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애아동
통합상황에서 핵심은 장애아동 자신이다. 만약 장애아동이 통합환경에서 나아진 점이 조금도 없다면 통합교육은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통합교육은 모든 아동에게 효과적인가? 지난 몇 년 동안의 연구결과를 보면, 어떤 연구는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하였지만 일부 연구는 그렇지 않기도 하다. 또한 장애의 유형이나 정도에 따라서도 다른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 연구(Salend & Duhaney, 1999)에서는 중도장애아동은 통합교실에서 더욱 나은 우정을 맺었으나 학습장애아동은 그렇지 않았다. 즉 학습장애아동은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또래에게 덜 수용이 되었으며 자아개념이 일반 또래보다 떨어졌다.
그렇다면 어떠한 아동이 통합교육을 받아야 하는가? 이제까지의 통합을 살펴보면 과거에는 장애 정도와 관련해서 경도 혹은 중등도(언어장애, 경도정신지체, 발달장애) 아동을 통합교실에 배치하였으나 중도장애아동은 분리된 특수교실에 배치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아동의 장애상태보다 프로그램과 교사의 질을 강조한다. 즉 아동의 특성과 통합상황의 질에 따라 성과는 다르며, 장애아동의 배치에 따른 효과는 아동의 특성만이 아니라 통합 프로그램의 질과 교사의 자질 등 총체적 요인이 어우러져서 나타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교육적 관점이나 법적 뒷받침은 장애의 정도, 유형을 불문하고 모든 장애아동이 통합교육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뒷밤침한다.
■ 미시체계: 교육기관, 통합학급
통합교육에서 미시체계는 바로 교육기관, 통합학급이 된다. 통합교육기관에서 살펴보아야 할 것으로는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기본운영방침, 교사 등을 들 수 있다.
1. 통합교육 프로그램의 기본운영방침
오돔(Odom, 2000)은 통합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통합교육운영에 몇 가지 기본방향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의 지적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첫째, 통합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장애아동의 발달 정도와 특성에 따라 개별화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둘째, 특수교사와 일반 담임교사 및 다양한 관련자들 간에 긴밀하게 협력해야 하며 협의내용을 프로그램에 반영해야 한다.
셋째, 교육기관의 모든 프로그램에 장애아동을 포함시켜 장애아동에게 제한이 될 수 있는 환경을 최소화해야 한다.
넷째, 가정과 연계된 개별화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장애아동의 통합교육 효과를 높여야 한다.
2. 교사
통합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요인 중 하나가 교사이다. 통합교육에서 일반 담임교사와 특수교사가 장벽을 넘어 통합교육에 대하여 공통적인 믿음과 가치를 갖고 일할 수 있어야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아직은 장애아동 통합교육현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일반교사들이 장애아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전문성에서도 준비가 미습한데 이는 통합교육의 성공에 큰 방해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통합교육현장에서 장애아동의 교육을 지원하고 협력해야 하는 특수교사가 일반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면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없다(이소현, 2003).
3. 중간체계: 가족 및 전문가와의 협력
통합교육의 중간체계는 바로 가족과 교사의 상호작용 및 협력, 나아가 가족과 아동과 상호작용을 하는 교사·행정가 등 전문가 집단과의 협력이다. 가족 및 전문가들이 서로 효과적인 협력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모든 사람이 장애아동에 대해 공동 책임감과 공동 주인의식을 갖고 함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참여하고 교수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적인 역할을 조정하거나 안정된 관계를 유지하는 등의 구체적인 전략을 사용해야 한다.
4. 외체계: 통합교육정책
통합과 관련해서 주로 제기되는 정책관련 문제들은 통합을 시행하기 위한 행정적 지원·재정적 재원의 분배, 전문가의 훈련 및 배치와 관련된 정책 등으로, 이러한 정책의 부재나 정책 입안자와 시행자의 불명확한 태도 등은 통합교육의 성패에 영향을 준다.
5. 거시체계: 사회태도
한 사회가 어떠한 문화적 믿음과 가치를 가지고 있느냐는 장애에 대한 해석과 이해에 영향을 준다.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태도는 장애아동의 통합교육만이 아니라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참여의 증진을 위해 중요한 요인이 된다.
< 특수아교육, 송준만 · 유효순, KNOUPRESS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