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은물
① 은물의 의미
은물은 유아의 창조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유아의 본성에 따라 자유롭게 자기활동적으로 다룰 수 있다. 은물을 가지고 놀면서 유아의 활동은 연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으며 또한 인식능력과 의지도 훈련할 수 있다.
② 은물의 구성체계
은물은 형체, 면, 선, 점의 네 가지 영역과 재구조라는 종합 영역으로 되어 있다. 형체를 나타내는 것은 제1에서 제6은물까지이고, 면은 제7은물, 선은 제8은물, 점은 제9은물, 재구조는 제10은물이다. 은물의 구성 체계는 3차원(형체), 2차원(면), 1차원(선), 이념 세계의 순서로 되어 있으며, 이념의 세계인 점은 통일점에 해당한다. 은물은 감각에 의해 세계를 관찰하는 정신구조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또한 단순한 것에서부터 복잡한 것으로, 구체적인 것에서부터 추상적인 것으로, 가벼운 것에서부터 무거운 것으로, 그리고 잘 알려진 것에서부터 덜 알려진 것으로 순서를 구성된다. 은물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가. 제1은물 : 털실로 된 직경 6cm의 작은 공 모양으로 빨강, 노랑, 파랑, 오렌지, 초록, 보라(3차원색과 3보색)의 6가지 색으로 되어 있다. 6가지 공이 의미하는 것은 자연물 형상의 기본 조건인 면, 선, 점을 포함하며, 구형에서 모든 형태가 만들어지고 모든 형태는 구형으로 돌아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형을 통해 유아의 요구와 사물에서 모든 것을 직관하는 유아의 충동을 만족시킬 수 있으며 유아의 정신성을 잘 표현한다. 제1은물은 색(色)을 알려주고 색의 일반적인 범주를 발전시킬 수 있으며, 자기와 대상의 근원적 양극성을 이해하개 하고 합일과 분리를 통해 생명의 경험을 갖게 한다. 제1은물로 할 수 있는 교육활동으로 공을 끈에 매어 흔들기, 2개의 공으로 나비를 만들고 나머지 공으로 꽃을 만드는 꽃과 나비 만들기와 같은 활동 등이 있다.
나. 제2은물 : 나무로 된 공, 원통, 정육면체의 모양으로 직경 6cm 공, 높이 6cm 원통, 한 변 길이가 6cm인 정육면체 2개, 기둥 2개, 들보 1개, 고리 3개, 가는 막대 1개로 구성되어 있다. 제2은물은 형태(形態)를 알려 주고 공간적 형태와 다양성, 공, 정육면체, 원통의 삼위일체로 건축의 삼위일체를 이해하게 한다. 받침(적육면체), 기둥줄기(원통), 기둥머리(공)를 갖추어 이를 통해 통일성을 이해할 수 있다. 원통은 측면은 곡면이며 운동을 나타내고, 평면은 정지를 나타낸다. 제2은물을 통해 할 수 있는 교육활동으로는 구, 정육면체, 원기둥을 실에 매달아 돌리고 변화 모습을 관찰하는 회전놀이, 로봇 만들기 등이 있다.
다. 제3은물 : 나무로 된 정육면체이며 한 변의 길이가 3cm인 정육면체이며 한 변의 길이가 3cm인 정육면체 8개로 구성되어 있다. 제2은물은 수(數)를 나타내며 물체의 겉면과 내부를 알게 한다. 또한 수학적 법칙성과 아름다움을 보여 주고, 생활의 형식에서 미의 형식, 그리고 인식 형식에 이르게 한다. 미(美)의 형식으로는 별무늬, 바아석무늬, 풍차무늬 등을 통해 숨어 있는 의미를 감지할 수 있고, 인식 형식으로는 단순한 수학적 연관을 통해 완전한 명확성을 깨닫게 한다. 제3은물로는 정육면체 형태로 책상에 두고 부분과 전체를 직관하게 하거나 대칭놀이 등이 있다.
라. 제4은물 : 나무로 된 3cn x 6cm x 1.5cm인 직육면체 8개로 구성되어 있다. 제4은물은 넓이를 나타내며 제3은물의 도식을 반복한다. 제4은물로는 생활 형식, 미의 형식, 인식 형식에 따라 조립하는 것과 건축놀이 등을 할 수 있다.
