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아동작교육의 리듬적 동작교수법6 Weikart의 리듬적 동작교수법-리듬동작 ■ 리듬동작 Weikart는 Dalcroze의 유리드믹스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음악에서 흐르는 기본적인 시간감각을 인식하고 내재화하며, 이 내재화한 이미지를 동작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박 조정기술의 발달을 유도하기 위한 일련의 지도과정을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1. 기본적인 시간감각: 박을 느끼고 표현하기 기본적인 시간감각은 박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것으로,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박 인식: 박을 인식하는 것은 듣고 느끼는 과정을 통해서 획득된다. 유아들은 주변환경이나 리듬적인 음악, 자장가 등의 노래에서 주기적인 패턴의 반복을 듣고 느끼며 박을 인식하게 된다. 박의 인식에는 이렇듯 반복된 경험이 필요하다. ② 박의 인식단계 - 1단계(박의 경험): 유아를 편안하게 앉히고 그 손을 교사의 손등에 .. 2022. 12. 23. Weikart의 리듬적 동작교수법 유아동작교육에서 리듬적 동작교수법이란 리듬동작을 강조하는 교수·학습방법으로, 리듬이라는 시간적 요소와 동작이라는 공간적 요소를 결합시킨 연계적이거나 패턴화된 신체동작인 리듬동작을 위한 교수법을 의미한다. 리듬동작은 공간적인 기술도 필요하지만 먼저 리듬능력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져야 한다. 이러한 리듬능력은 유아들이 기본적인 시간흐름능력을 갖고 박을 느끼고 표현하며, 박조정기술인 공동 박에 맞추어 동작을 할 수 있는 기술로 이루어진다. ■ Weikart 리듬적 동작교수법의 기본개념 인간생활에서 움직임은 대부분 규칙적이다. 숨쉬기, 걷기, 말하기, 식사하기, 낮과 밤, 계절의 순환 등 일상생활이 규칙적으로 흘러간다. 이 규칙적인 흐름 속에 존재하는 인간은 리듬적이 된다. 리듬이라는 용어는 고대그리스어의 동사인 .. 2022. 12. 2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