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itson 창작무용 체계적 교수법의 기본개념
Ritson(1986)은 무용을 창의적으로 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이 체계적 교수법은 이론과 실제의 거리를 좁히려는 시도로서, 교수과정에서의 학습위계와 인지기능수준을 토대로 하여 창의적 동작교육을 위한 구체적 형식을 설계하는 방법이다.
Ritson(1986)은 체계적 교수법에서 우선 창의적 무용의 내용을 구명하기 위하여 동작의 경험과 표현, 이 두 측면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고 보았다. 다양한 경험과 표현의 측면을 모두 포함하기 위하여 Ritson은 동작주제(movement themes)와 문화적 주제(cultural themes)라는 두 가지 주제를 내용의 기본틀로 삼을 것을 제안하였다. 즉 교육계획의 초점으로 주제를 사용하되, 동작의 주제는 Barrett(1977)의 교육무용의 개념화에서 선정하였고, 문화적 주제는 주로 유아에게서 유발된 흥미를 중심으로 사회적 환경에서 이미지와 사건들을 수집하여 선정하였다.
Barrett(1977)이 개념화한 교육무용의 동작내용은 일곱 가지 동작주제로 되어있다. 이 일곱 가지 동작주제는 융통성 있게 체계화되어 있어 주제의 순서에서 유아의 운동능력에 자극제가 될 수 있도록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 앞에서 제시한 주제에서 획득한 능력을 다음 주제에서 활용하여 통합할 수 있도록 순서화된 주제들이다.
■ Ritson 창작무용 체계적 교수법의 교수방법
1. Barrett(1977)이 정의한 일곱 가지 동작주제
1) 제1주제: 신체부분에 대한 인식
이 주제에서 유아는 안정동작뿐만 아니라 떠오르기-가라앉기, 회전하기와 같은 이동동작의 모형들을 이용하여 이리저리 움직여 본다. 유아들이 움직일 때, 자신의 신체를 지탱해 주고 행위들을 이끌어 나가며 몸무게를 받쳐 줄 수 있는 여러 신체부위를 이용해 보게 한다.
2) 제2주제: 무게와 시간에 대한 인식
유아는 주제 1에서의 기본적 이동·비이동동작 유형들을 수행하는 데 시간(갑작스럽고 빠른 동작-느리고 지속적인 동작) 측면에서와 무게(견고하고 강한 동작-세밀하고 가벼운 동작) 특면에서의 질적 변화를 시도해 본다.
3) 제3주제: 공간에 대한 인식
유아는 공간(방향·경로·수준 및 확장 등의 다양한 영역)을 구체적으로 이용한 동작들을 수행, 수정해 나간다.
4) 제4주제: 동작의 흐름에 대한 인식
유아는 흐름(탄력적 동작-자유로운 동작, 경련적 동작-유연한 동작, 중단되는 동작-지속적인 동작)과 공간(직접적인 동작-간접적인 동작)의 질적 변화를 통하여 동작들을 수정해 나간다.
5) 제5주제: 짝과 소집단에 대한 인식
유아는 가능한 범위에서 모든 다양한 관계(신체부위들 간의 관계, 짝이나 소집단과의 관계)에 초점을 두고 움직인다. 여기서 신체부위들 간의 관계로는 위-아래, 뒤쪽-앞쪽, 옆과 옆의 관계가 있을 수 있으며, 짝이나 소집단과의 관계에서는 만남-떨어짐, 거울처럼 따라 하기, 그럼자 되기, 반대로 하기, 질문하기-대답하기, 위로-아래로, 옆에서 등의 관계가 설정될 수 있다.
6) 제6주제: 신체에 대한 인식
유아들은 기본적인 뛰어오르기와 몸짓을 비롯한 여러 가지 신체모양(직선으로, 넓게, 비틀어서, 둥글게)을 만들어 숙달한다.
7) 제7주제: 노력 행위들에 대한 인식
유아들은 무게(힘, 강도)와 공간에서의 질적 변화들을 서로 통합시키는 시도를 해 본다. 예를 들어 밀기 동작(갑작스러운, 단호한, 직접적인), 내리쳐 베기 동작(갑작스럽게, 예리하게, 간접적으로), 떠 있는 동작(지속적인, 가볍게 간접적인), 미끄러지기 동작(지속적인, 예리하게, 직접적인), 비틀기 동작(지속적인, 견고한, 간접적인), 누르기 동작(지속적인, 견고한 직접적인), 휘두르는 동작(지속적인, 예리하게, 간접적인), 튕기기 동작(갑작스러운, 가볍게, 직접적인) 등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이상의 주제 가운데에서 제1, 2, 3, 5, 6주제가 제4, 7주제보다 쉽다고 보고되었다(Ritson, 1986, 재인용). 제4주제(동작의 흐름에 대한 인식)와 제7주제(노력 행위에 대한 인식)는 좀 더 섬세한 내용을 다루고 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 주제들은 유아의 창의적 무용을 지도하기 위한 내용의 틀로 사용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동작주제만을 창의적 무용을 지도하는 내용으로 다룰 경우 지나치게 동작의 요소나 기본형태 등에 국한된다는 비판이 있기 때문에, 체계적인 접근법에서는 동작주제 이외에 표현적인 측면을 포함하기 위하여 사회환경에서 일어나는 상상과 사건을 하나의 자극제로 포함시켰다.
동작주제는 세계적으로 거의 공통된 내용으로 정해져 있지만, 문화적 주제는 각 세대와 사회, 그리고 환경적 조건에 따라 매우 독특하다. 따라서 특정유아가 속한 각 지역사회, 시대, 환경적 조건에 맞는 주제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하고자 하는 대상에게 맞는 적절한 주제를 선정하는 일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Ritson(1986)이 예로 제시한 주제들을 보면 아래 표와 같으며, 이 주제들은 대체로 모든 유아가 공통적으로 흥미를 갖는 주제로 선정된 것이다.
창작무용의 주제
독작주제 | 문화주제 |
신체부분과 신체모양 무게와 시간 공간 동작의 흐름 노력행위 |
동물 악기 서커스 기계도구 만화 주인공 스포츠 교통기관 자연환경 장난감 역사적 사건 |
국내에서 조사한 우리나라 유아가 흥미있어 하는 표현활동의 주제를 보면(김명희, 1981) 동물·기계·자연·사람 등의 순서로 나타나 Ritson이 제안한 주제와 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국내의 창작율동이나 무용교육의 경우 대체로 외국에서 사용한 주제를 그대로 이용하고 있으므로 더욱 우리나라 유아가 흥미를 가지는 다양한 주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들 주제가 동작주제인지 아니면 문화적 주제인지에 따라서 유아가 참여하는 본질은 매우 다르다. 즉 문화적 주제가 내용이 될 때는 주로 유아의 반응을 모방하고 사물이나 사건을 극화하며 감정을 표현하는 동작이 된다. 동작주제가 내용이 될 때는 유아가 동작의 질이나 능력을 증진하려는 노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체육교육 프로그램에서 창의적 무용을 실시할 경우에는 동작주제가 핵심내용이 되어야 하며, 문화적 주제는 무용의 다양성과 풍부한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 유아동작교육, 전인옥·이영 / KNOUPRESS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