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지발달4

영아기 13개월~18개월 : 운동발달과 인지발달 ■ 운동발달 1) 주요한 운동발달(이동하기 : 걷기, 계단 오르기) 계단이나 경사는 안정된 걷기를 제약하는 요인이다. 완전한 균형감은 발달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린다. 걷기 시작한 지 6개월 후면 걷기가 부드러워지고 불안정한 아장이 걸음은 적어진다(J. E. Clark, Whitall, & Phillips, 1988). 이 즈음 영아는 도움을 받아 한 발로 서고 도움을 받아 계단을 오르내리는 능력을 보이기 시작한다. 이 기술은 평균적으로 16개월경에 나타난다(12~23개월)(Rosenblith & Sims-Knight, 1985). 영아들은 여전히 계단을 오르내릴 때 걷기보다 기는 행동을 보인다. 이 시기의 영아는 자신들이 걷는 표면의 유형에 맞게 행동을 적응시키기 시작한다. 예를 들면, 부드러운 표면.. 2022. 10. 6.
영아 7개월~12개월 : 인지발달 1) 주요한 인지발달 (1) 대상영속성 Piajet가 제안한 대상영속성은 감각운동기 동안 6단계에 걸쳐 발달하는데, 8~12개월에 영아는 대상개념에서 획기적인 발달을 하게 된다. 완전히 숨겨져서 시야에서 사라진 물체로 팔을 뻗거나 덮개를 제거한다. 이것은 대상영속성과 지각적으로 부재하는 사건들의 제한된 구성을 허용하는 중심과정이 지속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 후 영아들이 몇 가지 덮개들을 제거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오랫동안 원하는 물체를 찾는다는 사실은 이런 중심과정의 지속성이 증가했음을 의미한다. 더보기 Piajet의 감각운동기 1) 단순 반사 감각 운동기의 최하위 단계는 반사(reflex)단계이며, 대략 출생에서 약 1개월 정도에 해당된다.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의 핵심적인 주장은 인지 발달이 도식(s.. 2022. 10. 4.
유아기 발달(2) / 유아기 부모역할 ■ 인지 및 언어 영역 1) 인지발달 유아기는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중 전조작기로서 감각운동기와는 달리 상징과 심상을 사용하는 표상능력이 증가하나 이 시기의 사고는 잘 조직화되어 있지 않고 문제해결에 있어 논리적인 방식을 따르지 못한다. 즉, 전조작기는 자기중심성, 물활론, 중심화와 같은 비논리적인 사고가 특징이다. 자기중심성은 유아가 자신의 입장에서만 판단하고 타인의 생각이나 관점, 감정을 자신과 동일하다고 가정하는 것이다. 물활론은 무생물을 생명과 의식이 있는 존재라고 믿는 것이다. 또한 유아는 사물을 직관적으로 파악하는데, 사물의 여러 속성 중에 가장 현저한 지각적 속성으로 사물을 판단한다. 인과관계와 전체-부분의 관계 파악이 어려우며, 구체적으로 서열화, 유목개념, 보존개념에 관한 이해와 개념 습.. 2022. 10. 2.
영아기에 대한 이론적 관점 - 인지발달 ■ 인지발달 인지(cognition)란 인식활동과 정신과정을 지칭하며, 환경을 '인식하여' 적응해 가도록 도와준다. 인지과정은 주의를 기울이고 지각하며 학습하고 사고하며 기억하는 활동, 즉 관찰될 수 없는 사상 등을 포함한다(Flavell, Miller, & Miller, 1993). 인지에는 지식, 의식, 지능, 사고, 상상력, 창의력, 계획과 책략의 산출, 추리, 추론, 문제해결, 개념화, 분류 및 관계짓기, 상징화 등이 포함된다. 인지발달은 살아가는 과정에서 정신적 조작과 능력에서 일어나는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인지발달의 본격적인 연구들은 실험적 방법이 가능한 1970년대부터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Reese, 1993). 이에 따라 영아와 유아의 인지능력이 Piaget의 표준과제에 의해서 밝혀냈던.. 2022. 9.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