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아특수교육의 이해62

학습장애의 판별 및 학습장애아의 교육 ■ 학습장애의 판별 1. 표준학업성취검사 표준학업성취검사는 학업지체의 정도를 알기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검사이다. 그 이유는 학업지체가 학습장애아의 주요한 특성이기 때문이다. 표준화된 검사정보는 아동에 대한 개별화교육계획 수립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교사들은 주로 아동의 학년 수준이나 연령 수준의 점수만을 파악한다. ‘이 아동이 왜 실패했는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면 아동이 한 실수를 자세히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요컨대 검사정보는 아동의 선수학습능력이나 학업지체 여부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아동에 대한 구체적인 개별화교육계획을 세우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1989) 등이 개발한 개인용 표준화 학력검사인 기초학습기능검사를 학습장애의.. 2023. 3. 22.
학습장애의 특성 1. 학업성취 2. 지각운동의 협응 문제 ① 시지각·청지각 문제 읽기장애아동은 시각·청각적 자극을 지각하고 해석하는 능력에 문제를 나타낸다는 연구가 많다. 어떤 연구는 학습장애아 집단은 시지각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과제의 수행이 떨어진다고 보고한다. 또한 소수이기는 하나 학습장애아의 청지각의 능력에 관한 연구에서도 시지각 연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일반아동보다 더 자주 청지각의 문제를 발견한다고 지적한다. 지각상의 문제는 아동의 학업성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시지각에 문제가 있는 아동은 비슷한 글자를 혼동하거나 글자를 거꾸로 읽는다. 예를 들면 ‘2’를 ‘5’로, ‘01’을 ‘10’으로 읽거나 쓴다. 청지각에 문제가 있는 아동은 비슷한 소리를 잘 구별하지 못하고 그 때문에 언어적 지시를 따르는 데 어려움을.. 2023. 3. 21.
학습장애의 원인 및 특성 ■ 학습장애의 원인 1. 기질적·생물학적 요인 학습장애의 원인으로 많은 전문가들이 기질적·생물학적 요인을 의심해 왔었다. 최근에는 급속히 발달하고 있는 최신 과학기술인 컴퓨터 단층촬영(ST scan), 자기공명촬영(MRI), 양전자방출 단층촬영(PET) 등의 기술을 사용하여 학습장애아의 두뇌의 구조나 기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때 구조적 차이란 두뇌의 여러 영역의 크기를, 기능이란 두뇌활동을 의미한다. 구조적 차이에 관한 예를 들면 최근 연구에 따르면, 남성호르몬이 좌반구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남성호르몬 분비가 많은 경우 우반구의 크기가 좌반구보다 커져서 언어와 관련된 학습활동이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또한 유전적인 난독증이 있는 경우 좌반구와 우반구를 연결하는 뇌량의.. 2023. 3. 20.
학습장애의 정의 – 학습장애 영역의 발달과 개념의 정의 ■ 학습장애 영역의 발달 1. 용어사용의 변천 학습장애(learning disability)는 특수교육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새롭게 나타난 범주이나 큰 관심을 받으며 빠르게 성장하였다. 선진국의 경우 특수교육 대상자로 판별되는 아동의 약 절반이 학습장애라고 한다. 그러나 학습장애영역에 관한 연구는 학습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이전, 즉 19세기 초 뇌손상이 성인의 기능에 끼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20세기에 들어서 제1차 세계대전 후 뇌손상을 입은 병사들을 대상으로 골드스타인(Goldstein, 1942)이 장애를 연구하면서 지적장애가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1940년대에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를 아동에게 적용하기 시작하였는데, 워너(Werner)와 스트라우스(St.. 2023. 3.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