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가족과의 협력적 접근6

장애아동이 부모와 가족에게 주는 영향 38쪽 1. 장애에 대한 부모의 반응단계 자녀가 장애판단을 받으면 부모가 나타내는 반응은 어떠할까? 장애아동의 진단에 대한 부모의 반응을 한마디로 이야기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Anderegg, Vergason, & Smith, 1992)은 장애진단에 대한 부모의 반응을 단계이론(stage theory)으로 설명한다. 이 주장은 자녀가 장애아동이라는 소식에 대해 부모가 일련의 단계적 반응을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비록 모든 가족이 똑같이 반응을 하지는 않으나, 연구자들은 부모가 보이는 반응에는 공통된 단계가 있다고 한다. 이 단계는 학자에 따라 3단계 또는 5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① 1단계 : 충격과 부인 부모는 전문가들에게 자신의 자녀가 장애아라는 판정을 받으면 이미 자녀가 장애를 가지고.. 2023. 2. 16.
장애가족의 이해 ■ 가족체계 접근 가족체계(family system) 모델의 기본적 바탕은 가족이 독특한 특성과 욕구를 가지며 상호관련을 갖는 하나의 사회체계라는 데 있다. 가족은 상호작용을 하는 동시에 상호의존적인 단위이다. 즉 가족 중 어느 한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사건이나 경험은 다른 가족구성원에게도 영향을 준다. 이러한 관계 때문에 교사나 서비스 제공자들은 가족을 하나의 전체로 보아야 한다. 턴불과 턴불(Turnbull & Turnbull, 1997)은 이러한 가족체계 개념을 장애자녀를 가지고 있는 가족의 연구에 적용하였다. 이들의 모델을 보면 가족의 특성, 가족의 상호작용, 가족의 기능 그리고 가족생애 사이클의 네 가지 요소가 가족체계개념의 구성요소가 된다. 1. 가족의 특성 가족의 특성(family chara.. 2023. 2.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