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합교육84 유아동작교육의 평가방법-2 2. 과정 중심 접근방법 이 접근방법은 진단적 접근방법이라고도 하는데, 이론적 추측을 근거로 하여 운동 성취에 밑받침이 되는 과정을 밝혀 줄 수 있는 과제들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검사도구들 중에는 대근육 운동과제를 중심으로 한 것도 있고, 지각적 속성을 측정하는 데 더 중점을 두는 것도 있다. Oseretsky는 대근육 운동과제를 통한 운동능력검사에 가장 큰 공헌을 하였다. Oseretsky는 운동능력이 신경학적 기능에 의해 좌우되므로 우선적으로 뇌의 책임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검사문항으로 두뇌손상을 규명할 수 있도록 여섯 분야에 걸쳐 85가지 과제를 포함하였다(Wade & Davis, 1982). 그러나 이 도구는 너무 길기 때문에 비실용적이며, 뇌손상 아동을 정확히 규명해 내지 못한다는 비판을.. 2023. 1. 10. 말하기 지도의 원리 교사는 듣기와 마찬가지로 말하기도 반드시 신중하게 안내하고 지도해야 한다는 것을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 또한 유아가 유아교육기관에 와서 사용하는 언어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와는 다른 유형으로 보다 더 사회적이기 때문에 더 많은 말하기의 기술과 전략이 요구된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적절한 지도가 이루어진다면 유아의 말하기 능력은 수월하게 향상될 것이다. 말하기 지도를 위한 기본 원리 첫째, 허용적이고 역동적인 교실 분위기를 조성한다. 말하기는 말을 많이 해 보는 경험을 통해서 발달한다. 무조건 말을 많이 하라고 부추겨서 말을 많이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말을 하고 싶은 마음이 들어야 말하기가 일어난다. 유아가 하는 말이 평가되고, 제한되고, 비난을 받는다면 당연히 말하고 싶은 욕구가 생기기 어려울 것이다.. 2023. 1. 8. 유아동작교육 운영의 유의점 유아동작활동의 운영은 대체로 학기나 유아교육기관의 형편과 행사, 계절과 날씨, 지역사회의 실정 등을 먼저 고려한 다음 전개한다. 유아동작활동의 전개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동작교육의 내용을 다루게 될 시기와 기간을 미리 결정하여 월별 및 주별로 진행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내용의 전개 시기와 기간을 미리 정하지 않고 유아의 특성과 요구, 날씨 변화나 얘기하지 못한 상황에 맞추어 융통성 있게 조정, 운영하는 방법이다. 유아동작활동의 운영은 대체로 교사가 연간·월간의 동작교육내용을 어느 정도 계획하고 준비하지만, 그것을 확정하는 것은 유아들의 제안이나 발달상태를 고려하여 정하는, 전자와 후자의 방법을 절충한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1. 동작활동내용 구성에 따른 유의.. 2023. 1. 8. 유아동작교육의 운영지침 유아동작활동은 항상 유아의 운동발달능력을 고려하여 실행하지만, 주의 깊게 미리 계획하고 동작활동을 위한 내용선정원리와 교수·학습원리를 일관성 있게 적용해야 한다. 다음은 교사가 유아동작활동을 위한 기본적인 원리를 기초로 하여 동작활동계획을 구성하는 데 중요한 운영지침이다. (1) 유아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다양한 동작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한다. (2) 유아의 동작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기본동작활동을 리듬동작과 표현동작 활동에 앞서서 가르친다. 또 동작활동을 위한 규칙을 질서놀이를 통해 먼저 가르친다. 예를 들어 한 줄로 서는 곳, 모두 모이는 곳, 동작활동 기구나 도구를 가져오고 반환하는 방법 등을 가르친다. (3) 각 동작활동은 가벼운 준비운동으로 혈액순환, 호흡속도를 원활하게 하고 .. 2023. 1. 7. 이전 1 ··· 18 19 20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