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과정

현대 교육사조와 교육과정

by ⍣Humpback whale⍣ 2024. 2. 2.
반응형

교육과정이란 용어가 유아교육에서부터 고등교육까지 포괄적으로 쓰이는 용어이지만, 특히 유아교육에서는 다음 같은 여러 가지 관점에서 다르게 쓰인다.

 

첫째, 가장 분명한 발달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지만,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의 결정은 좀 더 유아 개인의 발달단계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NAEYC에서 제안한 ‘발달에 적합한 실제’란 일정하게 합의된 지식을 모든 유아에게 일관되게 제시하기보다는 유아의 발달수준과 흥미에 따라 다양하게 교육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유아교육자들은 교육목적에서도 다양한 개념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어떤 유아교육자는 특별한 학습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에, 또 어떤 학자는 유아의 발달을 도와주는 것과 같은 포괄적인 면에 관심을 갖는다.

 

셋째, 유아교육의 교수방법과 교재·교구 또한 초·중등 영역의 교육과는 큰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즉, 다른 단계의 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교재는 교과서인 반면 유아교육에 있어서는 다양한 교재·교구와의 상호작용과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유아-유아 간의 상호작용과 같이 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한 교육내용이 된다.

 

스포덱(Spodek)은 유아교육과정을 프로그램의 교육목적에 따라 계획되고 조직된 학습경험들의 목록이라고 하였다. NAEYC(1991)에서는 3세에서 8세까지 유아를 위한 바람직한 교육과정 내용과 평가를 위한 지침에서 유아교육과정을 정의하기를 ‘유아가 학습할 내용(content), 교육과정 목표를 성취해 나가는 과정(processes), 유아의 이러한 목표성취를 돕기 위한 교사의 역할, 교수와 학습이 발생하는 상황에 관해 서술한 조직화된 틀(framework)’이라고 정의하였다. 알미(M. Almy, 1975)는 유아교육에서는 교육과정이 프로그램이란 용어로 자주 대치되어 사용되며, 프로그램이란 학교 안에서 일어날 수 있는 모든 계획적인 경험뿐만 아니라 그것을 넘어서서 흔히 가정과 지역사회에까지 연장될 수 있는 교육적 경험이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정의는 아직 충분하게 이론화가 이루어진 것은 아니며, 유아교육의 대상이 지니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초·중등 일반 교육과정의 의미와는 차이가 있다고 본다. 그는 유아교육에서 교육과정이란 ‘전인아동’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대부분의 유아교육자들은 이러한 ‘전인아동’이라는 말이 유아의 지적(인지적)·정서적·사회적·신체적 능력의 통합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본다. 따라서 각각이 분리된 것이 아니라 한 영역에 있어서의 학습은 반드시 다른 영역들을 함께 포함해야 하며 효과적인 교수방법도 그들 각 영역 간의 내적 통합 속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 외에도 유아교육과정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일어나는 모든 우연한 사건(what happens)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그것은 교사가 유아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고 계획된 목적들을 성취하는 방식이라고 하였다(C. F. Eliason & L. T. Jenkins, 1986). 이와 같이 유아교육과정의 개념은 광범위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슈바르츠와 로비슨(S. L. Schwartz & H. F. Robison, 1982)은 『유아를 위한 교육과정 설계(Designing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라는 저서에서 다양한 유아교육과정의 개념을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하고 있다. 즉, 우연히 일어난 것, 유아가 학교에서 갖게 되는 모든 경험, 교수계획, 교수요목, 프로그램이다.

 

▶ 우연히 일어난 것으로서의 교육과정

이 입장은 교사가 미리 교육내용을 선별하거나 계획하기보다는 유아들에게 많은 선택을 주어서 개별 유아의 요구와 흥미를 중심으로 하는 유아교육과정을 말한다. 교사는 유아가 스스로 학습할 수 있으며 선택한 것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학습해 나갈 수 있다고 믿는다. 따라서 유아의 흥미와 요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사는 교육환경을 체계적으로 마련해 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교육과정을 우연히 일어난 사건으로 여길 때는 학습의 구체적인 내용보다는 학습하는 과정에 그 가치를 둔다. 유아를 중심으로 하는 개별화된 교육이라는 장점은 있으나, 교육과정의 범위가 너무 모호하며 유능한 교사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도 있다.

