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Weikart의 리듬적 동작교수법

by ⍣Humpback whale⍣ 2022. 12. 22.
반응형

유아동작교육에서 리듬적 동작교수법이란 리듬동작을 강조하는 교수·학습방법으로, 리듬이라는 시간적 요소와 동작이라는 공간적 요소를 결합시킨 연계적이거나 패턴화된 신체동작인 리듬동작을 위한 교수법을 의미한다. 리듬동작은 공간적인 기술도 필요하지만 먼저 리듬능력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 한다. 이러한 리듬능력은 유아들이 기본적인 시간흐름능력을 갖고 박을 느끼고 표현하며, 박조정기술인 공동 박에 맞추어 동작을 할 수 있는 기술로 이루어진다.

 

■ Weikart 리듬적 동작교수법의 기본개념

인간생활에서 움직임은 대부분 규칙적이다. 숨쉬기, 걷기, 말하기, 식사하기, 낮과 밤, 계절의 순환 등 일상생활이 규칙적으로 흘러간다. 이 규칙적인 흐름 속에 존재하는 인간은 리듬적이 된다. 리듬이라는 용어는 고대그리스어의 동사인 ‘Rhein’에서 파생된 것으로 ‘흐르다’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그러므로 인간생활의 흐름에서 파생되는 규칙적인 리듬과 움직임(동작)은 아주 밀접한 관계가 될 수 밖에 없다.

 

Dalcroze와 Orff의 이론을 바탕으로 리듬동작이론을 연구한 Weikart는 체육, 무용, 레크리에이션 등의 시간에 즐겨 하는 리듬동작에서, 많은 유아가 규칙적인 박에 맞추어 기본동작조차 잘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 1학년 186명, 2학년 165명, 3학년 113명을 각각 세 그룹으로 나누어, 첫째 그룹은 기본박을 인식하고 박에 맞추어 양손으로 머리 위를 가볍게 두드리게 하고, 둘째 그룹은 기본박을 인식하고 박에 맞추어 양손으로 가볍게 머리 위와 어깨 위를 두드리게 하였으며, 셋째 그룹은 기본박에 맞추어 걷게 하였다.

 

그 결과, 즉 박을 인식하고 표현할 때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발달하기는 하나, 기본동작인 걷기와 함께 박을 표현할 때는 다른 방법의 표현보다는 수가 적게 나왔다. 이는 유아들이 기본박과 대근육을 이용하는 기본동작의 표현이 잘되게 나왔다. 이는 유아들이 기본박과 대근육을 이용하는 기본동작의 표현이 잘되지 않는다는 것을 입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Weikart는 동작과 춤을 통한 박 표현능력의 발달을 강조하고, 언어(찬트)와 동작을 관련시켜 지도하는 연계적 민속무용학습을 고안하였다.

 

Weikart는 저서 Teaching Movement & Dance(1989)에서, 리듬적 움직임의 요소인 박을 느끼고 나타낼 수 있는 박 인식과 그 박에 맞추어 움직일 수 있는 박 표현능력이 기본적인 박 시간감각의 발달, 즉 리듬의 흐름을 인식하는 능력의 발달을 돕는다고 주장하였다. 또 이 기본적인 박 시간감각으로 박을 실행하는 조정기술이 결합되어 리듬능력을 나타낸다고 하였다. 그리하여 그녀는 신체기본동작을 통하여 기본적인 리듬능력을 발달시키고, 구조화된 민속무용단계로 나아가서 민속음악의 흐름을 인식하게 하였다. 또 Weikart는 유아들에게(융아에서 어른까지) 구조화된 움직임(민속무용)과 민속음악의 결합으로 다양한 문화에 대한 친밀감을 심어 주는 동시에 그 문화권의 음악에 대한 이해도 증진시켰다.

 

■ Weikart 리듬적 동작교수법의 교육내용

1. 기본동작

신체를 활용한 기본동작에는 안정동작과 이동동작, 결합동작 및 조작동작 등이 있다.

1) 안정동작

안정동작은 신체적·언어적·공간적·시간적 인식의 관점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① 신체 및 언어 인식의 발달을 위한 동작

- 구부리고 쭉 뻗는 동작은 무릎, 팔꿈치, 손목, 발목, 목, 허리로 할 수 있다.

- 비틀고 돌리는 동작은 어깨를 중심으로 팔 전체를 돌리고, 엉덩이를 중심으로 다리 전체를 돌리며, 목을 중심으로 머리를 돌리고, 비틀기는 부분적인 돌리기가 된다.

- 좌우, 앞뒤로 흔드는 동작은 팔과 다리, 몸통을 흔들 수 있다.

