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엄마표 수업240

특수교육의 기본개념(특수교육이란, 특수교육의 필요성) ■ 특수교육이란 사회가 장애를 갖고 있거나 어려운 처지에 놓여 있는 소수 사람들의 문제를 어떻게 처리하는지는 그 사회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인간의 본성과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생각과 성숙도를 반영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가 시민 개개인에 대하여 어떤 책임을 지고 있는지에 대한 기본입장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하겠다. 특수교육은 어느 날 갑자기 생겨난 학문이 아니라 오랜 시간 역동적인 변화를 거치면서 성장한 역사적인 산물이다. 한마디로 특수교육은 특수아동을 위한 교육이다. 특수아동은 신체발달이나 학습능력의 높거나 낮은 정도가 규준에서 심하게 벗어나 개별화된 교육이 필요한 아동을 말한다. 특수교육은 특수아동이 충분한 혜택을 적절히 받을 수 없었기 때문에 이러한 요구에 대처하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즉 특수교육은 .. 2023. 2. 9.
유아발달 이론 – 행동주의 이론 행동주의 이론은 1910년경에 왓슨(Watson)의 이론을 중심으로 스키너(Skiner), 반두라(Bandura) 등으로 이어진다. 행동주의 이론은 아동발달을 이해할 때 무의식적 동기나 인지적 사고과정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직접 관찰 가능한 외적 행동에 초점을 둔다. 행동주의의 기본적인 전제는 모든 인간의 행동과 동물의 행동은 자극과 반응의 연합이라는 점이다. 그 어느 것도 자극 없이 스스로 일어나지 않으며, 인간의 모든 행동은 분명한 인과관계 혹은 자극과 반응의 법칙이 반드시 적용된다고 본다. 자극과 반응의 경험이 계속 일어나면 인간은 그 결과를 학습하게 된다. 이때 학습은 학습주체자의 목적이나 심리적 필요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생리적 충동이나 기계적인 통제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본다. 행동주의 이론은 .. 2023. 2. 9.
내러티브(narrative)-4 Ⅰ. 기쁨을 주는 말 ① 내 마음을 기쁘게 하는 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야기 나눈다. - 어떤 말을 들으면 기분이 좋아지고, 기쁜 마음이 드는 그런 말이 있어. 선생님은 너희들이 “선생님, 사랑해요.”라고 말해 주면 정말 정말 마음이 기뻐. 너희들도 그런 말이 있니? - 어떤 말이 너희 마음을 기쁘게 하니? ② 기쁨의 말 전하기 게임을 소개한다. - 오늘은 기쁨의 말을 전하는 게임을 해 볼 거야. - 선생님 손에는 이렇게 예쁜 하트 종이가 있어. 이 안에는 너희 마음을 기쁘게 해 주는 말들이 들어 있어. 우리가 팀을 나누어서 귓속말로 기쁨을 주는 말을 전달하는 게임을 해 보자. ③ 팀을 나누고 줄을 맞춰 앉는다. - 팀을 나눌 색깔 막대를 가지고 왔어. 한 명씩 나와서 색깔 막대를 뽑고 빨간 색을 .. 2023. 2. 8.
유아발달 이론 – 정신분석 이론(에릭슨의 심리사회적 이론) 에릭슨(Eric Hornburge Erikson, 1902~1994) 은 신프로이트 학파의 학자들 중 한 사람으로 프로이트의 이론에 감명을 받아 정신분석 연구소에서 정신분석에 관하여 수학하였으며, 특히 아동발달, 치료 및 교육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 프로이트가 성인의 유아기 경험을 바탕으로 성격을 이해하고자 했다면 에릭슨은 프로이트의 전통을 이어받으면서 인간발달을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프로이트는 내적 갈등을 성욕 등의 인간이 지닌 본능적인 연구의 표출을 강조한 반면, 에릭슨은 사회적 요인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에릭슨은 인간의 생존을 위한 기본 욕구와 이를 충족시켜 주거나 억압하는 사회적 요인 간의 갈등과 그 극복과정에서 나타나는 성격을 중시하여 심리사회 이론(psychosocial th.. 2023. 2. 8.
반응형