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아동작교육의 신체적 동작교수법3 Callahue와 Gilliom 동작교수법의 강조점 Gallahue와 Gillom의 두 교수방법은 신체를 이용하여 스스로 자기 신체와 동작을 탐색하게 하는 방법으로서, Laban의 이론에 기초를 둔 동작교육의 신체적 접근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교육방법에서 공통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동작교육에서 교사는 될수록 유아에게 스스로 탐색하고 실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라는 것이다. 교사가 시범을 보이고 따라 움직이도록 유도하는 것은 유아를 꼭두각시로 만드는 일이므로, 교사는 융통성과 인내심을 가지고 유아에게 충분한 기회와 시간적 여유를 주어 스스로 생각하고 느끼도록 해 주어야 한다. 제시하고 질문하는 형식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들어 줌으로써 발견, 탐색할 기회를 주자는 것이다. 물론 목적 없이 제시된 문제와 상관없는 행동을 해도.. 2022. 12. 21. Gilliom의 문제해결식 동작교수법 ■ Gilliom 문제해결식 동작교수법의 기본개념 Gilliom(1970)은 학습에서 가장 기본적인 과정을 발견으로 보고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다양한 문제해결 기술을 제시하였다. 문제해결식 접근방법에서는 해결해야 할 문제나 문제상황을 제시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을 유도할 때 그 문제가 곧 학습활동이 된다. 문제 중에서 가장 자극적인 것은 표준해결책이 없는 문제나 한 가지의 옳은 해결책만을 요구하지 않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동작문제(학습활동)를 설정하여 제시할 때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 일반적 기준을 보면 다음과 같다(Gilliom, 1970, pp. 47~48). ① 기본문제는 표준해답이 없는 것이어야 한다. ② 보조문제는 유아가 스스로 발견하지 못할 때만 제시해야 한다. 보조문제는 기본문제.. 2022. 12. 20. Gallahue의 개념적 동작교수법 동작교육의 접근방법 중에서 Laban의 영향을 받아 동작의 기본요소를 중심으로 상상력 없이 기본동작과 신체능력을 탐색하고 실험해 보게 하는 교육방법으로서 Gallahue의 개념적 교수법을 소개한다. ■ Gallahue 개념적 동작교수법의 기본개념 1. Callahue 개념적 동작교수법의 기본전제 1) 유아의 동작능력은 일정한 단계를 거쳐 발달한다. 유아의 동작능력은 ‘인간동작의 기본유형’ (안정·이동·조작)에서 일정한 단계(반사적 행동→초보적 동작능력→기본적 동작형태→일반적 동작능력→특수동작, 전문화된 동작 기술)를 거치며 발달한다. 2) 유아의 동작능력은 체육교육에 참여하여 성취할 수 있다. 이것은 다양한 ‘체육교육내용’(체조, 게임과 스포츠, 리듬활동, 수중운동 등)에 참여함으로써 성취할 수 있다. .. 2022. 12.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