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Katz와 Chard의 프로젝트 통합교수법3

Katz와 Chard의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의 목표 ■ Katz와 Chard의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의 목표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의 목표는 유아에게 새로운 지식을 얻게 하고, 사회적인 의사소통능력, 신체운동능력, 그리고 유아의 전인발달에 필요한 기술을 향상시켜 주며, 탐색에 몰입하면서 노력을 통해 숙련과 도전을 추구하는 성향을 기르게 하고, 집단에의 소속감과 공동체 의식과 같은 감정과 정서를 느끼도록 하는 데 있다. (1) 유아들에게 새로운 지식을 얻게 함으로써 인지능력과 언어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2) 지적·사회적 의사소통이나 음악과 신체운동능력 발달에 필요한 기술과 기능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음악적 개념, 그리고 신체와 동작의 능력이 현저히 발달되도록 한다. (3) 노력과 숙련과 도전을 추구하는 성향을 길러 주는 데 목표가 있다. .. 2023. 1. 5.
Katz와 Chard의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의 특성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의 특성은 융통성 있는 진행, 깊이 있는 탐구활동, 다양한 표현 및 표상활동, 활발한 상호작용의 네 가지로 요약된다. 이러한 특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융통성 있는 진행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은 융통성 있게 진행된다. 즉 프로젝트의 주제·환경이 같다고 할지라도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시작에서부터 종결에 이르기까지 기간이 일정하지 않다. 또 매일같이 이루어져야 하는 프로젝트의 수행시간도 정해져 있다고 볼 수 없다. 특별활동이 있는 경우에는 아예 진행하지 못할 수도 있고, 유아의 관심이 고조된 경우에는 장시간 프로젝트에 몰두하기도 한다. 그 이유는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을 유아 중심으로 진행하고, 유아가 교사와 더불어 협의를 하면서 주제를 선정하고 프로젝트.. 2023. 1. 4.
Katz와 Chard의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의 기본개념 1.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의 개념 1980년대를 기점으로 유아의 발달과 교수·학습방법에 관하여 이루어진 많은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이 유아의 인지적·사회적 발달등 전인발달을 도모하고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협동학습방법을 향상시키는 적절한 방법을 지지하고 있다. 특히 프로젝트 접근법을 제안한 Katz와 Chard(1989; pp. 9~10)dp 의하면,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은 유아교육목표의 전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새로운 지식·기능·성향·느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또 그들은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을 통해 ‘유아교육내용 선정과 교수·학습방법’을 유아교육현장에 적합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융통성 있게 운영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프로젝트를 통한 통합교육.. 2023. 1.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