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전통적 움직임, 즉 민속놀이와 체조형식에는 강한 신체활동을 요구하는 것이 많으며, 또 건강한 체력을 얻기에 적합한 움직임이 상당히 많다. 더구나 우리의 역사 속에 나타난 여러 유형의 움직임들은 모두 우리의 전통의식과 생활 양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우리의 체질에 적합한 것이다. 따라서 우리의 움직임 문화 속에는 무엇이 있고 그 특성은 어떤 것인지 살펴보자.
1. 한국의 민속놀이
민속놀이란 한 민족 또는 한 지방을 단위로 실제 사회생활의 필요에 의해서 탄생하여 역사적 유래를 지니고 계승, 발전되어 온 신체문화를 일컫는다. 서민들의 실생활의 필요에 의해서 탄생한 우리의 민속놀이는 고대사회에서부터 신앙, 노동, 전투 등의 생활 속에서 여러 가지 감정을 신체활동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손, 발, 머리 등 자연발생적 전신운동을 창조하여 전승·보전되어 온 것이다.
또또 우리 민족은 본래 기마민족으로서, 우리의 놀이 가운데는 활쏘기, 말타기, 돌던지기 등 강인한 신체 양성을 목적으로 한 놀이도 일반대중 사이에서 널리 행해진 기록이 많다.
우리나라의 민속놀이가 지닌 어떤 특성이 신체의 건강 증진과 사회적 건강 달성에 기여하는지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 우리의 민속놀이는 운동을 즐기면서 신체형성을 꾀할 수 있다.
∎ 리듬감이 있는 전신운동이다.
∎ 숙련된 기능을 손쉽게 습득할 수 있다.
∎ 청소년문화 창달에 기여한다.
∎ 우리의 민속을 생활화할 수 있다.
∎ 대중적인 운동 실천에 적합하므로 사회적 건강을 이룰 수 있고, 민족문화 창달에 기여한다.
2. 우리 전래의 체조형식
우리의 옛 고분과 벽화에서 보듯이 우리 조상들은 옛날부터 창, 칼, 활 등의 단·장병 무기를 사용하기 위해 무예의 한 범주인 각저, 수박 등 맨손기예를 아우르는 권법을 수련하였다. 권법은 체력강화와 호신술로서 널리 행해져 왔다. 맨손무예를 대변하는 권법은 택견, 태권도, 씨름 등으로, 이름과 실제를 달리하여 발전해 가고 있다.
이러한 체조형식들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신체의 움직임이 거의 없이 호흡과 지압 등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자 하는 맨손요법이고, 둘째는 전신의 움직임을 통해 신체단련을 목적으로 하는 전통무예이며, 셋째는 현대체조와 유사한 관절운동과 맨손요법이 혼합된 도인체조, 즉 의료적 양생체조로 구분된다.
3. 한국 전통체조의 특성
우리 전래의 움직임 가운데 건강수련을 목적으로 행한 민속놀이와 체조의 형식들은 우리의 오랜 역사와 함께 이루어진 것이며, 그 움직임의 형태 역시 오늘날 서양의 놀이와 체조의 형식과는 발생배경과 형태에 있어 근본적으로 다른 것으로, 서양의 인위적 움직임과 달리 동양의 철학사상을 바탕으로 음양의 원리에 따라 자연적 움직임을 강조한 운동이다.
한편 우리나라의 민속놀이를 사회학적 측면에서 보면, 우리나라 국민의 전통적 사회사상이나 가치관은 개인적 성취를 위해 이루어진 행위를 미화하기보다는 그 주변에서 노력한 행위에 더 많은 가치를 부여하는 윤리적 특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사상의 배경에서 이루어진 움직임 역시 타인과의 공존을 강조하는 ‘품앗이’(이웃 농사일 도와주기, 김장 돌아가며 하기 등) 정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와 더불어 우리 전래의 체조형식들이 지니는 움직임의 특성을 오양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인간과 우주라는 자연의 법칙과 자연의 모습을 모방한 동작으로 구성되어 있다.
∎ 자연의 리듬에 인간의 리듬을 일치시키고 있다.
∎ 자연적이고 생물적인 본능에 따른 인간본성의 행위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처럼 훌륭한 우리의 움직임 문화가 대부분 실내의 좁은 공간에서 수행되었고 체조와 같은 신체활동을 천시하는 유교적 관념 때문에 기록이 잘 보존되지 않아 그 모습과 형태가 현대에 잘 전해지지 못한 것은 실로 안타까운 일이다.
다행히 오늘날 우리 고유의 움직임에 대해 여러 분야에서 많은 연구를 하여 우리의 것을 되찾고자 노력하고 있는 점은 매우 반가운 일이며, 민속체조의 구성에는 이러한 우리의 움직임을 더욱 많이 활용하고자 한다.
이처럼 우리의 전통 민속놀이가 가지는 교육적, 사회·문화적 가치는 매우 큰것이다. 따라서 한국인의 전통의식과 부합되고 체질에 맞는 우리 고유의 움직임을 발견하고자 하는 연구는 우리 문화와 일에 대한 교육 및 올바른 건강문화의 보급에 필요하다.
< 유아동작교육, 전인옥·이영 / KNOUPRESS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