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실학주의와 유아교육4 코메니우스의 유아교육내용과 방법과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 1. 교육내용 코메니우스는 《대교수학》 제27장에서 모든 사람이 다닐 수 있는 학교제도를 주장하고 이를 인생의 연령과 발달과 관련지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무릎학교이다. 이 시기는 생후부터 6세까지로 가정에서 어머니가 행하는 교육을 말한다. 건강, 일상 언어, 기본 생활습관, 신앙의 기초, 사물과의 접촉, 감각적 훈련 등과 같이 인간생활에 필요한 기초를 가정에서 어머니가 교육한다. 이 시기의 교육은 외부 감각을 훈련시키며 주변의 대상을 구별하도록 가르친다. 교육내용은 형이상학, 자연학, 광학, 천문학, 지리학, 기하학 등의 20가지 항목으로 되어 있다(정확실 역, 2007). 형이상학은 ‘있다, 없다, 언제, 어디, 같고 다른 것’ 등이며, 자연학은 ‘물, 흙, 공기, 불, 비, 눈,.. 2023. 5. 27. 코메니우스의 유아교육관 2) 유아교육의 목적 인간은 지적 존재이자 도덕성과 신앙을 지닌 존재이므로 이에 맞는 교육을 해야 한다. 지식이란 모든 사물과 기술, 언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적 존재란 인간이 이러한 지식을 본래부터 알도록 된 존재이며 이러한 지식을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도덕성의 존재란 인간의 덕성을 지닌 존재이고 자신을 포함한 모든 것을 통제하는 힘을 가진 존재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인간은 덕성을 갖추는 것으로 신체나 몸의 단정함을 나타내고, 내면과 외면의 절제와 통제 및 옳고 그름의 판단을 가지는 도덕적인 경향을 갖추는 것이다. 신앙을 지닌 존재란 인간이 모든 것을 하느님께 의지하도록 된 신앙의 존재로 인간은 더 없이 존귀한 하느님께 자신을 완전히 의지하는 내적 경외심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인간은 이러.. 2023. 5. 26. 코메니우스의 유아교육 1. 생애 요한 코메니우스(Johann Amos Comenius, 1592~1670)sms 1592sus 체코슬로바키아의 모라비아 주 니브니츠(Nivnitz)에서 태어났다. 코메니우스의 아버지 마르틴(Martin)과 어머니 안나(Anna)는 보헤미아(Bohemia)의 종교개혁 신교교단인 모라비아(Moravia) 형제교단에 속한 독실한 신자였다. 아버지 마르틴은 코메니우스가 10세 때 사망하였고 어머니도 곧 사망하여 숙모에 의해 목수의 제자로 양육되었다. 1608년인 16세 때 코메니우스는 라틴어 학교에 입학하여 2년간 공부하였다. 이때 그는 자기의 공부가 늦었음을 깨닫고 열심히 공부하였다. 1611년인 19세에 코메니우스는 헤르보른(Hervorn) 대학에 입학하여 신학과 철학을 연구하다가 당시의 유명한 .. 2023. 5. 25. 실학주의와 유아교육 ■ 실학주의와 유아교육 1. 실학주의의 이해 실학주의(realism)는 인문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나타난 사상으로 인문주의자들과 종교개혁자들의 편협성에 대한 반항으로 일어났다. 인문주의(humanism)는 고대 그리스나 로마의 문학을 바탕으로 자유교육의 이념을 부활하고자 했다. 그러나 고전을 탐구하고 형식에 얽매이며 암기와 훈련을 위주로 하여 개성을 실현하고 진리 탐구를 추구하고자 했던 인문주의의 정신은 상실되었다. 고대 문학이 수단이 아니라 점차 목적으로 사용되면서 인문(人文, humanity)은 고대의 언어나 문학만을 의미하게 되었고 고대의 문학작품들이 내포하는 내용이나 가치보다 형식적인 면에 치중하는 일이 나타났다. 이로 인해 인문주의가 초기에 지향했던 개성이나 진리 탐구의 이상이나 정신은 쇠퇴하고 .. 2023. 5.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