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철학

심리학과 현대의 유아교육 – 행동주의 이론(고전적 조건화)

by ⍣Humpback whale⍣ 2023. 6. 22.
반응형

행동주의 이론은 로크의 백지설과 관계 있는 것으로 조건화와 관찰학습으로 구분할 수 있다. 조건화는 고전적 조건화와 조작적 조건화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고전적 조건화는 자극과 반응의 관계에 따른 행동의 변화로 이해할 수 있고, 조작적 조건화는 상황이나 환경조건의 조작에 따른 행동의 변화로 이해할 수 있다. 고전적 조건화는 자극과 반응과의 1차적이고 직접적인 관계를, 조작적 조건화는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2차적인 자극 조건을 알려 준다. 관찰학습 이론은 모델을 보고 따라하면서 행동을 배운다는 것으로 대리학습(vicarious learning)을 강조한다.

 

1. 고전적 조건화

고전적 조건화는 이반 페트로비치 파블로프(Ivan Petrovich Pavlov, 1849~1936)가 개의 소화기관을 연구하면서 얻은 결과이다. 러시아의 랴잔(Ryazan)에서 가난한 시골목사의 아들로 태어난 파블로프는 목사가 되려 했으나 과학에 더 흥미를 가져 생리학 연구에 전념하였다. 1904년에 노벨상을 받기 전에 소화계통에 대한 연구를 통해 조건반사에 대해 흥미를 가지고 연구하였다.

 

파블로프는 개의 소화기관에 대해 연구하던 중 음식이 입에 들어가기 전에 개가 침을 흘리는 것을 관찰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조건화를 발견하였다. 그는 어두운 방에 개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장치를 한 상태에서 종소리와 음식을 서로 조합하여 반복적으로 제공하면 개는 음식이 제공되지 않더라도 종소리에 의해 타액(침)을 분비하게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음식은 개의 타액 분비를 유도하는 무조건자극(unconditioned stimulus, US)이고 유도되는 타액은 무조건반응(unconditioned response, UR)이지만 음식 없이 종소리만으로도 개는 타액(침)을 분비하는데 이때 종소리를 조건자극(conditioned stimulus, CS), 개가 흘리는 침 반응을 조건반응(conditioned response, CR) 혹은 조건반사라고 한다.

 

또한 파블로프는 종소리가 먼저 제공되어도 음식이 주어지지 않는 것이 반복되면 이미 조건형성된 반응이 없어진다는 소거, 유사한 자극조건에도 조건반응을 보이는 자극일반화, 특정한 자극에만 조건반응을 보이게 하는 변별, 그리고 종소리가 아닌 불빛과 같은 다른 조건에도 반응을 하게 만드는 고차적 조건형성 등을 발견하였다.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는 침을 흘리게 하는 자극과 상관없는 다른 자극에도 침을 흘릴 수 있음을 보여 준 것으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무관한 조건에 반응을 하게 만듦으로써 연합의 원리를 제시해 주었고, 이는 학습으로 연결되어 활용되고 있다. 고전적 조건형성의 기본 개념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 무조건자극과 무조건반응이다. 음식을 보면 침을 흘리는 것은 생리적이고 본능적이며 무조건적인 반응이므로 음식은 ‘무조건자극(US)’이고 침은 ‘무조건반응(UR)’이다.

 

둘째, 조건자극과 조건반응이다. 본질적으로 타액 분비를 유도하는 자극이 아닌 종소리가 침을 흘리게 하므로 ‘종소리’는 침을 흘리게 하는 ‘조건자극(CS)’이고, 이때 흘리는 침은 ‘조건반응(CR)’이다.

 

셋째, 조건화(conditioning)이다. 조건화는 반복적으로 주어지는 조건자극에 반응을 나타내어 형성된 것을 말한다. 조건화(條件化)는 하나의 행동으로 습득되어 학습된 것이다. 조건형성은 조건자극이 무조건자극보다 먼저 주어졌을 때 이루어진다.

 

넷째, 자극일반화(stimulus generalization)이다. 개는 침을 흘렸던 종소리와 유사한 종소리에도 반응을 일으키기도 하는데 이를 자극일반화라고 한다. 자극일반화는 조건자극과 유사한 자극으로 한정된다.

 

다섯째, 소거(消去, extinction)와 자발적 회복(spontaneous revovery)이다. 종소리를 듣고 음식을 예상하여 침을 흘리던 개에게 종소리만 보여 주고 음식을 제공하지 않으면 종소리는 조건자극으로서의 효과를 잃게 되어 이미 형성된 조건반응은 사라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파블로프는 이를 소거라고 불렀다. 그러나 종소리와 더불어 음식이 다시 제공되면 소거된 것처럼 보이는 조건반응이 다시 나타나는데 이를 자발적 회복이라고 한다.

 

여섯째, 변별(辨別, discrimination)이다. 변별은 주어진 특정 자극에만 반응하도록 하고 다른 유사한 자극에는 반응하지 않게 하는 것을 말한다. 종소리에 조건화된 개가 주어진 종소리 이외의 유사한 종소리에도 반응하면 자극일반화이나, 특정한 자극에만 선택적으로 반응하면 변별이라고 한다. 변별은 선택적 강화를 통해 비슷한 자극에 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일곱째, 고차적 조건형성(higher order conditioning)이다. 종소리에 조건반응을 보였던 개에게 종소리와 불빛을 짝지어 음식과 연합하여 반복적으로 제시하면, 개는 종소리에 조건반응을 보였던 것처럼 중성자극이었던 불빛에도 조건반응을 보이게 된다. 이를 고차적 조건형성이라고 한다.

 

여덟째, 연합(聯合, association)이다. 종소리는 개로 하여금 침을 흘리게 만드는 자극은 전혀 아니므로 중성자극에 해당한다. 그러나 음식과 연합되어 종소리만으로도 음식이 곧 나올 것이라는 기대로 인해 개는 침을 흘리므로 음식과 종소리는 서로 연합된 것이다. 즉,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중성자극이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자극과 함께 사용되어 반응을 유도하는 것을 자극의 연합이라고 하고, 이로 인해 조건화가 형성된다.

 

< 유아교육철학 및 교육사, 김희태·정석환, KNOUPRESS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