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아동작교육의 리듬적 동작교수법6 Monsour, Cohen, Lindel의 음률 중심 동작교수법 Brown의 리듬 중심 동작교수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Monsour, Cohen과 Lindel(1966)은 동작교육 중에서 음률적 동작을 강조하면서 창의적인 음률교육방법을 4단계로 제시하였다. 1. 제1단계: 즉흥적인 반응을 유도한다. 1) 동요를 읽어 주고 그 동요에 맞추어 움직이게 한다. 또는 노래를 들려주고 그 리듬이나 노랫말에 따라 몸을 움직이게 한다. 2) 모양이나 크기가 반대되는 것을 보여 주고 유아에게 그 사물의 형태를 몸의 움직임으로 묘사하게 한다. 디자인이나 그림을 보고도 해 보게 한다. 3) 음악을 들려주고(느낌이나 질이 다른 음악) 유아에게 즉흥적으로 움직여 보게 한다. 4) 일정한 박자로 북을 치고 연주할 때 그 박자에 맞추어 손뼉으로 리듬형태를 바꾸어 보게 한다. 5) 문장이나 이야.. 2022. 12. 27. Brown의 리듬 중심 동작교수법 Brown(1986)은 많은 체육교육 또는 동작교육 프로그램들이 Laban의 기본원리를 중심으로 하는 신체적 접근법에 의한 동작교육에 치중되어 있음을 지적하고, 체육교육 프로그램을 위하여 인간동작에서 중요한 요소인 리듬과 무용의 경험을 포함할 것을 강조하였다. Brown(1986)은 리듬 중에서도 특히 창의적 리듬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연구하였는데, 소리와 인간의 동작에 영향을 주는 리듬의 요소를 일곱 가지로 규명하고 그 리듬의 요소들을 동작교육의 내용에 포함할 것을 제안하였다. 박절(beat), 악센트(accent), 마디(measure), 속도(tempo), 지속기(duration), 리듬의 유형(pattern), 악구(phrase) 등의 리듬적 요소는 동작의 형태를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2022. 12. 26. Weikart 리듬적 동작교수법의 교수방법 1. 4단계 언어과정 일반적으로 동작을 지도할 때 교사들이 실수하기 쉬운 것은 동작에 치중한 나머지 동작의 순서나 단계에서 음악의 내재화 과정을 무시한다는 것이다. 이러한점을 개선하기 위하며 Weikart는 신체동작(시간-공간-역동성-균형을 가진 동작)과 찬트를 이용하여(4단계 언어과정) 박의 내재화를 단계적으로 지도함으로써 리듬능력의 향상을 꾀하였다. 4단계 언어과정은 청각적 경험, 공동 박 찬트에 맞추어 동작하기, 교사의 찬트와 자신의 내재화된 찬트 및 동작의 일치, 자신의 내재화된 찬트로 움직이기의 단계로 되어 있어 찬트와 동작의 일치로 인한 박의 내재화를 도모하였다. Weikart는 신체동작을 통한 리듬능력 획득에 대한 방편으로 모든 동작교육에서 아래의 표와 같이 언어과정의 적용을 주장하였다. 4.. 2022. 12. 25. Weikart의 리듬적 동작교수법-리듬동작2 ■ Weikart의 아홉 가지 신체동작 ■ 전통무용을 통한 학습 무용은 시간·공간·역동성으로 구성된 어떤 목적이 있는 패턴화된 동작이며, 다른 형태의 동작과는 달리 유아에게 하나의 예술이 되기도 한다. 유아에게 전통무용은 음악, 문화와 동작을 한 번에 경험할 수 있는 좋은 매개체가 되며, 이러한 무용을 익히면서 동작과 함께 음악을 해석하게 된다. 즉 유아들은 무용을 통해서 음악의 요소들을 익히는데, 이 중에서 음악의 기본적인 박의 흐름과 무용에서 동작의 흐름이 일치되어 이해된다. Weikart(1982)는 전통무용을 지도하는 데 있어, 음악적 이해를 발달시키기 위한 학습과정을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1. 청취(listen) 무용의 음악적 양식을 소개할 때, 교사는 제일 먼저 유아가 주의 깊게 음악을 듣도.. 2022. 12. 24.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