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아발달5 영아기 25개월~30개월 : 운동발달과 인지발달 ■ 운동발달 1) 주요한 운동발달 운동발달의 관점에서 보면, 생후 세 번째 해는 흥미로운 발달시기다. 이 시기 운동발달 항목들에 대한 연령 규준은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기술을 획득하는 연령에서 폭넓은 개인차가 있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시 말하면 어떤 영아들은 세 번째 해의 마지막까지도 이 모든 것들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 어떤 영아들에서 안정된 손 선호는 5세가 되어야 나타나지만 많은 영아들은 3세가 되면 성인과 유사한 손 선호를 보인다(Hardyck & Petrinovich, 1977; Ramsay, 1980). 손잡이와 발달간의 관계에서 왼손잡이 아이들(전 인구의 12%)이 인지적, 운동적 결핍이 있다는 증거는 없다. 따라서 이 아이들에게 자신이 선호하는 손을 바꾸라고 하.. 2022. 10. 10. 영아기 19개월~24개월 : 운동발달과 인지발달 ■ 운동발달 1) 주요한 운동발달 이동능력(Iocomotion)이 안정되면서 영아는 이제 혼자서 걷고 성인이 손을 잡아주는 것에 저항할 수도 있다. 걷다가 달리기로 전환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영아들이 상당히 잘 달릴 수 있다(Forester, Phillip, & Clark, 1993). 그러나 생후 세 번째 해가 되어야 비로소 영아들은 계단이 있는 집에서 스스로 자신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대부분의 18개월 영아들은 혼자서 밥을 먹고 혼자서 옷을 입으며, 2세가 되면 자신의 코트, 신발, 양말을 입거나 신을 수 있다. (1) 화장실훈련 이 시기 영아를 둔 부모의 관점에서 영아의 가장 큰 진보 중 하나는 화장실훈련(배변훈련)이다. 화장실훈련을 생후 1개월에 시작하는 몇몇 아프리카 국가들의 연구결과에 기.. 2022. 10. 8. 영아기 7개월~12개월 : 사회성 발달과 언어발달 ■ 사회성 발달 1) 주요한 사회성 발달 (1) 단어 이해하기 8개월의 영아는 반복되는 소리형태를 단어로 인식할 수 있지만 아직 단어의 의미를 연합시키지 못한다. 10개월경 영아들은 음악이 나오면 몸을 흔들었다. 이는 영아들이 소리에서 규칙적 리듬을 이해하여 그 리듬에 따라 율동을 할 정도로 신체적 협응능력도 현저하게 발달되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12개월이 되면 영아는 친숙한 소리 형태를 들었던 경험을 통해 마음에 단어를 연합시켜 참조적 기능으로 사용하기 시작한다. 이처럼 영아는 청각을 통해 사회와 상호작용한다. 출생 전부터 영아의 청각은 외부의 소리를 들을 수 있을 정도로 발달되어 있으며, 출생 직후에도 엄마의 목소리를 알아챌 수 있을 정도로 청각기억이 기능하고 있는 것 같다. 이런 목소리에 .. 2022. 10. 5. 영아 1개월~6개월 : 운동발달 출생 직후 나타나는 영아 행동의 대표적인 형태인 반사는 비자발적 운동으로 일반적으로 생후 4개월 이후에 소멸되며, 자의적 행동으로 통합된다. 반사행동 중 탐지반사, 빨기반사, 모로반사 등은 생존을 위해 필요한 기능이며, 잡기반사와 걷기반사는 자의적 운동발달을 위한 전조(precursor)로 생각되고 있다. 또한 긴장성 목반사와 바빈스키반사는 신경계의 미성숙에 의한 것으로서 지속될 경우 신경계의 이상으로 의심되며, 발달이 지연되는 이유가 된다(김재영, 2001). ※ 바빈스키반사 발바닥반사(plantar reflex)의 일종으로 무딘 물체로 발바닥을 자극했을 때 엄지발가락을 포함한 발의 앞쪽이 쫙 펼쳐졌다가 오므리는 반응을 말한다. 성인에게서 바빈스키 반사가 있는 경우 뇌 또는 척수의 이상을 의심해볼 수 .. 2022. 9. 2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