 

▶ 유아가 학교에서 갖게 되는 모든 경험으로서의 교육과정

이 입장은 유아가 학교에서 갖게 되는 모든 경험을 교육과정으로 보는 입장으로 교사의 의도적인 경험뿐 아니라 의도하지 않았지만 유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된 교육과정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의도된 경험뿐 아니라 계획되지 않은 많은 요인이 유아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교사의 민감성이 요구된다. 예컨대 교실의 분위기, 교사와 유아, 유아와 유아, 유아와 교구와의 상호작용, 언어적인 의사소통 등과 같은 모든 물적·인적 환경이 중요시된다. 교사는 학습이 일어나는 상황에 좀 더 세심하게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 변화에 민감해야 하고 학습결과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많은 예측할 수 없는 요인들에 대해 좀 더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한다.

 

▶ 교수를 위한 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

교수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 입장은 오래 전부터 교육과정의 개념으로 이해되어 있는 보편적인 정의라고 할 수 있다. 의도된 계획으로서의 교육과정은 매우 구체적일 수도 있다. 최근의 많은 유아교육 프로그램 속에서 이와 같은 교육과정 계획들의 예를 찾아볼 수 있다.

 

유아들을 위한 교육 목표·내용·방법 등의 계획을 중심으로 하여, 그 형태는 매일 매일의 교육내용르 진술하고 있는 것에서부터 주제나 내용 영역에 따라 일련의 활동들을 진술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교육과정 계획은 교사와 유아들의 활동을 묘사하는 활동에 대한 계획, 유아들의 장기적 발달형태(예를 들면 불류형태)를 강조하는 과정에 대한 계획 및 이들 세 가지를 망라한 종합적 계획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교사의 짜여진 교수계획은 유아의 매일매일의 요구, 흥미에 대한 융통성 있는 교육을 위축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비판받고 있다.

 

▶ 교수요목으로서의 교육과정

이 입장은 유아들에게 가르침 교육목표와 내용, 순서를 일련의 문서로 작성한 교수요목을 교육과정으로 규정한 매우 좁은 의미의 교육과정 정의이다. 이와 같이 문서화된 교육과정은 국가적으로 믿을 만한 공식적인 문서의 성격을 가지므로 목표설정이나 수행과정을 관찰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교사들이 실제로 교수계획안을 짜는 데 참여한다면, 유아들의 학습욕구에 대한 생각을 재검토하고 교실 내의 적용을 평가해 보는 데 도움을 주는 자료가 될 수 있으며 교사들로 하여금 자신의 생각을 명료하게 하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교수요목으로서의 교육과정이 국가수준에서 중앙집권적으로 획일화된 문서로서 제시된다면 유아교육의 특징을 살리기는 힘들 것이다. 왜냐하면 유아교육기관과 지역사회의 특성, 유아들의 흥미와 요구,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경험들이 반영되기 힘들기 때문이다.

 

▶ 프로그램으로서의 교육과정

이 입장은 유아교육에서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관점으로서 몬테소리 프로그램, 디스타(distar) 프로그램과 같이 특별한 이름을 가진 유아교육의 모델 유형을 말한다. 특히 1960년 이후 헤드 스타트(head start) 운동의 일환으로 개발된 다양한 보상 프로그램 모델들과 팔로 스루(Follow Thorough) 프로그램 모델들은 유아교육과정을 유아교육 프로그램으로 부르게 되는 경향을 가져왔다. 유아교육에서 교육과정이라고 하면 흔히 특정 프로그램을 의미하고 있다. 예를 들면 몬테소리 프로그램, 피아제 이론에 기초한 프로그램, 발달적 상호작용 프로그램 등 1960년 이후 연구된 교육과정 모델 프로그램을 말한다. 과거 10년 이상 유아교육에 관한 전문서적들을 찾아보면 이러한 프로그램 모형들에 대한 내용들이 상세하게 소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장기 종단적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것은 물론 특정 유아교육 이론이나 연구들, 아동발달에 관한 심리학적 이론들에 따라 다양하게 발달되고 연구되어 현장에 적용되고 있어서 위에서 살펴본 교육과정 개념 중 어느 한 가지 형태를 각각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유아교육과정 모형의 개발은 중등교육과 유아교육을 구별하는 큰 차이점이 될 수 있으며 유아교육과정의 개념을 프로그램으로 동일시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유아교육에서는 유아교육과정이란 용어가 흔히 유아교육 프로그램으로 동일시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유아교육에서는 유아교육과정이라는 용어가 흔히 유아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용어로 대치되어 쓰이기도 한다. 또한 유아교육 프로그램이라고 할 때는 어떤 특정 이론에 의해 조직된 교육과정 모델로서 일반적인 교육과정의 개념보다는 구체화되고 실제 현장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을 상세하게 기술한 협의의 개념으로 이해된다.

 

< 교육과정, 홍순정·김재춘 / KNOUPRESS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