마. 제5은물 : 나무로 된 정육면체와 삼각기둥으로 3 x 3 x 3(cm)의 정육면체 21개, 정육면체를 대각선으로 한 번 자른 삼각기둥 6개, 그리고 정육면체를 대각선으로 두 번 자른 삼각기둥 12개로 구성되어 있다. 제5은물은 균형(均衡)을 나타내며 홀수 3을 기초로 한다. 그리고 직각, 예각을 알게 하고 정사각형, 직사각형, 삼각형을 경험하게 한다. 제5은물로 할 수 있는 교육활동으로는 건축놀이 등이 있다.
바. 제6은물 : 나무로 된 직육면체(3x6x1.5cm) 18개, 직육면체 6개를 짧게 한 번 자른 받침 12개(3x3x1.5cm), 그리고 직육면체 3개를 길게 한 번 자른 기둥 6개(6x1.5x1.5cm)로 구성되어 있다. 제6은물은 비례(比例)를 나타낸다. 교육활동으로는 도미노 놀이 등이 있다.
사. 제7은물 : 나무로 되어 있는 정사각형, 직각이등변삼각형, 정삼각형, 직각부등변삼각형, 둔각이등변삼각형, 원, 반원으로 8가지 색을 지닌 7종류의 도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8가지 색은 빨간색, 노란색, 파란색, 주황색, 초록색, 보라색, 검정색, 흰색이다. 오늘날은 플라스틱으로 된 것도 있다. 제7은물은 형체를 면으로 발달시킨 것으로 면(面)을 나타낸다. 제7은물을 통한 교육활동의 예로는 모양 만들기, 무늬놀이 등이 있다.
아. 제8은물 : 나무(오늘날은 금속)로 된 막대 모양으로 5가지 서로 다른 길이의 막대로 구성되어 있다. 1번 막대는 3cm, 2번 막대는 6cm, 3번 막대는 9cm, 4번 막대는 12cm, 5번 막대는 15cm이다. 제8은물은 선(線)을 나타내며 서로 다른 길이를 경험하고, 직선을 경험하고 긴 것과 짧은 것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 교육활동의 예로는 모양놀이, 산가지놀이 등이 있다.
자. 제9은물 : 완두콩, 돌조각, 조개껍데기, 두꺼운 종이 등으로 된 작은 조각으로 지름 10, 높이 5mm인 원기둥 모양이다. 제9은물은 점(點)을 나타낸다. 교육활동으로는 선놀이, 면놀이 등을 할 수 있다.
차. 제10은물 : 제10은물은 부드러운 완두콩, 초로 만든 작은 구형, 보릿대, 가는 죽대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구조를 표현하고 종합을 의미하는 은물이며, 교육활동으로는 종합하여 면이나 선을 만들 수 있다.
③ 작업
작업활동은 구멍 뚫기, 바느질하기, 그리기, 색칠하기, 오리고 찢어 붙이기, 종이접기, 찰흙놀이 등의 11종으로 되어 있다. 작업으로 유아의 내면세계를 표현할 수 있고 조립이나 분해 할동을 통해 만물의 법칙에 대한 지식 배양을 목적으로 한다. 작업을 통해 유아는 점, 선, 면, 형체를 이해할 수 있다.
✔ 점을 표현하는 것은 제1작업인 구멍 뚫기(perforating)이다.
✔ 선을 표현하는 것은 제2작업인 바느질하기(sewing-out), 제3작업인 그리기(drawing)이다.
✔ 면을 표현하는 것은 제4작업인 색칠하기(coloring and painting), 제5작업인 종이말아 잇기(paper-interiacing), 제6작업인 매트 짜기(mat-weaving), 제7작업인 종이접기(paper-folding), 제8작업인 오리기, 찢어 붙이기, 음영그림 만들기(paper cutting and mounting, free cutting, silhouetting)이다.
✔ 형체를 표현하는 것은 제9작업인 콩으로 만들기(pea-working), 제10작업인 상자 만들기(cardboard-modeling), 제11작업이 찰흙놀이(modeling in clay)이다.
④ 노래와 게임
프뢰벨은 유아가 놀잇감을 가지고 돌아다니면서 자신의 힘을 발달시킬 수 있는 연령층보다 더 앞선 중요한 삶의 시기가 있음을 깨달았다. 그 시기는 가정에서 지내는 시기이다. 가정에서 지내는 유아는 놀잇감보다 자신의 팔이난 다리로 놀이를 하면서 다양한 실험을 하고 이를 통해 발견을 하고 기쁨을 느낀다. 이 시기를 간과하는 것은 유아의 정신 계발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프뢰벨은 가정에서 어머니의 역할이 아주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특히 가정에서 어머니가 자녀에게 사랑을 베풀고 노래와 게임을 함으로써 유아의 삶이 더욱 조화롭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뢰벨은 가정에서 어머니의 교육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부모 교육서인 《어머니의 노래와 사랑의 노래》를 제작하였다. 가정에서 어머니가 자녀에게 들려주는 노래와 더불어 어머니와 자녀가 함께 하는 게임이나 동작활동은 유아의 활동이나 교양 충동을 더욱 잘 계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는 것이 유치원의 역할이라고도 하였다.
