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개별화교육과 행동지도5

사회적 수용을 촉진하기 위한 지도-2 장애아동의 사회적 수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교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략은 다양하다. 이러한 전략은 장애아동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교사나 아동을 대상으로 하거나, 또 부모를 대상으로 한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중 몇몇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ewis & Doorlag, 2003). 1.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장애이해 활동 장애를 가진 아동에 대한 지식의 증가는 일반아동과 교사의 태도를 변화 시킬 수 있다(Schultz & Torrie, 1984). 통합교육을 하기 전 일반아동에게 장애에 대하여 알려 줄 수 있는 방안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어린 아동의 경우는 교사가 직접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좀 더 나이가 든 아동은 스스로 장애에 관련 정보를 찾아보는 활동을 할 수도 있.. 2023. 3. 4.
사회적 수용을 촉진하기 위한 지도-1 ■ 교실 내의 사회적 문제 장애아동이 일반학교에서 겪는 큰 어려움 가운데 하나는 거부이다. 장애아동은 또래나 교사 또는 또래들의 부모에게 거부당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이러한 수용의 결여는 장애아동의 자아개념뿐만 아니라 성취에도 부정적 영향을 준다(Heron & Harris, 2001). 따라서 장애아동이 일반학교에 통합될 경우 이들의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을 촉진하는 중재를 함께 해야 한다. 장애아동이 일반교육 기관에서 겪는 어려움의 원인으로 먼저 이들의 행동을 들 수 있다. 장애를 가진 아동은 학교나 사회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 이들은 일반아동과 달라 보이고 일반아동처럼 행동하지 못한다. 따라서 장애아동에 친숙하지 않은 교사나 또래들은 이러한 차이 때문에 불신감이나 .. 2023. 3. 3.
행동지도-2 ■ 긍정적 행동지원 1. 긍정적 행동지원이란 장애아동의 문제행동은 그 원인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행동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이들이 친사회적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학교 분위기를 조성할 때 더 효과적일 것이다. 이러한 견해에서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school wide positive behavioral support)을 제시하고 있다. 학교 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란 학교 내 모든 학생의 학습과 긍정적 행동을 지원하기 위한 교사와 학생, 가족 및 지역사회의 협력적 접근을 말한다(Strout, 2005). 이러한 긍정적 행동지원은 장애를 지닌 아동이 보이는 문제 행동을 줄이고 예방할 뿐 아니라 사회적이고 학습적인 성취를 지원하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개별화 전략으로, 새로운 긍정적 행동을 교수.. 2023. 3. 2.
행동지도-1 ■ 행동지도의 중요성 교사라면 누구나 학생의 부적절한 행동을 살피고 지도하는 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쓴다. 아동의 행동지도를 우리는 흔히 훈육(discipline) 이라고 말하는데, 훈육의 어원은 사제 또는 제자(disciple)이다. 즉, 훈육이라는 어휘가 최근에는 종종 복종이라는 어휘와 연관되나 근원적으로 훈육은 학습과 관련된다. 즉 스승이 학생·제자에게 최대의 학습기회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다면 아동의 행동지도, 즉 훈육은 아동의 학습과 직접적 관련을 갖는다. 실제로 교사가 아동의 행동을 효율적으로 지도하고 통제하면 아동은 학습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학업성취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Algozzine, Audette, Ellis, .. 2023. 3.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