- 손가락과 발끝, 몸 전체로 구부렸다가 쭉 펴는 동작은 누워서 할 수 있다.

- 그 밖에 흔들기, 쾅쾅 치기, 탁 치기, 찰싹 치기, 가볍게 두드리기, 만지기 등이 있다.

 

② 시간과 공간 인식의 발달을 위한 안정동작

- 공간적인 인식의 발달은 동작의 방향인 위와 아래, 동작의 크기인 크게와 작게, 동작의 높이인 높게 낮게 중간되게, 동작의 힘과 강도인 강하게 약하게, 동작의 모양인 곡선과 일직선과 지그재그, 동작의 모양에 따라 대칭 또는 비대칭, 좁게 또는 넓게, 동작의 흐름인 평탄하게 또는 울퉁불퉁하게 등이 있다.

- 시간적인 인식의 발달은 템포·길이와 관련되어 있는데, 동작의 시작과 멈춤, 빠르게와 느리게, 점점 빠르게와 점점 느리게, 시간의 같고 다른 양에 따른 고르게와 고르지 않은 동작, 갑자기 하는 것과 계속하는 동작 등이 있다.

 

2) 이동동작

이동동작은 신체의 무게중심이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하는 동작으로 걷기, 달리기, 위로 뛰기 등이 있다. 안정동작이나 이동동작 모두가 성공하려면 힘의 세기, 균형, 조정, 기본시간감각 등이 있어야 한다. 이 동작에도 신체와 언어 인식의 발달을 위한 동작과 공간적·시간적 인식의 발달을 위한 동작이 있다.

단계별 무게이동동작

다섯 가지 기본 무게이동 동작언어의 분류
(1) 한 발에서 다른 발로 이동하기
(2) 두 발에서 두 발로 이동하기
(3) 한 발에서 두 발로 이동하기
(4) 두 발에서 한 발로 이동하기
(5) 한 발에서 다시 그 한 발로 이동하기
걷기, 달리기, 터벅터벅 걷기, 행진하기, 도약하기, 말처럼 뛰기, 미끄러지기
두 발 모아 위로 뛰기(jump)
두 발 모아 아래로 뛰어내리기(jump)
한 발로 뛰기(hop), 도약하기(leap)
두 발 번갈아 뛰기(skip)

 

공간적·시간적 인식의 발달을 위한 동작은 안정동작과 흡사하다.

① 유아들에게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방을 가로지르듯이 이동하게 하여, 유아들이 바닥에 닿는 신체의 부분을 관찰하여 다른 모양으로 할 수 있는지를 파악하게 한다.

 

② 이동방향을 앞뒤로 변화를 주어 움직이게 한다.

 

③ 일정공간에서 유아들이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특정 발이나 방향을 고집하지 않는다.

 

④ 신체의 위치나 높이에 변화를 주어 작게, 크게, 안으로, 밖으로 이동하게 한다.

 

⑤ 강도에 변화를 주어 행복하고, 슬프고, 화나고, 피곤한 기본과 모급으로 움직이게 한다.

 

⑥ 동작의 크기에 변화를 주어 크게 걷기, 작게 걷기 등의 변화를 준다.

 

⑦ 유아들이 곧바로, 둥글게, 지그재그 등의 변화를 주어 이동하게 한다.

 

⑧ 동작의 흐름을 평탄하고 울퉁불퉁하게 변화시킨다.

 

⑨ 동작의 시간을 같고 다르게 변화를 주어 고른 동작인 걷기, 달리기와 고르지 않은 동작인 말처럼 뛰기와 두 발 번갈아 뛰기를 하게 한다.

 

⑩ 이동동작의 결합을 다양하게 하여, 걷다가 뛰거나 뛰다가 미끄러지기 등의 다양한 동작으로 지도한다.

 

3) 결합동작

결합동작이란 신체의 상부는 안정동작으로, 신체의 하부는 이동동작으로 결합하는 동작이다. 이러한 동작을 사용하는 활동으로는 리듬체조, 에어로빅, 춤 같은 것이 있다.

 

4) 조작동작

조작동작은 위에서 익힌 세 가지 동작과 공·소고·종이접시·의자·리본 등과 같은 물건과 함께 하는 동작이다. 공던지기, 공잡기, 공차기, 공튀기기, 소고치기, 소고 흔들기, 의자 주변 돌기, 의자 잡고 허리 구부리기, 가면 쓰고 창의적으로 움직이기, 종이접시 두드리기 등의 동작을 할 수 있다. 그 밖에 수건, 리본막대 들고 흔들기 등의 다양하고 많은 활동을 할 수 있다.

 

< 유아동작교육, 전인옥·이영 / KNOUPRESS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