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심리학적·사회적 기초 – 현상학과 인본주의

by ⍣Humpback whale⍣ 2024. 2. 20.
반응형

▶ 게슈탈트 이론

현상학적 아이디어는 초기의 장(fidle, 場)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다. 장이론은 ‘장’이라는 외부 환경과 그 환경에 대한 개인의 인식 및 의미와 관련하여 유기체를 총체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학습은 반드시 문제의 총체적 견지에서 설명되어야만 한다. 인간은 따로따로 떨어진 자극에 대하여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극의 조직체나 유형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이다. 장이론은 1930년대와 1940년대의 게슈탈트 심리학에서 도출되었다. ‘gestalt’는 모양, 형태, 형상을 의미한다. 어떤 문제에 대한 해결은 개별적인 자극과 전체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인식에 달려 있다. 개인이 이 관계를 어떻게 지각하는가에 따라 행동이 결정된다. 단지 지각만이 학습에서 중요한 요소는 아니다. 더 결정적인 요소는 장 관계를 구조화, 재구조화함으로써 유형의 진화과정을 아는 것이다. 학습자가 무엇을 지각하고 또 그것을 어떻게 지각하는가는 전적으로 학습자의 선행경험과 관련된다.

 

▶ 매슬로 : 자아실현인

매슬로(Maslow)는 인간의 욕구에 관한 고전적 이론을 제시하였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이 중요한 순서에 따라 위계적으로 제시된다.

① 생존의 욕구 : 음식, 물, 산소, 휴식 등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위험을 피하고자 하는 욕구

② 안전의 욕구 : 일상을 위해 필요한 것에 대한 욕구와 위험을 피하고자 하는 욕구

③ 애정 및 소속의 욕구 : 타인과 좋은 정서적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와 특정 집단 속에서 위치를 차지하고 싶은 욕구

④ 존중의 욕구 : 가치 있는 사람으로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

⑤ 욕구에 대한 지식과 이해의 욕구 : 낮은 지능의 소유자보다는 높은 지능의 소유자에게서 나타나는 욕구로 지적인 학습과 지적 관계조직에 대한 욕구

⑥ 자아실현의 욕구 : 최대한 훌륭한 사람이 되고 싶고 자신의 잠재 가능성을 최대한으로 실현하고자 하는 욕구

 

매슬로는 건강하고 성숙된 사람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① 현실에 관한 효율적인 지각

② 자기 자신과 타인에 대한 편안하고 안정된 마음

③ 죄의식, 수치심, 걱정으로 인하여 괴로움을 당하지 않는 것

④ 상대적으로 자발적이고 자연스러운 성향

⑤ 자기중심적이기보다는 문제중심적인 성향

 

▶ 로저스 : 비지시적 학습과 치료적 학습

가장 저명한 현상학자인 로저스(Carl Rogers)는 학습촉진을 위한 상담절차와 방법을 확립하였다. 그의 아이디어는 초기 장이론과 장-지(field-ground)이론의 아이디어에 근거를 두고 있다. 이러한 이론에서 실재는 개인이 지각한 것에 기초를 둔다. 로저스는 치료를 교육과정 연구자와 교사가 이용할 수 있는 하나의 학습방법으로 본다. 그는 긍정적인 인간관계가 인간의 성장을 위해 중요하다고 믿는다. 따라서 학습자 간 대인관계가 인지적 시험점수 못지않게 중요하다. 비지시적 교수에서 교사는 촉진자의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역할 속에서 교사는 학생들이 자신의 삶, 학업, 다른 삶과의 관계, 그리고 사회와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새로운 의미를 탐색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교육과정은 결과보다는 과정에, 교과보다는 개인적 욕구에, 시험점수보다는 심리적 의미에, 그리고 예정된 환경보다는 변화하는 환경적 상황에 관련된다. 학습은 어떤 제한이나 사전계획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 환경의 심리적·사회적 조건은 개인의 심리적 장이나 생활공간을 제한하기도 하고 향상시키기도 한다. 학습자에게 일어나는 모든 것은 개인적인 심리적 장에 의미를 부여하고 결국에는 학습에도 영향을 미친다.

 

▶ 현상학과 교육과정

현상학자는 개인을 그가 활동하는 분야와의 관련 속에서 바라본다. 이 점에서 현상학자들은 구성주의자와 많은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행동과 학습을 결정하는 것은 주로 심리적인 것으로 본다. 개인의 개별적 경험은 추리의 과정을 통해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따라서 그러한 경험의 추리는 과학적인 증거로 미루어 보면 매우 의심스러운 것이다. 그러나 현상학자에게 개인적인 생생한 경험은 학습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것이다. 단지 개인적 경험에 대한 정의와 평가과정은 정확하고 실제적인 것이라기보다는 주관적이다. 사람에 따라 현상학을 다른 의미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그것을 사람들이 쉽게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이유가 되지만, 동시에 비판을 받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 교육과정, 홍순정·김재춘 / KNOUPRESS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