOUPRESS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