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아교육철학

신인문주의 시대의 유아교육-오언의 생애와 교육사상

by ⍣Humpback whale⍣ 2023. 6. 6.
반응형

1. 생애

로버트 오언(Robert Owen, 1771~1858)은 1771년 5월 14일, 영국 웨일스(Wales)몽고메리셔(Montgomeryshire)의 뉴타운에서 태어났다. 가정은 대체로 유복하여 오언이 5세 때 사립학교에서 쓰기와 읽기를 배웠다. 오언은 7세 때 마을에서 가르치던 선생님에게서 모든 것을 다 배웠을 정도로 영리했으며 개념을 빨리 이해했고 춤을 잘 춰서 인기가 있었다(Morton, 1962).

 

오언은 작은 농촌에서 지내기보다 선진 문물을 배우고자 부모에게 런던으로 보내달라고 요청했지만 부모는 반대하였다(Donnachie, 2000). 그러나 런던에서 일하고 있던 오언의 형인 윌리엄이 새로운 것을 접할 수 있도록 희망을 주었다. 1781년 뉴타운을 떠나 런던으로 갔다가 링컨셔(Lincolnshire)의 스탬퍼드(Stamford)로 가서 포목상의 도제공이 된 그는 하루에 5시간 정도 일을 하면서 학교에 다녀 읽기와 춤을 배웄다. 1784년 오언은 스템퍼드를 떠나 런던 포목상 회사의 보조원이 되었고 15세에 맨체스터(Manchester)로 갔다. 18세쯤에 오언은 도제제도를 수료하고 여러 직종에서 일을 하여 면화 공장의 동업자로 투자할 정도로 돈을 모았다(Gutek, 2001).

 

그는 22세 때 수세식 화장실 발명가인 토마스 퍼시발이 만든 ‘맨체스터 문학 및 철학 사회(Manchester Literary and Philosophical Society)’에 참여하였다. 매주 한 번 토론하면서 과학과 경영기법, 합리적인 교육체제를 통한 인간발달에 흥미를 느꼈다(Lascarides & Hiniz, 2000). 1794년, 동료들과 ‘찰스 트위스트 회사’를 설립하였고 스코틀랜드의 뉴라나크(New Lanark)에 공장을 가지고 있던 데이비드 데일의 딸인 캐롤린과 결혼했다. 이후 오언은 장인이 운영하던 공장을 사들여 1799년에 공장 사장이 되었다(Cole, 1969).

 

1815년에 오언은 자기의 교육개념을 전개하고자 성격형성학교를 세웠고 유아학교(infant school)를 운영했다. 유아학교는 논란거리였지만 유아들이 보호받고 공부할 수 있었으며 영국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Osborn, 1991). 1820suseo 초기에 오언은 미국의 인디애나(Indiana) 주(洲) 뉴하모니(New Harmony)에서 협동 공동체를 설립하여 유아학교와 어린이집을 세웠다. 이곳의 유아학교는 18개월 정도의 유아들에게 교육과 보호를 제공하였으며, 오언은 유아들이 읽고 쓸 수 있을 때까지 공장에서 일하는 것을 금했다. 유아들에 대한 교육과 사회발전에 경력을 쏟은 오언은 1858년에 생을 마감했다.

 

2. 교육사상

1) 교육사상의 배경

오언은 사회의 계층구조가 가진 불합리한 점을 교육을 통해서 바꾸려고 하였다. 오언에 의하면 가난과 죄악은 인간 성격의 천성적 부패 정신에 의해 야기되는 것이 아니라 그가 살고 있는 환경에 의해 형성된다. 인간은 좋은 조건과 환경에서 자신의 기본 성격을 형성할 수 있으나 노동자들이 더 좋은 조건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것은 노동자들이 교육받을 수 없는 사회 풍토에 기인한다고 생각했다. 노동자 계층은 열악한 환경에 있고 이들의 자녀들은 적절한 보호와 교육을 받을 수 없어 사회적 문제를 낳는다(Browning, 1971).

