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모=교사235

우수아와 재능아의 정의 및 교육의 필요성 ■ 정의 우수아를 정의하는 최초의 기준은 터만(Terman)이 스텐포드-비네 지능검사에서 IQ 140 이상을 우수아로 규정한 것에서 출발한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지능검사에서 높은 지능지수를 나타내는 아동을 우수아로 보았다. 이와 같은 전례는 오늘날까지 우수아를 선별하는 데 강력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인간의 우수성을 지능지수라는 단일 준거에 의해 정의할 수 없다는 반론이 제기되면서, 겔라거(Gallahger, 1978)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은 우수아를 선발하는 데 일반지능, 특수학문에 대한 적성, 창의적 사고력, 지도능력, 예·체능분야의 능력 등을 고려하여 각각의 우수아를 뽑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들을 지칭하는 용어도 인간의 인지적 측면을 강조하는 우수아(gifted)라는 용어보다 인간의.. 2023. 5. 1.
지체 및 건강장애아의 교육 ■ 교육목표 우리는 흔히 지체장애인을 무기력하거나 아무것도 배울 수 없는 사람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지체장애인도 일반인이 할 수 있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 물론 손을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이 발이나 입을 사용해서 과제를 수행하는 것처럼 그 방법은 다를 수 없다. 지체장애아동의 중심이 경한 경우에는 학업성취에 지장이 없거나 병원에서 장기간 치료를 받아야 하는 학생은 학업에 지장을 받을 수 있다. 이동성을 제한받는 만성적이고 심각한 장애를 가진 아동은 대부분의 일반아동이 가진 경험을 할 수 없을 가능성이 많고, 일반아동이 하는 방식으로 자료를 조작하여 과제를 수행하기가 어렵다. 아동의 교육적 특성은 아동의 발병 연령, 이동성, 인지적 능력, 의사소통능력, 정서·사회적 발달 등에 따라 개별적으.. 2023. 4. 30.
지체 및 건강장애아를 위한 대체 보고기구 및 건물 ■ 대체 보조기구 지체장애아들의 일상생활 문제를 돕기 위한 보조기구들을 살펴보면, 의족이나 의수와 같이 없는 신체부위를 인공적으로 만들어 부착하는 것과 다리 버팀대, 부목과 같이 신체기능을 돕도록 고안한 기구, 멀리 있는 물체를 집어 올릴 수 있는 집게, 휠체어와 같은 적응기구 등이 있다. 이러한 보조기구는 지체장애아에게 여러모로 도움이 되나 사용 시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해야 한다. 첫째, 가능한 잔존기능의 사용을 우선으로 삼아야 한다. 예를 들어, 손이 마비되었거나 팔이 없는 경우 발을 이용하거나 입을 사용하여 글을 쓸 수 있도록 가르친다. 둘째, 최신 기술공학의 발달도 지체장애인의 즉각적인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왜냐하면 값비싼 실험적 보조기구들은 검증기간을 거쳐 대부분의 사람들이 구입.. 2023. 4. 29.
지체 및 건강장애의 상태 ■ 근골격계통의 장애 근육조직은 근육과 그것들을 지지하는 골격을 포함한다. 근육·골격의 장애는 신경조직의 손상은 없으나 근육과 골격의 질병이나 결함으로 지체장애가 되는 경우이다. 주로 다리·팔·척추 등에 나타나며, 앉거나 서거나 걷는 일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손을 사용하기 어렵게 되기도 한다. 1. 진행성 근위축증 진행성 근위축증(muschlar dystropry)은 근이양증이라고도 하며, 근육조직이 퇴행함으로써 점차 근육의 힘을 잃어가는 유전적 질병이다. 이 병은 2~5세 사이 그리고 12세 때까지 나타나는데, 이때 아이들은 걸을 수조차 없다.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형태로는 가성비대형(pseudohypertrophic form)인데, 이는 아동이 걷기 시작할 때부터 근육조직의 소모를 알아차릴 수 있을 .. 2023. 4.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