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아의 문식성 발달7

문식성 발달과정-쓰기발달의 원리 앞서 여러 학자들이 유아의 쓰기 행동을 분석하여 제시한 발달의 양상이나 단계를 토대로 몇 가지 유아의 쓰기발달의 원리를 제시한다(Machado, 2003; 이차숙, 2005). 1. 자연적 발달의 원리 유아들의 쓰기발달은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말하는 것을 배우는 것처럼 의도적인 교육이 없이도 실생활에서 문자언어의 사용을 경험하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2. 상호작용적 발달의 원리 유아들의 쓰기발달은 주변의 사람, 사물, 사건들을 경험하면서 자연스럽게 말을 배우는 것처럼 주변의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이루어진다. 3. 기능적 발달의 원리 유아들의 쓰기는 실제적인 이유가 있을 때 의미 있는 활동을 통해서 발달된다. 블록을 쌓아 둔 것을 건드리지 말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써서 블록 영역에 붙여 둔다.. 2022. 12. 24.
문식성 발달과정-쓰기발달 ■ 쓰기발달의 양상 쓰기는 개인의 생각과 느낌, 경험을 언어적 의미 단위로 표상하여 나타내는 행위이다. 쓰기는 개인의 인지적 활동이면서 의사소통을 위한 일종의 사회적 행위이며, 다양한 문화적 도구의 영향으로 표현도 다양해지므로 문화적 경험의 산물이기도 하다. 쓰기는 신체적으로 눈과 손의 협응, 손과 손가락 소근육 조작의 원활함을 요구하므로 언어의 기능 중 가장 늦게 발달된다는 믿음에 따라 쓰기 지도는 베껴 쓰기, 변별 훈련, 반복 훈련 등 기능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경향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문식성 발달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면서 1980년대에 제기된 발생적 문식성의 관점은 유아의 쓰기발달은 말하거나 듣기와 마찬가지로 어려서부터 자연스럽게 발달된다고 주장하였고(Clay 1975, 1982; Dyso.. 2022. 12. 23.
문식성 발달과정-읽기발달 1. 읽기발달 유아의 읽기발달은 어린이의 주변 환경에 있는 상징을 인식함으로써 읽기를 시작한다고 보는 견해가 많다. 가령 거리의 간판이나 상표이름 등을 보고 맥락상에서 글자를 인식하다가 그런 경험이 쌓이면 인쇄 글자만 보고도 읽을 수 있게 된다(Mason, 1980). 우리나라 유아는 3세가 되면 글자 유형을 구별하고 인쇄글자가 사용되는 방식을 이해하기 시작하며, 4세쯤에는 주변의 인쇄 글자를 읽기 시작하고 글자와 글자 이름과 같은 인쇄 글자의 그래픽 신호에 관심을 갖다가 5세경에는 몇 가지 글자를 읽을 수 있다(이영자, 1994). 쿠퍼와 카이거(Cooper & Kiger, 2003), 이차숙(2005) 등이 구분한 문식성 발달 단계에 따라 읽기발달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발생적 문식성(출생~유치.. 2022. 12. 22.
발생적 문식성(1980년대~현재) 1. 발생적 문식성의 개념 문식성 발달에서 읽기 준비도 관점은 1980년대에 사회언어학, 인지심리학, 상호작용론의 영향으로 발생적 문식성(emergent literacy) 관점으로 전환되었다. 발생적 문식성이라는 개념은 클레이(Clay, 1966)가 처음으로 사용했고, 읽기 준비도를 갖추기 이전이나 형식적 교육을 받기 전에 읽거나 쓰기를 하고, 유아가 글자를 창안해 내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면서(Chomsky, 1979; Read, 1975), 읽기와 쓰기에 대한 발생적 관점이 더욱 지지를 받게 되었다. 발생적 문식성은 유아가 취학 전에 읽고 쓰기에 대한 형식적 지도를 받기 전에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읽기와 쓰기를 배우게 한다. 성인 수준의 읽기와 쓰기는 아니지만 시각적 상징을 활용하여 의미를 이해하고 전.. 2022. 12.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