 

그는 경쟁보다 협동에 근거하는 사회질서를 이상적인 공동체 사회로 생각하였다. 공동체를 통한 생활과 비폭력적 사회변화를 추구하였고 아동과 가정의 생활을 풍부하게 할 수 있는 것은 교육이라고 보았다. 당시 부자들은 좋은 공립학교를 선택하였고 대학에 보낼 수 있었으며, 중산층 자녀들은 문법학교를 다녔고 개인교사의 교습이 가능했다. 그러나 노동자 계층의 자녀들은 기본적인 학습의 선택이나 기회가 제한되었다. 노동자 계층의 자녀들을 위한 교구학교(parish-school) 체제가 있어서 교육을 받을 수는 있었지만 이는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했다. 초급학교(dame school)는 읽기와 교리문답, 성경 등을 가르치려 하였지만 비웃음과 조롱거리였다.

 

노동자 계층을 위한 학교가 부족했던 주된 이유는 중·상류층의 감정 때문이었다. 중·상류층은 노동자들이 교육을 받으면 사회의 리더와 고용주로서 자신들의 지위가 위협받는다고 생각했다(Browning, 1971). 이런 분위기에서 오언은 인간의 성격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라 환경의 영향으로 바뀐다고 생각하고 교육을 통해 성격의 기본을 형성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설립한 성격형성학교는 유아를 보호하고 더욱 좋은 삶으로 나아가게 하는 통로였다. 오언은 기본 성격과 습관을 좋게 형성하여 가난과 불안한 삶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하기 위해 교육을 사용했다.

 

2) 교육사상

오언의 교육관은 루소나 페스탈로치에 근거한다(Owen, 1824: 1971). 그는 ‘하느님이 만물을 선하게 만들었지만 인간이 이들을 혼탁하게 하고 죄악으로 빠지게 한다(Browning, 1971 : 58)’sms 루소의 주장을 믿었다. 그러나 한편으로 로크의 백지설을 수용하여 주변의 모든 악한 영향이 제거되면 유아는 도덕적이고 이성적인 성인으로 성장한다고 생각하였다.

 

교육은 도덕을 갱생하는 수단이며 개인주의자보다 집합주의자를 계발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사회의 선과 악, 불행과 행복의 주된 원천은 교육이다. 인간의 차이는 인간이 직접적으로 통제하는 환경조건들의 차이에 기인하며, 교육은 이러한 환경 조건을 조성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오언의 교육사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의 좋은 성격형성을 위해 어린 시절부터 교육해야 한다. 이를 위해 천성과 양육의 융합을 통해 인간을 변화시켜야 한다. 따라서 교육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사회는 점진적으로 변화한다.

 

둘째, 환경의 영향을 강조하였다. 주변 환경과 독창적이고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의 성격은 형성되며, 잘 통제된 사회환경은 효율적으로 인간의 인성을 완전하게 한다(Gutek, 2001). 오언은 올바르고 직접적인 교육이야말로 좋은 성격을 형성시킨다고 믿었다.

 

셋째, 교육은 자연의 보상과 벌을 통해 즐겁게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은 엄격하고 딱딱하기보다 즐거워야 하며, 자연으로부터의 보상과 벌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Owen, 1824: 1971). 자연의 보상과 벌을 실천하기 위해 교사가 유아들을 플루트 선율에 맞추어 교실 주위를 행진하여 마을을 지나 강둑까지 데려가서 논 뒤 데리고 돌아왔다(Lascarides & Hinitz, 2000).

 

넷째, 부모의 영향을 강조하였다. 계몽되지 못한 부모의 습성이나 태도는 유아에게 스며들어 균형 잡힌 성인으로 성장하지 못하게 하므로 이에서 벗어나도록 가르쳐야 한다.

 

< 유아교육철학 및 교육사, 김희태·정석환, KNOUPRESS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