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아교육14

아동관과 유아교육 ■ 아동관 1. 아동의 개념 아동은 ‘어린아이’를 말한다. ‘어리다’라는 말은 신체적으로는 어떤 힘을 감당하지 못하는 상태를, 정신적으로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판단 능력이 부족하고 경험이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어린아이’는 신체적·정신적으로 미숙한 상태의 존재를 뜻한다. 아동의 의미는 어원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한자어 아동(兒童)의 ‘아(亞)’는 절구 ‘구(臼)’와 사람 ‘인(人)’이 합해진 상형문자로 ‘머리 모양이 절구 같은 사람’이라는 말이고, ‘동(童)’은 마을 ‘리(里)’와 설 ‘립(立)’이 합해져 ‘마을에 서서 놀고 있는 절구 같은 머리를 한 사람’이라는 뜻(백혜리, 2003)이다. 영어의 아동은 ‘child’로 고대 영어의 ‘cild‘, ’kilpam’에서 유래했다(정미라, 199.. 2023. 5. 10.
유아동작교육의 교수·학습이론 : 문화맥락주의 교수·학습이론 1.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상호작용이론 Vygotsky는 정신적 발달이란 유아가 자기자신과 환경과의 상호작용결과를 내면화시키는 과정이라고 보았다. Vygotsky는 내면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질적 변환의 특징을 두 수준으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첫 번째 수준은 사회적이고, 두번째 수준은 개인적인 것으로서, 사고발달은 객체와의 사회적 상호작용범주인 ‘사람들 사이’에서 이어 가다가 주체 내 사고과정의 범주인 ‘개인 내면’에서 나타나게 된다(양옥승, 1993, p. 95). 즉 인간이 보이는 인지적 기술 또는 사고방식은 타고난 지능이나 정신능력에 의해 생래적으로 결정된 것이 아닌, 개인이 성장한 문화의 사회적 기관에서 수행된 활동들의 산물이다. 따라서 유아의 사고방식에는 양육된 사회의 역사와 그 사회에.. 2022. 12.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