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n(1986)은 많은 체육교육 또는 동작교육 프로그램들이 Laban의 기본원리를 중심으로 하는 신체적 접근법에 의한 동작교육에 치중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체육교육 프로그램을 위하여 인간동작에서 중요한 요소인 리듬과 무용의 경험을 포함할 것을 강조하였다. Brown(1986)은 리듬 중에서도 특히 창의적 리듬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연구하였는데, 소리와 인간의 동작에 영향을 주는 리듬의 요소를 일곱 가지로 규명하고 그 리듬의 요소들을 동작교육의 내용에 포함할 것을 제안하였다.
박절(beat), 악센트(accent), 마디(measure), 속도(tempo), 지속기(duration), 리듬의 유형(pattern), 악구(phrase) 등의 리듬적 요소는 동작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아는 음악소리를 듣고 동작을 변화시키거나 발레동작을 하면서 특정동작의 리듬을 찾아낼 수도 있다.
리듬 중심 동작교육은 무용가를 훈련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지 않다. 다만 유아로 하여금 다양한 운율적 동작을 경험하고 창조내 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경험들은 창의적 율동, 무용, 무용극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Brown(1987)도 유아는 자기나름대로의 속도로 발달하지만 대체적인 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에 의하면, 유아기 유아가 자신의 상상력을 이용하여 동작을 창조해 낼 수 있으려면 자신의 신체를 이용하여 기본적 아동동작유형을 포함한 신체중심활동과 공간적 요소, 노력(effort) 요소, 그리고 무게요소를 소개할 수 있어야 하며, 이때 다양한 소리·색·그림·시·이야기·소도구 등을 이용하여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여기에 다양한 형태의 리듬요소를 포함하되 연령에 따라 처음에는 창작율동 및 무용의 형태에서 점차 포크댄스나 무용극으로 경험을 넓혀 갈 수 있다.
일곱 가지 기본적 리듬요소
리듬요소 | 설명 | |
1 | 박/맥박(beat/pulse) | 항상 규칙적이고 일정한 느낌의 음향 |
2 | 악센터(accent) | 음향 속에서 전형적으로 규칙적이고 뚜렷하게 나타나는 강함 또는 약함의 요인 |
3 | 마디(measure) | 규칙적인 기저 위에서 박자가 강세에 의해 분할된 결과 |
4 | 속도(tempo) | 음향에서 진동·박자·강세에 의해 분할된 결과 |
5 | 지속기(duration) | 음향 또는 정적이 일어난 시간의 길이 |
6 | 리듬유형(pattern) | 강세에 의해 분할되는 지속시간의 연속 |
7 | 악구(phrase) | 조화를 이루는 음향들의 자연스러운 집단화 |
< 유아동작교육, 전인옥·이영 / KNOUPRESS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