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성 발달3 영아기 13개월~18개월 : 사회성 발달과 언어발달 ■ 사회성 발달 1) 주요한 사회성 발달 (1) 자기(self)발달 Lewis와 Brooks-Gunn(1979)은 영아의 코에 붉은 입술연지를 바른 다음, 거울 앞에 세워 놓고 영아의 반응을 관찰함으로써 자기 인식(selfrecognition)의 발달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 설계의 이론적 근거는 만약 영아가 자기 얼굴에 대한 도식을 갖고 있어서 거울에 비친 상을 자신이라고 인식한다면 곧 생소한 붉은 점에 주목하여 자신의 코에 손을 뻗어 지울 것이다. 15~17개월 된 몇몇 영아들은 손으로 자신의 콧등을 만진다. 즉, 이 시기의 몇몇 영아만이 거울이 그들의 모습을 반영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 도식 정보를 체제화하고 해석하는 인지적 개념 또는 틀 (2) 성 고정관념 장난감 선호의 성차는 매우 이른 시.. 2022. 10. 7. 영아기 7개월~12개월 : 사회성 발달과 언어발달 ■ 사회성 발달 1) 주요한 사회성 발달 (1) 단어 이해하기 8개월의 영아는 반복되는 소리형태를 단어로 인식할 수 있지만 아직 단어의 의미를 연합시키지 못한다. 10개월경 영아들은 음악이 나오면 몸을 흔들었다. 이는 영아들이 소리에서 규칙적 리듬을 이해하여 그 리듬에 따라 율동을 할 정도로 신체적 협응능력도 현저하게 발달되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12개월이 되면 영아는 친숙한 소리 형태를 들었던 경험을 통해 마음에 단어를 연합시켜 참조적 기능으로 사용하기 시작한다. 이처럼 영아는 청각을 통해 사회와 상호작용한다. 출생 전부터 영아의 청각은 외부의 소리를 들을 수 있을 정도로 발달되어 있으며, 출생 직후에도 엄마의 목소리를 알아챌 수 있을 정도로 청각기억이 기능하고 있는 것 같다. 이런 목소리에 .. 2022. 10. 5. 영아기에 대한 이론적 관점 - 사회성 발달 ■ 사회성 발달 인간은 태내에 잉태되어 출생하는 순간부터 죽는 순간까지 끊임없이 변화한다. 이런 변화과정을 겪으면서 어머니에게 전적으로 의존하는 존재에 불과했던 어린 영아는 기고 걷고 말하고 친구들 사귀며, 마침내 사회의 어엿한 일원으로 적응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자라면서 그 사회가 바람직하게 여기는 가치관이나 행동을 습득해 나가는 사회화 과정을 밟는다. 사회화 과정을 통해 성장하게 되고 그 사회에 필요한 가치관이나 행동방식을 습득하게 되는 것이다. 삶의 초기에 영아는 부모나 돌보는 사람과 일차적인 관계를 맺게 된다. 아동 초기에 이르면 형제, 친족 친구, 및 가족 이외의 사람들과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면서 사회적 세계를 더욱 넓혀 가며, 가족이나 집단 및 문화에 어울리는 태도, 행동을 익히게 된다. .. 2022. 9. 2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