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과정

교육철학이론 – 진보주의1

by ⍣Humpback whale⍣ 2024. 2. 5.
반응형

진보주의는 교육에 대한 항존주의적 사고방식에 대한 항거로서 실용주의 철학에서 발전하였다. 교육에서 진보주의 운동은 20세기 초 미국사회를 규정하는 정치·사회적 개혁운동의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진보주의 사상에 의하면 학습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도구는 문제해결 방법이며, 과학적 탐구방법이다. 게다가 학습경험에는 타인과의 협동과정과 자기훈련과정이 동시에 포함되어야 하며, 이 두 가지는 민주주의적 생활방식에서 중요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과 경험을 통하여 학교는 사회의 문화를 전수함으로써 학생들이 변화된 세계에 적응할 수 있도록 준비시킨다. 진보주의는 ‘무엇을’ 사고할 것인가가 아니라 ‘어떻게’ 사고할 것인가를 강조한다.

 

듀이(Dewey)를 비롯한 진보주의 사상가들에 의하면 교육과정은 성격상 간학문적인 것이어야 하며 책과 교과는 궁극적 지식의 원천이라기보다는 학습과정의 한 부분이 된다. 이때 교사의 역할은 진보주의적 사고 아래에서만 의미 있게 규정될 수 있다. 교사는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이나 과학 프로젝트 수행과정의 안내자이다. 듀이와 킬패트릭(Kilpatrik)은 모두 이러한 교사의 역할을 ‘그룹 활동의 리더’ 라고 부른다. 학생들이 연구주제를 정하고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여 평가한다. 그들 나름의 결론을 도출하는 전 과정에 교사는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진보주의 운동은 아동중심, 활동중심, 창의성, 신프로이트 학파 등 몇 가지 갈래로 나뉘는데 듀이는 이러한 갈래의 그룹이 자신의 사상을 잘못 해석하고 적용하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진보주의 교육운동이 다양한 이론과 실제를 포함하고 있지만 그것은 다음과 같은 전통적 학교교육의 실제에 반대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진보주의 교육운동이 반대하는 것은 권위적인 교사, 과도한 교과서중심의 교수방법, 사실적 자료의 암기와 기술훈련, 세계의 변화성을 무시한 정적인 교육목적과 교재, 훈육의 방법으로 엄포와 체벌의 사용, 개인적 경험과 사회적 실제와 유리된 교육 등이다. 그러나 진보주의 교육운동은 학교교육의 목표와 관련된 통일된 이론을 마련하지 못하고, 구체적인 교수원리들을 확립하지 못함으로써 결국에는 퇴조하였다. 전통적 교육과정의 틀에 박힌 형태에 반대하여 진보주의는 활동중심, 경험중심, 문제해결중심, 프로젝트 방법 등 대안적인 교육과정 조직형태를 도입하였다. 또한 진보주의 교육은 그 초점을 교과가 아닌 아동에 두었으며, 언어적·문화적 기능보다는 활동과 체험을 강조하였으며, 학습과정에서 개인 간의 경쟁보다는 협동적인 그룹 활동을 권장하였다. 현재의 진보주의는 교육과정의 적합성, 인간주의적 교육, 급진적 학교교육 개혁 등의 다양한 운동 속에 그 흔적을 남기고 있다. 여기서 듀이와 진보적인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1) 듀이와 진보주의 교육과정

진보주의자의 신념 중 하나는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는 과제는 그렇지 못한 과제보다 훨씬 잘 배운다는 것이다. 듀이는 이러한 가정에 착안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할 때 학생의 흥미를 최대한 이용하여야 하며 이렇게 될 때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된다고 믿고 있다. 이런 관점에서 학교는 학생들에게 상당한 정도로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하며 선택의 기회가 주어지면 학생들은 그들에게 유리하도록 선택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이 강조되며 많은 진보주의자들은 귀납적인 접근이 이러한 목적에 아주 적합하다고 느끼고 있다. 왜냐하면 귀납적인 교수는 학습자에게 일반적인 설명을 제공하지 않는 대신에 그들 자신의 설명을 개발하도록 요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는 변화하는 환경에서 학생들이 직면하는 문제에 감각을 갖도록 조언하거나 인도하는 역할이 요구된다(신동로, 2009).

 

2) 듀이의 문제해결학습

듀이가 제시하는 문제해결법(Problem Solving Method)은 학습자에게 주어진 문제를 학습자가 소유한 사고활동을 통해 분석·파악·종합하여 최상의 해결안을 찾아가도록 하는 교수-학습 방식이다. 학습자가 여러 일상생활의 상황에서 학생 개개인이 당면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스스로 해결해 가는 과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사회에서 능동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것이다.

 

문제해결학습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① 제1단계 : 문제 인식의 단계

② 제2단계 : 자료수집의 단계

③ 제3단계 : 가설 설정의 단계

④ 제4단계 : 실행 검증의 단계

⑤ 제5단계 : 일반화의 단계

 

3) 교육과정의 적합성

1960년대 학생들은 학생운동의 영향으로 자신의 교육에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지니고 교과중심 교육과정이 사회적 상황에 부적합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보다 진보적이며 학생중심의 교육과정을 요구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적합성에 대한 요구는 사실상 학생과 교사 양쪽에서 나온 것이다. 이러한 입장의 지지자들은 ① 독립적 연구와 특별 프로젝트 등과 같은 교수방법을 통한 개별 교수, ② 성교육, 인종 문제, 지역차별 등 학생들의 관심에 맞는 교육과정 수정 및 신설, ③ 선택교육과정, 단기교육과정, 개방형 교실 등 교육적 대안 마련, ④ 교육과정의 영역을 학교 밖으로 확대하여 직업교육 프로그램, 생활경험에 대한 학점 인정, 교외활동 교육과정, 특별학위 프로그램 등의 방안 마련, ⑤ 학업 성취기준과 입학기준의 완화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교육과정, 홍순정·김재춘 / KNOUPRESS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