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아의 이동동작3

이동동작을 위한 유아동작활동-3 Ⅶ. 미끄러지기 미끄러지기(sliding)는 걷기 스텝과 달리기 스텝을 옆으로 하는 비규칙적인 리드미컬한 동작이다. 첫 부분인 걷기보다 두 번째 부분인 달리기에 더 많은 시간을 소비한다. 미끄러지기는 항상 같은 발로 움직이게 된다. 미끄러지기 동작은 무게가 시작되는 발에서 뒷발로 옮겨지게 되므로 옆으로 하는 말뛰기와 같다. 유아에게는 정면을 보고 하는 말뛰기보다 미끄러지기 동작이 더 어렵다. ① 유아들에게 미끄러지기 동작을 시범 보인다. - 한 발이 옆으로 나가면, 뒷발이 옆으로 따라온다. ② 다양한 미끄러지기 활동을 해 보자! - 큰 동그라미 둘레를 팔을 벌려 미끄러지기로 이동해 보자. - 짝의 두 손을 잡고, 큰 동그라미 둘레를 미끄러지기로 이동해 보자. ∎ 낙하산 미끄러지기! - 대형 낙하산을 잡는.. 2023. 1. 20.
이동동작을 위한 유아동작활동-2 Ⅳ. 두 발 뛰기 두 발 뛰기(jumping)는 수평 두 발 뛰기(vertical jumping)와 수직 두 발 뛰기(horizontal jumping), 높은 곳으로부터의 두 발 뛰기(jumping from a height)로 나뉜다(Gallahue & Donnelly, 2003). 수평 두 발 뛰기는 흔히 멀리뛰기로 불리며, 수직 두 발 뛰기는 높이뛰기로 일컬어진다. 한 발이나 두 발로 도약하고 두 발로 모두 착지하는 것이 두 발 뛰기 동작이며, 한 발 뛰기는 한 발로 도약하고 같은 발로 착지한다. 더욱 성숙된 두 발 뛰기 패턴은 뛰기 이전의 자세로, 웅크렸다가 멀리 뛰는 방향으로 몸을 확장시키고 팔을 많이 뻗는 것이다. 뛰어서 착지할 때는 유연해야 한다. 내려올 때 착지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 발목,.. 2023. 1. 19.
이동동작을 위한 유아동작활동-1 이동동작은 공간 속에서 신체의 위치를 바꾸면서 하는 동작으로, 신체가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까지 수평적·수직적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한다(Gallahue, 1993) 그 하위유형으로는 걷기, 달리기, 두 발 모아 뛰기, 뛰어넘기, 한 발 뛰기와 발전된 형태를 응용한 이동동작인 말뛰기, 미끄러지기, 두 발 번갈아 뛰기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김선진, 한동욱, 박승하, 김용호, 2003; Gallahue & Donnelly, 2003). 1세를 전후하여 걷기를 시작하는 유아는 한 발 뛰기, 말뛰기, 미끄러지기, 두발 번갈아 뛰기 등이 각 연령별로 출현하며, 대개 만 6~7세까지 성숙해 나간다(박대근, 2004). Bower(1976) 또한 모든 인간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운동행동을 계통발생적 운동행동.. 2023. 1.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