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아특수교육의 이해62

정신지체의 정의 및 분류-1 155쪽 ■ 정의 1. 미국 「장애인교육법」의 정의 누구나 정신지체가 무엇이며 어떠한 것인지에 대한 약간의 개념은 가지고 있지만, 또 한편으로는 그것에 대한 잘못된 생각과 편견도 많다. 예를 들면 정신지체를 가진 사람은 당연히 지능이 낮은 사람이고, 일단 나타난 정신지체는 평생 그 상태가 변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정신지체란 명칭 때문에 타인의 부정적 시선을 받게 되는 결과를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아동을 정신지체로 진단하는 것에 대해 매우 조심스런 태도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교육적 의미에서의 정신지체는 미국「장애인교육법」이 정의한 “지적기능이 유의하게 평균 이하이며 적응행동에서의 결함이 동시에 존재하는 것이며, 두 장애가 모두 발달기간인 18세 이전에 나타나 아동의 교육수행능.. 2023. 3. 10.
유아특수교육 시행과제 국내외를 막론하고 유아특수교육이 지난 20여 년간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2010년부터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 의무화되고 있으나, 유아특수교육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 여러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1. 비범주화 특수교육은 장애아동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서로 다른 기관에서 교육을 제공한다. 이렇게 장애아동을 분류하는 것은 장애아동 자신뿐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난 운영 면에서 여러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취학 전 유아의 경우 또는 장애위험이 높은 유아의 경우에 그가 어떠한 범주에 속하는지 결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들에게 장애 유형명을 붙여 교육할 경우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장애유아를 분류하여 특정 유형의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2023. 3. 9.
유아특수교육의 교육 프로그램 ■ 개별화교육 프로그램 일반적으로 모든 유아교육자들-이들잉 일반유아를 가르치거나 장애유아를 가르치거나 관계없이-이 믿는 것은 교육환경, 교수법, 그 외의 교육프로그램의 모든 측면이 각 아동의 연령과 발달단계에서 전형적으로 기대되는 것에 근거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철학과 지침이 바로 미국 유아교육학회(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NAEYC)가 지칭한 발달에 적합한 실제(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DAP) 이다. DAP가 유아교육 프로그램에 추천하는 지침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 활동들은 모든 발달영역을 통합하는 것이어야 한다. ✔ 아동의 흥미와 진전은 교사의 관찰을 통해 판명되어야.. 2023. 3. 8.
유아특수교육 대상 및 판별 ■ 대상 1. 장애유아 장애유아란 현재 장애를 지니고 있는 유아로서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진흥법」이나 미국의 「장애인교육법」 등의 법률에 명시된 장애판별기준에서 장애유아로 진단된 유아이다. 이들은 장애판별을 통하여 특수교육 대상자로 인정받은 유아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지체부자유, 정서장애, 언어장애 및 학습장애 중 하나로 진단되거나 기타 교육부령이 정하는 장애를 지닌 유아로 진단받은 유아를 특수교육 대상자로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진흥법」은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학령기 아동이나 취학 전 유아에 대하여 세부적인 판정기준을 별도로 제시하지 않고 있어 장애유아에 대한 판별기준이 부적절한 경우가 있다. 미국은 우리나라보다는 세분하여 자폐, 농, 농-맹, 청각장애, 정신지.. 2023. 3.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