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자폐성 장애7

자폐범주성 장애아의 교육적 처치(사회성 기술의 지원) 3. 사회성 기술의 지원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사회성 기술을 증진하기 위한 지도방안은 다양하지만 여기에서는 상황 이야기(social story), 파워카드 전략(power card strategy), 상황-대안-결과-선택-전략-모의연습(situation, options, consequences, shoices, strategies, simulation: SOCCSS)만 살펴본다. ① 상황 이야기 상황 이야기란 특정 상황과 관련된 분명한 사회적 단서와 적절한 반응을 설명해 주는 개별화된 인지적 중재방법으로 자폐아동을 위해 개발한 것이다(Gray, 2000). 상황 이야기는 어디에서 왜 어떠한 상황이 발생하며 다른 사람은 어떻게 느끼며 반응하는지, 또는 무엇이 그들의 감정과 반응을 자극하는지를 설명하는 것은.. 2023. 4. 10.
자폐범주성 장애아의 교육적 처치 ■ 교육영역 자폐성 장애아동에 대한 교육은 조기에, 집중적으로, 계속적으로 그리고 구조화해야 한다. 단지 하루 몇 시간의 중재는 효과가 없으면 효과적으로 교육하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이른 시기에, 즉 영·유아일 때 시작하고 최소한 1주일에 5일(적어도 25시간) 이상은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시켜야 한다. 이들에게 일대일 교육이나 소집단 교수가 유용하지만, 가정이나 학교 등 다양하고 자연스런 환경에서 교육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의사소통에서의 결함은 자폐아들이 보이는 가장 큰 장애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육목표는 이러한 결함을 극복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들이 사회적·행동적 문제를 비롯한 폭넓은 범위의 발달장애를 갖고 있을지라도 자폐성 장애의 중심에 의사소통기술의 문제가 있다. 의사소통기술은 사.. 2023. 4. 9.
자폐범주성 장애의 판별과정 ■ 선별 자폐아동의 부모는 대부분 생후 1년 정도까지는 자신의 자녀가 정상적으로 의사소통을 했고 안아 주거나 얼러 주는 것을 좋아했다고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12~15개월 사이에 아동이 특정 소리나 접촉에 대해서 과잉반응을 보였고, 더 이상 간단한 어휘나 몸직을 이해하는 것 같지 않고, 위축이 되는 듯 했고. 반복적으로 이상한 행동을 하는 경우가 늘었다고 한다. 자폐의 증후가 생후 1년 이전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전체적 발달기준에서는 지체가 보이지 않는다. 즉 대부분의 경우 앉거나 기고 걷기 시작하는 행동에서는 지체를 보이지 않으나, 사회성이나 의사소통 영역에서는 비정상적 발달이나 지체를 보인다. 생후 1년 반 사이에 나타나는 자폐의 증후로는 몸짓이 부족하거나 보호자의 얼굴 .. 2023. 4. 8.
자폐범주성 장애아의 언어적, 인지 및 학업적, 행동적 특성 ■ 언어적 특성 1. 언어장애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의 대부분은 언어발달에 커다란 결함을 보인다. 이 결함은 이들이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을 하는 능력에 뚜렷하게 부정적 영향을 준다. 자폐아들은 말을 전혀 습득하지 못하는 경우에서부터 언어발달이 매우 지체되는 경우까지 다양한 양상의 문제를 보인다. 또 언어를 기능적으로 잘 사용하지 못하는데 말을 할 줄 아는 자폐아동의 약 80%가 반향언어증(echolalia)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반향언어증이란 다른 사람이 말한 단어나 문장을 의미 없이 반복하는 것이다. 자폐범주성 장애아동이 의미 없는 반향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 반향언어는 대화가 발생하는 사회적 상호작용의 맥락을 유지시킴으로써 언어습득과정을 도와주는 긍정적 기능을 하기도 한다. 즉 반향.. 2023. 4.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