⑤ 정원활동
정원활동은 노작활동의 일부이다. 노작은 인간의 신성을 표현하는 창조적이자 자발적인 활동이므로 유아들을 위한 교육에서 중요한 활동이다. 이러한 노작은 인간의 생산적인 활동이자 정신적인 활동인데 정원활동은 이를 실천하는 것이기도 하다.
프뢰벨은 정원활동을 통해 자연을 연구하고 식물의 생육에 필수적인 원리를 학습할 수 있다고 보았다. 유아는 정원을 가꾸면서 ‘볼 수 없는 힘’이 작용한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고, 꽃봉오리에 들어 있는 발전의 전체성을 보면서 꽃이 수목에 붙어 있는 전체와 부분과의 관계도 학습할 수 있는 좋은 활동이며, 생명을 돌보는 활동을 통해서 책임감을 가질 수 있다. 이상적인 정원은 유아를 위해 꾸며 놓은 작은 터와 꽃과 야채를 재배할 수 있도록 배려된 공간이 있는 곳이다.
■ 현대교육에의 의미
프뢰벨의 교육사상과 원리는 오늘날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유아의 자발적 활동을 존중하고 흥미를 소중히 여기며, 놀이의 교육적인 가치를 중시하고 유아에게 강요하거나 억압하지 않고 내면에 있는 잠재능력이 자유롭고 자연스럽게 발휘될 수 있게 하여 조화로운 인간으로 발달해 가는 것은 오늘날에도 볼 수 있다.
프뢰벨이 오늘날의 유아교육에 미친 영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을 유아가 자연과의 합일을 이루어 나가는 하나의 과정으로 보았다.
둘째, 유아들을 위한 교육기관인 유치원을 창설하여 오늘날 유아교육의 기틀을 마련했다.
셋째, 놀이와 흥미, 활동 등은 유아교육의 중요한 교육과정임을 제시하였다.
넷째, 교사교육을 중요하게 취급하였다.
다섯째, 유아교육에서의 부모 역할을 강조하였다.
프뢰벨의 교육사상은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에 감명받아 펼쳐진 부분이 많았다. 이로 인해 페스탈로치와 프뢰벨의 교육사상은 유사점이 있다. 즉, 페스탈로치와 프뢰벨은 자연을 실제적이고 일정한 법칙성 안에서 발전하는 현실적인 존재로 규정했고, 자연은 종교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자연에 대한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탐구와 관찰을 통하여 인간의 법칙성을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서로 유사점을 가진다.
그러나 페스탈로치와 프뢰벨은 서로 다른 점도 있다. 예를 들어 페스탈로치는 더 현실적이고 계몽주의 사상을 강조했지만, 프뢰벨은 페스탈로치의 현실적인 면을 비판하고 형이상학적인 교육사상을 강조하였다. 또한 페스탈로치는 인간은 자연의 상태에서 자신을 구현할 수 없다고 했으나, 프뢰벨은 인간은 자연 속에서 신을 발견하고 자신 안에 깃들어 있는 신성(神性)을 표현하고 구현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페스탈로치는 자연이란 참된 종교에 이르는 하나의 과정에 불과하다고 하였으나, 프뢰벨은 자연과 종교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바탕으로 자연이 종교를 나타낸다는 관점을 보였다.
< 유아교육철학 및 교육사, 김희태·정석환, KNOUPRESS >
'유아교육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의 유아교육 – 슈타이너의 인지학과 인간론 (0) | 2023.06.13 |
---|---|
근대의 유아교육 – 슈타이너의 생애 및 인지학과 인간론 (0) | 2023.06.12 |
낭만주의와 유아교육 – 프뢰벨의 유아교육방법과 프뢰벨 유치원의 교육과정 (4) | 2023.06.10 |
낭만주의와 유아교육 – 프뢰벨의 유아교육사상과 원리 (1) | 2023.06.09 |
낭만주의와 유아교육 – 낭만주의의 이해와 프뢰벨의 생애 (0) | 2023.06.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