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유아행동 연구-현장연구

by ⍣Humpback whale⍣ 2023. 2. 1.
반응형

현장연구는 더 많은 시간과 인적 자원을 필요로 하는데, 연구자는 연구대상의 자연적 환경인 환경에 직접 들어가서 그 대상읭 성장, 행동, 또는 중요한 특성을 설명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하게 함께 생활해야 한다.

 

인간에 대한 현장연구의 대부분은 인류학에서 유래된 것으로 미드(Margaret Mead)는 현장연구에서 얻은 지식에 일반 대중이 관심을 갖도록 하는 데 기여했다. 미드는 자신뿐 아니라 문화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키기 위해 관찰법과 기록법을 사용했는데, 관찰은 오랫동안 이루어진 것이었으며 기록의 양은 방대했다. 이 자료를 근거로 자신의 이론을 정립하게 된 미드는 주로 하나의 주제를 놓고 아주 서술적으로 책을 썼는데, 1930년대에 쓴 Growing up in New Guinea라는 책에서는 자신이 관찰하고 기록한 통과의식(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의 상황을 자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한 사람의 관찰자로서 더욱 많은 사실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데 힘을 쏟았다. 관찰 당시에는 나중에 분석을 할 때 어떤 행동이 중요할 것인지를 몰랐기 때문에 자신이 관찰한 모든 사건에 대해서 가능한 한 자세하게 기록하였다. 그렇게 해야만 나중에 필요로 할 때 그 정보를 뽑아 쓸 수 있기 때문이었다.

 

아동발달 분야에서 가장 잘 알려진 현장연구의 하나는 집단 형성과 집단간의 관계에 관한 셰리프와 셰리프(Muzafer Sherif, Carolyn & Sherif)의 일련의 연구들이다. 이들은 1948년에 최초의 실험을 시작한 후 20년 동안 계속했고, 미드와 굿올의 자연관찰에서 벗어나 실험적 현장연구의 접근을 취했다. 이 실험적 현장연구는 연구대상에게 자연적인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다 약간의 통제를 가하는 방법이다. 셰리프와 셰리프는 연구의 첫 단계에서서로 모르는 사람들 사이에서 집단이 형성되는 과정을 관찰했다. 셰리프(1967)에 따르면 실험적 현장이란 연구대상의 선정을 통제하고 그 대상의 배경이 중요한 점에서 동질적이라고 확인할 수 있으며, 실험 중에 상호작용하는 조건과 실험도구의 위치, 그리고 사건발생 시간을 통제한 장면이다. 이런 의미에서 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여름캠프는 실험적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은 여름캠프에서 한 후속 연구에서 적대감을 증가시키고 감소시키는 집단 간의 상호작용 조건 같은 집단 형성의 다른 측면들을 연구했다. 이 연구자들은 집단 간에 긴장과 적대감을 증가시키도록 캠프 활동을 구성했는데, 그 예로 이긴 팀에게 상을 주는 게임 방식을 들 수 있다. 그 결과 집단간에 비우호적인 태도와 적대적 행동이 나타나게 되었으며, 이 태도는 외부집단과 외부집단 구성원에 대한 부정적인 고정관념의 빈도와 정도, 집단 간의 ‘사회적 거리’, 그리고 적대감을 나타내려는 시도로 측정했다(Sherif, 1967).

 

캠프는 소년들에게는 자연적인 상황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통제가 가해진 실험설계였으므로 연구자들은 생태적·사회적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었으며, 그 상황에서 각 개인이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관찰할 수 있었다. 연구자들은 여러 가지 연구방법을 결합시킴으로써 자신들이 발견한 결과를 검토해 보고 일반화의 타당성을 확신할 수 있다. 현장연구와 실험연구를 통합시킬 때의 이점으로 사전 구성을 통해 실제 생활 장면과 같은 자연스러움을 구성할 수 있음을 들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집단실험에서 피험자들은 실험상황을 여름캠프로 지각하고 처음부터 자신이 상호작용하고 있는 조건과 활동이 통제되고 조정된다는 사실에 대해 의심조차 하지 않는다. 그리고 자신의 행동이 계속 관찰·평가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미드의 뉴기니 원주민 관찰이나 셰리프와 셰리프의 청소년기 소년의 연구에서 모든 관찰자가 일련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스미스와 다글리시(Peter K.Smith & Linda Daglish)는 「가정 내에서 부모와 아동행동의 성차에 관한 연구」에서 부모에게는 관찰자가 없다고 생각하고서 자신이 맡은 일을 시작하도록 했다. 그 결과 부모들은 관찰자가 있어도 당황하지 않았지만, 64명 중 8명의 아동(소년 4명과 소녀 4명)은 다른 아동의 행동이나 부모의 조언을 고려해서 판단했다(Smith & Daglish, 1977). 따라서 현장연구에서 관찰자가 우선 고려해야 할 문제는 피험자의 환경에서 친숙한 사람이 되는 것으로, 그래야만 관찰자가 있을 때도 없을 때나 마찬가지의 행동이 나타나게 된다.

 

현장연구 기록도 다른 서술적 방법과 마찬가지로 행동과 상호작용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만 해석도 덧붙여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는데, 관찰자들은 일어나는 사건을 단순히 기록만 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색하게 된다.

 

<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홍순정·최석란 / KNOUPRESS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