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운동발달5

영아기 13개월~18개월 : 운동발달과 인지발달 ■ 운동발달 1) 주요한 운동발달(이동하기 : 걷기, 계단 오르기) 계단이나 경사는 안정된 걷기를 제약하는 요인이다. 완전한 균형감은 발달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걷기 시작한 지 6개월 후면 걷기가 부드러워지고 불안정한 아장이 걸음은 적어진다(J. E. Clark, Whitall, & Phillips, 1988). 이 즈음 영아는 도움을 받아 한 발로 서고 도움을 받아 계단을 오르내리는 능력을 보이기 시작한다. 이 기술은 평균적으로 16개월경에 나타난다(12~23개월)(Rosenblith & Sims-Knight, 1985). 영아들은 여전히 계단을 오르내릴 때 걷기보다 기는 행동을 보인다. 이 시기의 영아는 자신들이 걷는 표면의 유형에 맞게 행동을 적응시키기 시작한다. 예를 들면, 부드러운 표면.. 2022. 10. 6.
영아 1개월~6개월 : 언어발달 / 영아 7개월~12개월 : 운동발달 언어의 발달은 아기가 출생하기 이전부터 시작된다. 아기는 태아기부터 엄마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으며, 엄마의 목소리를 다른 여자의 목소리와 구별할 수 있다(Kisilevsky, 2003).출생 이후에는 울음으로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며, 미소 또는 사람 쳐다보기 등의 사회적 상호작용행동을 한다. 이러한 초보적 의사소통행동(primitive communication behaviors)은 아직 의도적인 것은 아니지만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욕구를 강력하게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1) 주요 언어발달(옹알이와 차례 지키기) (1) 특징 생후 1개월경부터 영아는 울음소리 외에 '우'나 '이'와 같은 쿠잉(Cooing)소리를 내다가 2개월경부터는 옹알이를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옹알이는 영아가 발성의 기초적 연습을.. 2022. 10. 3.
영아 1개월~6개월 : 운동발달(2) (2) 운동발달 ▶ 뻗기(reaching) 영아의 팔운동도 손운동과 마찬가지로 생후 4개월까지는 모로반사, 팔을 마음대로 움직이기, 손을 입으로 가져가기 등 반사행동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Gallahue, 1982). 이는 4개월경에 나타나는 목표지향적 뻗기(goal-directed reaaching)보다 앞서 나타나는데, 사물을 향한 뻗기가 사물에 의해 유발된 움직임인지 아니면 머리를 돌리거나 사물을 응시하는 것과 같은 어떤 활동에 의한 것인지 확실하지 않기 때문에 뻗기 전단계(pre-reaching)로 간주한다. 그러나 비록 목표지향적이지는 않지만 이 시기 손을 사용한 활동은 조직화되어 있으며, 영아는 눈과 손의 활동을 조정한다. ① 뻗기 전단계(pre-reaching) : 생후 3~4개월이면 영아.. 2022. 9. 30.
영아 1개월~6개월 : 운동발달 출생 직후 나타나는 영아 행동의 대표적인 형태인 반사는 비자발적 운동으로 일반적으로 생후 4개월 이후에 소멸되며, 자의적 행동으로 통합된다. 반사행동 중 탐지반사, 빨기반사, 모로반사 등은 생존을 위해 필요한 기능이며, 잡기반사와 걷기반사는 자의적 운동발달을 위한 전조(precursor)로 생각되고 있다. 또한 긴장성 목반사와 바빈스키반사는 신경계의 미성숙에 의한 것으로서 지속될 경우 신경계의 이상으로 의심되며, 발달이 지연되는 이유가 된다(김재영, 2001). ※ 바빈스키반사 발바닥반사(plantar reflex)의 일종으로 무딘 물체로 발바닥을 자극했을 때 엄지발가락을 포함한 발의 앞쪽이 쫙 펼쳐졌다가 오므리는 반응을 말한다. 성인에게서 바빈스키 반사가 있는 경우 뇌 또는 척수의 이상을 의심해볼 수 .. 2022. 9.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