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친사회성2 영아기 25개월~30개월의 발달 : 사회성 발달과 언어발달 ■ 사회성 발달 1) 주요한 사회성 발달 (1) 성 정체감 24개월 된 영아들은 사진 속의 여성이 짧은 머리를 했거나 바지를 입고 있다 해도 그들이 여전히 여성임을 알 수 있지만(Thompson, 1975), 자신의 성 정체감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 알지 못한다. 2.5~3세 된 대부분의 영아들이 아직 '성 항상성'(생물학적 성이 변할 수 없다는 보존개념의 인식)을 발달시키지는 못하지만 적어도 자신이 남자인지 여자인지를 정확하게 명명할 수는 있다. 28개월 무렵이 되면 엄마나 아빠라는 단어가 소년, 소녀라는 단어보다 더 빨리 남녀를 구분하는 명칭으로 이해되고 획득된다. 이때 성별 명칭의 단서로 이용되는 것은 생식기관에 대한 것이나 머리카락의 길이와 머리 색깔 등이다(Leinbach & Fagot, 198.. 2022. 10. 11. 영아기 7개월~12개월 : 사회성 발달과 언어발달 ■ 사회성 발달 1) 주요한 사회성 발달 (1) 단어 이해하기 8개월의 영아는 반복되는 소리형태를 단어로 인식할 수 있지만 아직 단어의 의미를 연합시키지 못한다. 10개월경 영아들은 음악이 나오면 몸을 흔들었다. 이는 영아들이 소리에서 규칙적 리듬을 이해하여 그 리듬에 따라 율동을 할 정도로 신체적 협응능력도 현저하게 발달되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12개월이 되면 영아는 친숙한 소리 형태를 들었던 경험을 통해 마음에 단어를 연합시켜 참조적 기능으로 사용하기 시작한다. 이처럼 영아는 청각을 통해 사회와 상호작용한다. 출생 전부터 영아의 청각은 외부의 소리를 들을 수 있을 정도로 발달되어 있으며, 출생 직후에도 엄마의 목소리를 알아챌 수 있을 정도로 청각기억이 기능하고 있는 것 같다. 이런 목소리에 .. 2022. 10. 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